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한국어 교실의 쉬는 시간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A phenomenological inquiry on the break times experiences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명명과제에 나타난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형성과 어휘부 연구A Study on the Word Formation and the Lexicon in the Naming Task 음높이 조절에 따른 한국인과 중국어권 청자의 범주적 지각 연구 -한국어 어두 자음을 대상으로-A Study on Korean native listeners and Chinese Korean learners' Categorical Perception According to Pitch Adjustment -For Korean initial consonants 생태학적 관점과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Ecological Perspectives and Application to Korean education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Research Trend Analysis focused on the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through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오산가족센터를 중심으로-A Narrative Inquiry Into Married Female Immigrants' Experience in the TOPIK Preparation Course 뉴노멀(New Normal) 시대, 한국어 의사소통 교육의 방향 모색Exploring Prospective Directions for Educational Programs on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in the New Normal 베트남 세종학당 비원어민 교원의 한국어 수업 및 인식 연구 -세종학당재단 비원어민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A Study on Korean Classes and Perceptions of Non-Native Teachers of King Sejong Institute in Vietnam - With a Focus on the Non-native Teacher Training Program of the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 전문용어토론 수업을 위한 루브릭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Study on Rubric and its Effect in Terminology and Discussion Class 탄뎀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A Study on the Instructional Perception Survey Study for Tandem Classes 유학생을 위한 취업 한국어 교양 과목 교수요목 설계 연구Syllabus Design of Korean Language for Employment 온라인 세종학당 특별 교육과정 선정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A Study on Needs Analysis for Selection of Special Curriculum in Online King Sejong Institute 북한 로동신문 보도 기사문의 텍스트 구성 방식 연구A Study on the Text Structure of North Korean Rodong Sinmun Reporting Articles 한국어교육에서의 대면-비대면 하이브리드 러닝을 활용한 수업 방안 연구Face-to-Face and Online Lear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 Study on Using Hybrid Learning in Classroom Settings 한국어 음절말 자음군 발음 오류 양상과 특성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cluster Pronunciation Errors: Focusing on Vietnamese Korean Learners 한국어 학술텍스트에서 나타난 피동표현 및 저자 입장 연구 -국어학과 전자공학 분야의 대조를 바탕으로-Passive Voice and Stance Taking in Korean Academic Discourse. Translingual(횡단언어) 연구 小考Towards Translingual Research 어휘 빈도수가 제2언어 화자와 계승어 화자의 연어 처리 에 미치는 영향.Frequency and Processing of Collocations by L2 and Heritage Speakers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단어인지 전이에 관한 연구A Study on Korean Word Recognition Transfer for Chinese-Korean Learners 상황 맥락에 따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 양상 연구 상황 맥락에 따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 양상 연구A study on the Use of Communicative Strategies by Academic Korean learner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situation 한국어 학습자 발화에 대한 발음 평가 API와 한국어교육 전문가의 평가 비교 한국어 학습자 발화에 대한 발음 평가 API와 한국어교육 전문가의 평가 비교Comparison of an Evaluation of Korean Learners’ pronunciation by API and Korean education experts 키르기스스탄 독립세대 고려인의 디아스포라 정체성 연구 키르기스스탄 독립세대 고려인의 디아스포라 정체성 연구A Study of the Diaspora Identity of Kyrgyzstan’s Independent Generation Koryoin 태국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연구 태국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연구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Reading Textbooks for Korean Learners in Thailand 중국 특색 용어 한국어 번역의 개념적 혼성에 대한 연구 -정보 통합 유형의 원리와 특징을 중심으로- 중국 특색 용어 한국어 번역의 개념적 혼성에 대한 연구 -정보 통합 유형의 원리와 특징을 중심으로-A Study on Conceptual Blending of Korean Translation of expressions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conceptual integration 병렬말뭉치 기반 접속 어미 '-(으)려고'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병렬말뭉치 기반 접속 어미 ‘-(으)려고’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인공지능 생성 지문에 대한 예비 교사 인식 조사 연구 인공지능 생성 지문에 대한 예비 교사 인식 조사 연구A survey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AI generated texts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한국어 수업 구성 연구 -학부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한국어 수업 구성 연구 -학부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한국어 수업 구성 연구 -학부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Korean Language Courses to Strengthen Digital Literacy Capability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시각 자료 활용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인식 연구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시각 자료 활용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인식 연구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시각 자료 활용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인식 연구A Study on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Using Visual Materials in Academic Writing 개념적 은유에 기반한 신문 표제어 교육의 효과 연구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추론 학습 전략을 중심으로- 개념적 은유에 기반한 신문 표제어 교육의 효과 연구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추론 학습 전략을 중심으로- 개념적 은유에 기반한 신문 표제어 교육의 효과 연구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추론 학습 전략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ing Newspaper Headlines Based on Conceptual Metaphor - on Korean Learners’ Lexical Inference Strategy Use 한중 대비를 통해 본 'NP1+NP2+V'구조의 주어 설정 문제 한중 대비를 통해 본 'NP1+NP2+V'구조의 주어 설정 문제 한중 대비를 통해 본 ‘NP1+NP2+V’구조의 주어 설정 문제On the Subject in the Korean and Chinese ‘NP1+NP2+V’ Structure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통역 불안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통역 불안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통역 불안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Anxiety of Advanced Korean Learners in Interpretation settings 조정기에 있는 중국 대학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전망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조정기에 있는 중국 대학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전망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