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 E-book Thesis 고려대학교 석/박사 학위논문 일반대학원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일반대학원 > 언어학과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일어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한국어교육전공 국내/외 학위논문 DB 안내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문학 활동을 통한 중학생의 서사적 정체성 연구 :폴 리쾨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Feb 2025 손나래 (2025)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문암 유본학(問菴 柳本學)의 문학과 그 교육적 의의 연구 Feb 2025 서오송 (2025)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중학생의 필자 주도성 수준에 따른 웹 기반 협동작문 연구 :개별작문과 협동작문 결과물 비교를 중심으로 Feb 2025 김세연 (2025)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황정은 소설에 나타난 수치심 연구 :연작소설 『디디의 우산』, 『연년세세』를 중심으로 Feb 2025 김유하 (2025)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중등 국어 수업에서 자전적 만화의 교육적 활용 Feb 2025 조주희 (2025)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문법적 은유 표현에 대한 비교 연구 Aug 2024 번아잉 (2024) 고려대학교 대학원 중학생의 주제 통합적 읽기 양상과 영향 요인 연구 Aug 2024 김성엽 (2024) 고려대학교 대학원 남북한 국어과의 문장 성분 교육 연구 Aug 2024 박한나 (2024) 고려대학교 대학원 학습자 중심 질문을 기반으로 한 문학 토론 수업 연구 Aug 2024 김다희 (2024)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학토론을 활용한 희곡 「파수꾼」 교육 방향에 관한 연구 Aug 2024 허정윤 (2024)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중 고등학교 국어과 말소리 교육에 대한 비교 연구 Feb 2024 간화단 (2024)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한국 SF소설을 활용한 내러티브 기반 융복합교육 연구 Feb 2024 최예슬 (2024)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한국과 중국의 초급 한국어 교재에 대한 영역별 비교 Feb 2024 백호 (2024)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다의어의 의미 교육 방안 연구 :'나다', '들다', '내리다', '오르다'를 중심으로 Feb 2024 장사양 (2024)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상대 높임 표현 교육 방안 연구 :체계기능언어학의 맥락 요인을 중심으로 Feb 2024 NGUYEN THI DINH (2024)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한국근대소설의 교양적 속성과 문학교육의 형성 Feb 2024 문장원 (2024)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중학생의 읽기 능력과 독자 인식에 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 및 영향요인 연구 Feb 2024 정지은 (2024)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중등학생의 필자 요인과 조직하기 수준 간의 관계 연구 :쓰기 질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Feb 2024 천해주 (2024)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기 선택적 독서 연구 :읽기 능력과 읽기 태도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중심으로 Feb 2024 오정례 (2024)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초등학생 대상 다문서 읽기 전략 지도의 효과 :읽기 전략사용과 독해 능력을 중심으로 Feb 2024 송미진 (2024)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김수영 시에 나타난 행복의 의미 연구 Feb 2024 조은영 (2024)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설득하는 글쓰기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 연구 :고3 남학생의 쓰기 수준을 중심으로 2023 정혜린 (2023)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초등학생의 쓰기 워크숍 활동 양상 연구 2023 어영준 (2023)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김현승 시 연구 :공간 구조와 이미지를 중심으로 2023 신윤희 (2023)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한·중 판촉 언어에 나타난 대인적 기능 비교 연구 :체계기능언어학을 중심으로 2023 당소림 (2023)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다문서 통합의 양상과 수준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3학년생의 도해 조직자에 나타난 통합을 중심으로 2023 오성렬 (2023)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과제 요인에 따른 대학생의 디지털 읽기전략과 자료선정 양상 연구 :과제 유형과 흥미를 중심으로 2023 오유리 (2023)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현상학적 실천연구가로서의 국어교사 정체성에 대한 연구 2023 오제혁 (2023)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황지우 초기 시에 드러난 ‘시적인 것’ 양상 연구 2023 오지현 (2023)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문학 지식 교육에서 교육적 인식론에 기반한 협력 탐구의 적용 2023 송재익 (2023)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