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의료개혁의 지체와 시민적 삶의 위기Delays in Health Care Reform and the Threat They Pose to Citizens' Lives 타 지역 대학진학이 혼인이행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졸자를 중심으로The Effects of Interregional University Enrollment on Marriage: A Study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서울시 의료기관들의 개인정보처리방침에 있어 개인정보보호법 준수 현황 분석: 홈페이지 게재 내용을 중심으로Analysi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Compliance in Privacy Policies of Seoul Medical Institutions: Focusing on Website Disclosures 청년의 주관적 계층 인식과 자녀계획에 관한 연구: 공정성, 신뢰도 인식의 젠더 차이를 중심으로Young Adults’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nd Child Planning: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in Perceived Justice and Trust 글로벌 금융위기가 우울과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Impact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n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1인 가구 청년 임금근로자의 고용 형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주거 불안정의 조절효과 분석The Impact of Employment Type on Depression amo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Wage Earners: An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Housing Instability 약물중독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정: 귀인정서이론과 접촉가설의 적용The Social Stigma against Drug Addiction: Application of Attribution-Affection Theory and Contact Hypothesis 중년기 고용의 질이 노년기 다차원 빈곤에 미치는 영향The Impact of Midlife Employment Quality on Multidimensional Poverty in Old Age 청소년의 마약류 사용과 범불안장애의 관계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Drug Use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산재 노동자의 노동시장 지위 회복 영향 요인 분석: 재해 당시 노동시장 지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Analyzing Factors Affecting Labor Market Status Recovery of Injured Workers: Focus on Differences by Pre-Injury Labor Market Status 1인 가구의 의료수요 발생과 미충족의 결정요인: 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의 표본선택 프로빗 분석Determinants of Unmet Medical Demands within Single-Person Households: A Sample Selection Probit Analysis of the 2022 Community Health Survey 재난 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재난심리회복지원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The Impact of Post-Traumatic Stress on Social Adaptation among Disaster Victims: The Moderating Role of Perception of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다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A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Parenting Multiple Children 보건의료 지속 가능성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주요 국가 및 국제 사회의 대응: 한국 보건의료에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Policy Strategies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Developed Countries for Healthcare Sustainability 코로나19 팬데믹과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경험: 의료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적 함의Unmet Healthcar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Healthcare Accessibility 중독 행동의 유형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Types of Addictive Behaviors 학교 밖 청소년의 일상생활 경험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A Photovoice Study on the Daily Life Experiences of Out-of-School Adolescents 자립준비청년 주거빈곤 유형과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력 검증Validation of the Influence of Housing Poverty Types on Suicidal Thoughts Among Youth in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 살해 후 자살에 관한 탐색적 연구An Exploratory Study of Homicide-Suicide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가구변동의 인구학적 맥락과 요인 분해: 2000~2020년Demographic Context of Household Change and Growth Components in South Korea: 2000~2020 한국 어린이병원 심리정서지원 프로그램 증진 방안: Seacrest Studios 도입 가능성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 연구Enhanc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 in Korean Children’s Hospitals: Experts' Perceptions on Introducing Seacrest Studios 불안과 우울의 시대, 사회정책의 전환을 모색하며In Search of Directions for Social Policy in An Era of Anxiety and Depression 지각된 인권친화적 서비스 환경이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활동 및 참여의 매개효과 검증The Effect of Perceived Human Rights-Friendly Service Environment on the Recovery of Individuals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Activity and Participation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불안 예측 요인 탐색: 성차를 중심으로A Decision Tree Analysis to Explore Predictors of Adolescent’s Anxiety: Focusing on Sex Differences 컬렉티브 임팩트 내 지향성 변화와 역동: 지역사회 활동 범위를 중심으로Changes and Dynamics in Directivity within Collective Impact: Focusing on the Scope of Community Activities 노년기 인지저하 수준에 따른 미충족 의료 및 치과의료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An Exploratory Study on the Unmet Medical and Dental