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sis Thesis 고려대학교 석/박사 학위논문 일반대학원 일반대학원 > 중일어문학과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국내/외 학위논문 DB 안내 일반대학원 > 중일어문학과 이하(李賀) 시의 특징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2023 안소라 (2023)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문학전공 탈냉전기 한일 양국의 해양안보전략과 중국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2023 蔡捷 (2023)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일지역·비교문화전공 중국 향토 서정소설의 서사미학 연구 2023 WANG JUAN (2023)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문학전공 중급 중・한 일본어 학습자의 원인・이유 표현 「〜から」 「〜ので」 「〜て」의 인식 상황 :일본어 모어화자와 비교를 통해서 2023 GUO JINGYUN (2023)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일본어학·교육전공 라오서(老舍) ≪사세동당 四世同堂≫의 일상성 연구 2023 장우영 (2023)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문학전공 일본어 수동문과 한국어·중국어 수동문에 관한 비교 연구 :각국의 일본드라마 자막 번역을 중심으로 2023 朱奕静 (2023)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일본어학·교육전공 한중일 삼국의 무기 이전 동기 비교 연구 :자주국방, 패권 지향 그리고 대미 편승 2023 박세환 (2023)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일지역·비교문화전공 한국·중국·일본 3국의 대동아시아 역내 전략적 동반자 관계 비교 연구 :해양안보, 일대일로, 실리외교라는 세 가지 틀 2023 정찬 (2023)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일지역·비교문화전공 사오쉰메이(邵洵美)의 데카당스 미학 수용과 실천 2023 지해선 (2023)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문학전공 孫溫 紅樓夢 畵冊의 서사성 연구 2022 고명주 (2022)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문학전공 중국 현대 시단의 주지주의 수용과 이미지 인식(1917~1948) 2022 김미영 (2022)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문학전공 현대중국어 ‘知道’류 인지동사 연구 2022 허설영 (2022)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어학전공 中國 新感覺派의 美的 모더니티 研究 2022 김명학 (2022)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문학전공 한일 양국의 대 중국 정책 인식 비교연구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총리의 인식에 대한 담론·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2022 황수영 (2022)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일비교문화전공 펑쯔카이(豊子愷)와 장이(蔣彛)의 회귀의식 비교연구 2022 張穎 (2022)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문학전공 한국 개작소설 『적벽가전』과 모종강본 『三國演義』의 적벽대전 서사 비교 연구 2022 장철형 (2022)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문학전공 屈原의 《離騷》,《天問》 속 동물 형상과 함의 2022 나예리 (2022)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문학전공 두보 오언율시의 인지시학적 접근 2022 하주연 (2022)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문학전공 친슌신(陳舜臣) 연구 :『강은 흐르지 않는다-소설 청일전쟁(江は流れず-小説日清戦争)』을 중심으로 2022 장리나 (2022)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일본문학·문화전공 한·중·일 기본색채어 확장적 의미에 관한 비교 대조 연구 :'黑', '白', '赤'을 중심으로 2022 ZENG ROU (2022)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일본어학·교육전공 중국 신월파와 영미 문학의 교류 양상과 영향 연구 2022 田英 (2022)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문학전공 1920년대 중국 신문학의 여성 문학장 연구 2022 CHENGHUA, HONG (2022)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문학전공 孟郊 ‘눈물’ 소재 시 연구 2022 나누리 (2022)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문학전공 종조사 'ね'와 'よ'의 사용 현황에 관한 고찰 :중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2021 GAN LIJUN (2021)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일본어학·교육전공 現代漢語의 話題 硏究 :‘NP1+NP2+VP(+…)’의 구조를 중심으로 2021 박현재 (2021)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어학전공 取り立て조사 ‘も’와 대응하는 한국어·중국어표현의 대조연구 2021 HAN YINYING (2021)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일본어학·교육전공 현대중국어 동량사 연구 2021 王帥 (2021)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어학전공 현대중국어 부사 '都'의 의미 연구 2021 홍소영 (2021)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어학전공 <현대중국어 ‘的’자 구문 연구> 2021 KONG, YUAN (2021)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어학전공 中古 漢語 蟹攝의 형성과정 고찰 2021 박성준 (2021)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중국어학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