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디지털 활용 교육에서 사회정서학습 문제 예방을 위한 수업 및 디지털 도구 설계원리 탐색Exploratory study of design principles for classes and digital tools to prevent social-emotional learning problems in elementary digital based education
비경쟁 독서 토의 모형 개발 연구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Noncompetitive Book Reading Discussion Model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래피드 프로토타입(RPISD) 모형 개선 연구Exploring the Improvement of Rapid Prototyping to Instructional Systems Design(RPISD) Mode
메타버스 사용지속의향에 미치는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 요인들 탐색 및 상호작용성의 조절효과A Study on Factors Affecting Adult Us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Metavers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vity
대학 학습자들의 메타버스 기반 수업 이용의도에 대한 요인 예측: 하이브리드 SEM-ANN 접근법Predicting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Metaverse-based Classes among Higher Education Learners: A Hybrid SEM-ANN Approach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온라인 수업의 특징 분석: A 대학의 학습 시스템, 수업 유형, 수업 외 교수 - 학생상호작용을 중심으로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es that have changed since COVID-19: Focusing on A University’s learning system, Class Type, and Out-of-Clas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클라우드 기반 1인 1디바이스의 교육적 활용 효과 - 교사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Educational Effects of Cloud-Based One-to-One Devices -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Teachers -
학교 테크매니저 도입을 위한 직무 모델 개발: 초·중등 교사의 관점을 중심으로Development of Models for the School Tech Managers’ Roles: Perspectiv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블록 코딩을 활용한 융합형 국어 수업 설계원리 및 모형 개발Using Block Coding to Develop the Design Principles and a Model for an Integrated Korean Language Class
프로그래밍 문제해결 과정 지원도구에 대한 학습자 인식 탐색An Exploratory Study of Learners’ Perceptions of a Programming Problem-Solving Support Tool
디자인씽킹 기반 온라인 협력학습 지원 인공지능 챗봇 설계원리 개발A Developmental Study on Design Principl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in design thinking-based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초중등학교 교육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교수학습 모형 개발Developing Metaverse-Ba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in School Education
에듀테크 기반 학생 정서지원 모델 개발 연구A Development Study of Edutech-Based Student Emotional Support Model
이중자극 유형과 스캐폴딩이 대학생의 자발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Effects of Double Stimulation and scaffolding on University Students’ Volition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블렌디드 수업 요소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The Influence of Blended Learning Factors on Course Satisfaction
국내 디지털 교수학습 환경에서의 학습분석 연구 및 데이터 활용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Learning Analytics and Data Utilization in a Digital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n Korea
국내 교수설계 관련 연구동향 분석: 『교육공학연구』에 나타난 주제, 방법, 맥락, 키워드를 중심으로Trends Analysis of Instructional design research in <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교수설계자가 설계 과정에서 활용하는 질적 자료 탐색Exploring Qualitative Data used by Instructional Designers During Design
PBL 수업효과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ing Problem-Based Learning Effectiveness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디자인씽킹 기반 프로젝트학습을 위한 교수전략 개발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ies for Design Thinking - Based Project Learning in Real-Time Online Learning
Z세대의 모바일 학습 일상에 관한 디지털 문화기술지Digital Ethnography on Mobile Learning Daily life of Generation Z
온라인 학습 콘텐츠 유형에 따른 뇌파 활성도 차이 분석Analysis of Differences in Electroencephalographic Activity According to Online Learning Content Types
학교 ICT 활용 수업 활성화 방안: 중학교 교사, 교장, 업무책임자 인식을 중심으로Plans to Facilitate ICT Use in Schools: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Principals, and ICT Managers
학교 에듀테크 통합 방해요인과 해결방안: 선도적 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Barriers and Solutions of Edtech Integration in Schools: Focused on Leading Teachers’ Perceptions
XR기반 학습환경에서 디지털트윈을 적용한 아바타와의 협력활동이 사용자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Avatar Interaction by Digital Twin on the Attention and Social Presence in the Extended Reality-based Learning Environment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에 기반한 초, 중등 교사의 에듀테크 활용 수업 관심도 및 실행형태 분석Investigation of K-12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About the Utilization of Edtech Based on CBAM
교사의 인공지능 융합교육 교수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ing Competence Scale for Teachers’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국내 교육공학 연구 동향 분석 및 키워드 분석 연구: 2014~2022년 「교육공학연구」를 중심으로
모바일 EEG의 교육적 활용 및 도구적 타당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인식연결망분석(ENA)을 적용한 문제해결과정 비교: 초급자와 중급자, 전문가의 문제해결과정 탐색
코로나19 이후 대학에서 우수한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연구
의과대학 환자안전교육을 위한 사례기반 학습모형 개발
디지털 교육 생태계의 품질평가 모형개발 및 평가구인 타당화
긍정탐색 교수학습모형 개발 연구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협력학습, 학업 도전 및 인지적 학습성과 기대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설계·개발연구와 설계기반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설계 과정에서 수업방법 선택 기준과 조건 탐색
온라인 수업에서 인출연습유형과 인출간격이 학습잡념과 메타인지 판단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예비교사의 문제해결 수행 유형과 영향요인 탐색
대학수업에서의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앙트러프러너십 교수-학습 모형 설계
학교교육에서의 디자인 사고 마인드셋 촉진을 위한 수업설계원리 개발
플립러닝 과정기반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 개발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스캠퍼(SCAMPER) 기법 지원 챗봇 프로토타입 개발
에듀테크 산업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례 비교 - IBM Watson Talent와 Riiid R.Inside 중심으로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교과-소프트웨어융합 수업설계 원리 개발 연구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가 인식하는 상호작용 전략의 중요도와 활용도 분석
온라인 플립러닝에서 실재감 증진전략 개발 및 적용
대리적 상호작용 교수설계 전략을 적용한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효과
마이크로 콘텐츠 정보제시방식에 따라 구분한 집단 간 학습자 인지·정서적 상태 차이
K-MOOC 강좌에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이러닝효능감, 교수실재감,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의 관계 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