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교육과정연구 제13권 제1호 목차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인식 탐색 인공지능시대의 유아 및 유아교사 대상 교육의 방향 탐색 유아교사의 교육과정평가 경험과 인식에 대한 연구 영유아교사의 놀이기록기계-되기 유보통합에서 돌봄에 대한 학문적 탐구 어린이교육비평 제12권 제2호 목차 유아교육과정 문해력 탐구: 2019 개정 누리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에서의 수업비평 방법과 안내자 역할 철학 이론을 회절하며 유아놀이 관찰 데이터 읽기: 스카프와의 마주침 영유아 자녀를 둔 외벌이 가정 부모가 겪는 양육 경험의 의미 탐색 어린이교육비평 제12권 1호 목차 유아의 존재의미에 대한 탈근대적 고찰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지원자료의 텍스트 분석 유치원 안과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나타난 교사 체험과 배움의 의미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교사연구자 인식과 실천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어린이교육비평 제11권 제2호 목차 유아 놀이에서 물질과 의미의 ‘얽힘’ 관찰하기 예비유아교사가 현장실습을 통해 지각한 코로나19 시대 교육현장의 문제 영유아교육에서 관찰과 기록의 차이 탐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예술교육의 방향 탐색 유아기 놀이와 교육, 현시와 해체 Observing Entanglements of Materials and Meanings in Young Children’s Play: Through the Lens of Barad’s Agential Realism The Directions on Art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Preservice Teachers Play an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Presentation and Deconstruction The Issues at the Educational Field in Covid-19 Era Conflict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Field Training The Study of Differences in Observation and Docu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bservation of children, Reggio Emilia Documentation and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lay in the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와 교육내용의 연계성 탐구 환상그림책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유아기 놀이와 교육의 이데올로기와 현대적 과제 유아교사가 경험한 교수매체의 의미 탐구 우리는 왜 이런 방식으로 수업하고 있을까?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의 수업융합사례 ‘CO-DESIGN’을 통한 아이들이 놀러오는 학교 놀이터 만들기 사례 연구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Contents’ in 2019 National Nuri-Curriculum WHY are we teaching this way?: A convergence case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n Analysis of Trends of Studies on Research Papers about Fantasy Picture Books - A Review of Academic Publications from 2010 to 2019 A case study of 'CO-DESIGNING' school playgrounds Ideology and Modern Tasks of Early Childhood Play and Education Exploring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Instructional Materials: Focusing on Photovoice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구성주의 관점을 통한 하향식 유아 인성교육 연구 논의 놀이기반 배움의 방향에 관한 탐색 중국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삶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예비보육교사의 관점에서 본 놀이의 의미 교육실습과정에서 경험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위치성과 이에 따른 정체성 탐구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es toward Actualizing the 「2019 Nuri Curriculum」 An Explorative Study on the Lives of Marriage Migrant Women from China The review on top-down research for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constructivism perspectives Pre-service Teachers’ Approach to Free Play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Play-based Education: Beyond Representation Toward Ev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