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 E-book Thesis 고려대학교 석/박사 학위논문 일반대학원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일반대학원 > 언어학과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일어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한국어교육전공 국내/외 학위논문 DB 안내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서류(鼠類) 송사형 우화소설의 인물 분석과 교육적 의의 Feb 2025 이수현 (2025)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사회정서역량 함양을 위한 국어과 연극수업 연구 Feb 2025 국윤나 (2025)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그림책 수업 연구 Feb 2025 박지윤 (2025)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객체 높임 특수 어휘의 사용 양상과 교수학습 방안 연구 :‘여쭈다’의 오류 표현을 중심으로 Feb 2025 윤지원 (2025)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국어과 고등학교 생태전환교육 방안 연구 :SF 소설을 활용한 문학 수업을 중심으로 Aug 2024 권시연 (2024)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습동기 기반 고등학교 중세국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Aug 2024 유준택 (2024)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향가 교육의 문제점과 교수학습 방안 제언 :「서동요」를 중심으로 Aug 2024 마호용 (2024)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을 활용한 중세국어 교육 방안 개발 및 실행 연구 :고등학교 1학년 중세국어 음운적·문법적·어휘적·표기적 특징을 중심으로 Aug 2024 윤현아 (2024)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등학생 필자가 작문 과정에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양상 연구 Aug 2024 송예림 (2024)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운영전>에 나타난 욕망의 양상과 그 의미 Aug 2024 이서이 (2024)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학 작품 재구성 교육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개발 방안 연구 Aug 2024 김민영 (2024)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상징적 표상 활동이 중학생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Feb 2024 도문아 (2024)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특성화고 시 토론 수업 교수 학습 방법 연구 Feb 2024 장문선 (2024)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중학생을 위한 자기 표현적 글쓰기 수업 연구 :앱 ‘하루북’을 활용한 수필 쓰기를 중심으로 Feb 2024 정수진 (2024)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한국어 교재 입문단계의 한글 자모 제시 방안 연구 :『훈민정음』 해례본의 자모교육법을 활용하여 Feb 2024 이정수 (2024)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국어 부정수 표현 연구 :유형 분류를 중심으로 Feb 2024 윤수연 (2024)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박용래 시에 구현된 시적 방법 연구 :작품의 형식적 특성과 시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Feb 2024 윤선아 (2024)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매체 발달에 따른 신어 교수·학습 양상과 학습 활동 방안 연구 Feb 2024 최지인 (2024)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문학과 지리의 융합 교육방안 연구 :염상섭의『만세전』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을 중심으로 Feb 2024 신재경 (2024)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 방안 :중학교 국어를 중심으로 Feb 2024 문지은 (2024)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ㄱ/ 탈락 현상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Feb 2024 윤현우 (2024)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트위터(현 ‘X’) 사용자의 비판적 문식성 실천 경험 내러티브 탐구 Feb 2024 민세희 (2024)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소설을 활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방안 연구 :브누아 브로야르의 「헬멧을 쓰고」를 중심으로 2023 이윤진 (2023)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IB 학위과정 ‘언어와 문학’ 과목 작문과제의 평가 양상 비교 :IB 학위과정 평가기준과 재구성한 ‘설득하는 글’ 평가준거표를 중심으로 2023 윤지현 (2023)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시 교육에서 반응 중심 학습법 활용의 양상과 문제점 고찰 :고등학교 2학년 학습 독자를 대상으로 2023 송수진 (2023)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자기성찰 역량 함양을 위한 내러티브 기반 소설 수업 사례 연구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2023 이인성 (2023)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중학생 독자의 도서 선정 전략 학습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북매치 전략 학습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2023 백수민 (2023)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영화적 기법을 활용한 소설 창작 교육방안 연구 2023 서예향 (2023)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대학수학능력시험 고전소설 문항 연구 :2019~2023학년도를 대상으로 2023 김예지 (2023)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디지털 환경에서 국어과 매체 영역의 미디어 리터러시 실현 양상 분석 연구 :교육과정, 교과서, 수능평가를 중심으로 2023 김지민 (2023)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