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과제지표와 공공기관 조직성과 : 공공기관 경영평가 지표체계의 우선순위 목표모호성을 중심으로Presidential Agenda Indica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Unraveling the Challenges of Goal Ambiguity
민주화 이후 역대 정부의 정책조정 비교분석 : 조직 전문화, 정책조정 메커니즘, 조정역량의 변동패턴을 중심으로Analysis of Policy Coordination in Korea after the 1987 Democratic Transition : Focusing on the Changing Pattern of Organizational Specialization, Policy Coordination Mechanisms, and Policy Coordination Capacity
설립주체 및 운영주체에 따른 공공서비스 제공의 차이에 관한 연구 : 청소년수련시설의 안전성을 중심으로Study on the Impacts of Ownership and Management on the Safety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여성장애인의 취업특성을 중심으로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Employment Characteristics
과학기술정책의 과학화 : R&D과제평가의 디지털전환 효과 분석
인텔리전트 규제 : 인공지능을 활용한 산재보험 검증 사례를 중심으로
파워엘리트와 정부기구의 권력구조연결망 분석 : 행정위원회를 중심으로
행정학에서의 베이지안 방법론의 유용성 탐색 : 공무원 적정 정원 수 추정을 중심으로
모빌리티 플랫폼에 대한 신·구산업 정책갈등 분석 : 행위자 중심 제도주의와 목적 프레이밍 이론을 중심으로
공무원직장협의회 활성화 방안 연구
정책옹호연합모형과 다중흐름모형의 결합에 기초한 항만정책변동 분석 : 신항과 진해신항 사례를 중심으로
국정개혁의 이상과 현실 : 정조와 노무현 대통령 비교
해양수산 부문의 행정 및 정책에 관한 인식과 시사점
인구감소지역 유형에 따른 특성 분석
'저희는 조직이 아니면 안 돼요' : 발달 장애아동 학부모들의 조직 결속력에 관한 질적 연구
대통령 리더십의 이해 : 직업 경력의 관점에서 본 한국 대통령의 리더십 특성과 국정운영
공공성의 사상적 기초 : B. 스피노자의 코나투스(conatus)를 중심으로
법제처 법령해석제도에 대한 행정학적 접근 : 주요 기능과 상호 긴장 관계를 중심으로
MZ세대의 해양수산 분야 인식과 정책적 시사점
적극행정과정과 협력적 관리전략 : 협력구조와 협력활동의 분석
신규 사업 재원 조달방안의 국민 선호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증세 및 지출구조조정에 대한 국민의 태도를 중심으로
항만 배후지역 주민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비항만 지역과의 비교적 관점에서
행정환경 변화와 정부조직 재설계
기후위기 대응 환경정책과 환경거버넌스 정합성 제고를 위한 발전방향
공공 일자리의 질이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통합 리더십의 조절 효과
후견제도에 나타난 정책대상자의 취약성과 피해 경험 - 취약할수록 피해 경험도 더 많은 것일까? -
재난관리 연구의 학문 정체성 탐구
공동체의식이 지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대학 공공기숙사 건립 갈등에 관한 연구 : 양면게임이론을 적용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대학(大學)』, 리더십을 말하다
강한 민주주의 헌법개혁 : 분권화와 양원제 개헌
지방자치단체의 정치 파워엘리트 권력구조연계망 분석 :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국가 연구개발 사업단 조직의 종결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기가 코리아(Giga Korea) 사업단 사례를 중심으로 -
Farrell 모형을 활용한 MZ세대 공무원들의 (불)공정성 인식과 반응행동 : MZ세대와 기성세대 공무원 비교연구
재난기본소득의 논의가 기본소득에 대한 언론의 보도 태도에 미친 영향 : 재난기본소득 논의 이전과 이후의 기사 비교를 중심으로
신규인력 성과평가제도에 대한 제언 : 공무원 규모는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
청년세대는 공정성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 '인국공 사건'에 나타난 공정성 인식의 테마 분석 -
포스트(위드) 코로나 시대의 난제해결형 정부를 위한 정부혁신에 대한 소고
재정 운용의 책무성 강화를 위한 국회의 역할 : 국가재정운용계획의 실효성 확보를 중심으로
Granger Causality 검정과 공적분 검정을 통한 OECD 국가 재생에너지정책 효과 분석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부ㆍ민간 지원의 효과: 재무제표 보정 및 패널 데이터 분석
공공기관은 사회적 가치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책임운영기관 사례 분석
수도권과 부산권의 자발적 및 비자발적 주거이동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우리나라 과도(過渡)정부의 환경적 맥락과 행정시스템 분석 : 5.16 군사정부의 경우
인공지능을 통한 행정의 고도화 : 기회와 도전
인공지능 시대의 민주주의와 행정 : 「국민신문고」 민원시스템 고도화 사례를 중심으로
고용서비스 청년 참여자의 취업 영향요인 분석: 지역노동시장, 참여자 비교우위, 사업수행기관을 중심으로
기대불일치이론을 적용한 중앙정부 국정업무와 정책수행에 대한 국민만족도 결정요인 : 긍정적ㆍ부정적 불일치의 비대칭적 영향력을 바탕으로
지방정부의 공공데이터 내용 분석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공공부문 정보보안 행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 정보보안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