Book & E-book Thesis 고려대학교 석/박사 학위논문 일반대학원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교육전공 국내/외 학위논문 DB 안내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교육전공 영화 <그녀(her)>의 테오도르에 대한 수용전념치료 기반 사례개념화 2023 하인지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Covid-19 팬데믹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도와 청소년의 사회적 자기 효능감, 사회적 외모 불안, 및 자기 외모 수용 간 관계 2023 이성희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정신적 웰빙과 대학생활 부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유학생과 한국인의 비교 2023 신예진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와 진로정체감의 관계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2023 김강현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학업요구, 학업자원, 학업정서, 수업집중곤란행동간의 관계 :일상 다이어리 기법을 중심으로 2023 양석진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멘탈 휘트니스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우울증 벗어나기 사례연구 2023 박정배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대학(원)생 정신건강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23 이서현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육군 또래상담병의 임무 수행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2023 안승희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자기개방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정서적 신뢰의 매개효과 2023 박민아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 진로준비행동의 이중매개 효과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2023 유재형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정서적 학대와 정서적 방임의 차별적 역할 2023 조애소미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집단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2023 김규원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직무요구-자원 모형에 기반한 중등교사의 직무소진과 직무열의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2023 신혜진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아스퍼거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학교 장면에서의 교육적 지원 2023 홍희성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 경험회피와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023 박하연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상담수련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2023 김재연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정서역량 변인 메타분석 2023 조아라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집단미술치료 활동이 학교부적응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2023 조경화 (2023)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진로몰입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2022 설지윤 (2022)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The effectiveness of short video-based intervention on gender bias 2022 Bae, Ye Jin (2022)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성공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2022 장경순 (2022)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남성규범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남성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2022 백주희 (2022)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반려동물에 대한 과도한 애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2022 신용욱 (2022)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상담자 진로 장벽 척도 개발 2022 이연정 (2022)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수로 2022 조형욱 (2022)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IT기업 종사자의 괜찮은 일과 직무만족의 관계 :일 욕구만족, 일의 의미의 이중매개효과 및 연령의 조절된 매개효과 2022 유서우 (2022)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상담자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정서조절곤란이 공감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 :교육분석 기간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 2022 김민경 (2022)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고시오패스’에 관한 연구 :취업 시험 스트레스-공격성의 관계에서 우울과 어둠의 3요소의 역할 2022 이수현 (2022)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회복탄력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검증 2022 송수영 (2022)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초기 성인기의 불안정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2022 정지원 (2022)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