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누가 모병제에 찬성하고, 누가 징병제에 찬성하는가?: 이념, 세대? 당파성, 이익! 한국 시민의 좌파 권위주의 성향과 우파 권위주의 성향 비교: 얼마나 강하고 어떻게 다른가? (사)한국정당학회 정관 외 순위투표-즉석결선투표제에 대한 이론적 검토 남녀 간 권위주의 태도의 차이는 청년세대와 장년세대에서 다른가?: 불안정 고용상태가 끼치는 영향력에 관한 이론적 논의 및 2021년과 2022년 한국 설문자료를 활용한 경험적 검증 제20대 국회 의원안의 입법성공 요인: 가결과 대안반영의 정치 2022년 이탈리아 총선: 인구 사회학적 투표 경향과 지역 균열 및 지지표 이동 일본의 지방분권개혁과 정당정치의 동학 (사)한국정당학회 정관 외 조사방법 차이가 정치적 태도 조사결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여심위 선거여론조사 통합자료 분석 재・보궐 선거 시행 사유가 투표 참여와 결과에 미치는 영향: 민주화 이후 한국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 대한 경험적 분석 한국 대통령의 제도적 인사권과 제왕적 대통령제, 그리고 법률개정을 통한 분권형 권력구조로의 전환가능성 국회 원구성 협상의 제도화 (사)한국정당학회 정관 외 지역정체성, 당파적 정체성, 그리고 정서적 양극화 늦지만 까다로운 투표자의 선택: 21대 총선에서 나타난 인지부동층의 경제투표 ‘비호감 대선’과 정당의 후보 경선에 관한 연구: 경선 방식과 당원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2021년 중의원 선거를 통해 본 일본 정치엘리트의 이념 성향과 정당 구도 (사)한국정당학회 정관 외 여성의 기술적 대표성과 여성 정치참여: 제2~7회 지방선거 여성 투표율 분석 노동조합과 투표참여: 노동조합 내 투표참여의 사회경제적 격차 정치적·경제적·사회적 특성, 미디어 이용, 포퓰리즘 성향의 영향구조 (사)한국정당학회 정관 외 The Effects of Diverse Election Polling Methods on the Voters’ Political Attitudes: An Analysis of National Election Survey Deliberation Commission Data Regional Identity, Partisan Identity, and Affective Polarization in South Korea Women’s Descriptive Representa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n Analysis of Korean Local Elections Labor Unions and Voter Turnout in South Korea: Socioeconomic Gap in Voting Korean Presidents’ Institutional Rights for the Executive Personnel Affairs and the Rise of 'Emperor' Influence Structure of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Media Use and Populist Attitudes A Study on the ‘Unfavorable Presidential Election’ and Party’s Candidate Selection: Focusing on Candidate Selection Methods and Changes in Party Membership Structur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Formation The Ideological Positions of Political Elites and Structures of Party Competitions in Japan 미국 의회 예산조정절차의 정파적 성격과 활용에 대한 경험적 검토 국회 본회의 표결의 정치 동학: 법원조직법 일부개정안(대안)을 중심으로 (사)한국정당학회 정관 외 정치 지식, 무지, 오인: 오답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 주요 정당의 재외동포 정책 비교: 의회와 선거 공간을 중심으로 서베이 데이터를 통해 본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투표결정요인과 2022년 대선에의 함의 백신 접종의 정치심리학: 코로나19 음모론, 정부 대응 평가, 그리고 백신 접종 의사 한국, 일본, 대만에서 유권자의 코로나19 정부 대응 평가가 정부신뢰, 민주주의 만족도, 국가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온라인 정치 여론 분석을 위한 댓글 분류기의 개발과 적용: KoBERT를 활용한 여론 분석 (사)한국정당학회 정관 외 한국정당학회보 제20권 제2호(통권 제51호) 목차 정치지식과 경제투표 성차별 인식은 대선 후보 선택에 영향을 주는가?: 제19대 대통령선거 분석 당파적 편향은 회고적 평가를 왜곡하는가?: 실험설문 분석 선거강령 기반 이념 척도의 타당성 검증: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의 이념 위치 측정을 중심으로 한국 정당의 당원 조직과 운영에 대한 실증 분석 (사)한국정당학회 정관 외 한국정당학회보 제20권 제1호(통권 제50호)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