care Needs based on the Levels of Cognitive Declines in Korean Older Adults 당뇨병 진료기관의 공간적 접근성: 지역 간 불평등 분석을 중심으로Spatial Accessibility to Diabetes Care: A Perspective on Regional Inequalities 건강문해력(Health Literacy)의 영향요인 파악 및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Literacy and the Influence of Health Literacy on Healthcare Utilization 사회적 지위와 기부행동의 연관성: 소득 수준, 주관적 계층의식에 따른 기부참여, 기부의사 분석을 중심으로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atus and Donation Behavior: Focusing on Analysis of Donation Participation and Donation Intention 도농복합지역 중노년층의 스트레스에 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농업 종사 여부를 중심으로A Text Mining Approach to Analyzing Stress Among Older Adults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Does Exposure to Alcohol Brand Character Marketing Affect Problem Alcohol Us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urchase Intention 노년기 사회적 고립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부정정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코로나19 확산 시기의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비교Effects of Social Isolation on Life Satisfac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Emotion and Self-Esteem in Older Adults: Comparing One-Person with Multi-Person Household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재헌혈 및 반복헌혈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Blood Re­donation and Repeated Blood Donation 한국에서 또 다른 지역 인구 재성장이 나타나는가?: 지방소멸대응기금 배분 지역 중 인구 재성장 관측 사례 지역에 대한 실증분석과 정책적 시사점An Empirical Evidence from Two Declining-Population Areas Supported by the Local Extinction Response Fund: Implications for Policy 장기요양 인정자의 Aging in Place 생존분석: 치매의 영향을 중심으로Survival Analysis of Aging in Place for Long-Term Care Beneficiaries: Focusing on the Impact of Dementia 한국 보건의료에서 ‘지역’: 지역이 호명되는 방식과 그 효과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연구The ‘Region’ in Korean Health Care: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How Regions are Named and Its Effects 자영업자의 건강: 종사상 지위별 건강 격차Health Disparities between Self-Employed and Wage Workers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상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보건의료, 노인여가복지 인프라의 조절효과The Effect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on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Adults: A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Healthcare and Older Adults' Leisure and Welfare Infrastructure 중·고등학생 시기의 행복, 행복성장이 그릿과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The Effecpiness and Happiness Growth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Grit and Sleep Quality 저출산 관련 언론 보도에 대한 프레임 인식과 평가, 이슈 관여도와 행동 변화 의도의 연관성 연구The Associations among Frame Perceptions and Evaluations about Low-Birthrate-Related News, Issue Involvement, and Behavioral Intentions for Change 청년 가구주의 주거불안정의 유형과 우울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Types of Housing Instability and Depression among Young Adult Heads of Household 중년 1인 가구와 노년 1인 가구의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뢰, 연대성, 네트워크 변화궤적에 따른 사회자본 잠재계층을 중심으로Factors Influencing Social Capital in Middle-Aged and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Focus on the Latent Class of Social Capital, Based on the Trajectories of Trust, Solidarity, and Networks 존엄한 죽음, 우리 사회는 준비되어 있는가?Are We Ready to Make Death with Dignity Possible? 존엄한 죽음을 위한 사회보장 제도의 방향은 무엇인가?What is the Direction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for a Dignified Death?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 낯설게 보기: 죽음의 통치성과 은폐된 욕구Defamiliarizing Self-Determination on Death: Governance of Death and Concealed Desire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학교적응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중심으로Longitudinal Intercausal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Acculturation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Focus on Gender Multigroup Analysis HPV 백신접종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앤더슨 모델의 적용(오하이오 지역 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Factors Associated with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Ohio in the US: Andersen’s Health Service Utilization Model WHO 알코올 정책 종합 지표를 활용한 국내 알코올 정책 평가Evaluating South Korea’s Alcohol Policy by Using the WHO Composite Indicators Measuring Alcohol Policy Implementation 기후변화가 장애인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 Scoping Review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Daily Liv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 Scoping Review 노년기 고독생(孤獨生) 구분과 고독생 초래 요인 탐색Classification of Lonely Lives in Old Age and Exploration of Factors Leading to Lonely L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