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는 상담과 약물치료의 좌우 날개로 난다
정신의학신문 | 김재성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이런 문제는 상담을 받아야 할까요, 약물치료를 받아야 할까요?”인터넷 게시판에 종종 올라오는 정신의학적 난제입니다. 답변이 어려운 이유는 가장 먼저 짧은 글만을 바탕으로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이유가 한 가지 있습니다. 정신과적 치료 가운데 상담과 약물치료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상담을 받으면 이렇다더라, 어디어디에서 약물치료를 받았는데 괜찮았다, 정도의 댓글들이 질..
정신의학신문 > News
노래 가사 속 이별과 고통의 심리
정신의학신문 | 우경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얼마 전 첫눈이 내렸습니다. 이렇게 찬바람이 불어오고 창밖으로 눈발이 날리는 계절이 오면, 문득 헤어진 옛 연인이 생각나면서 왠지 옆구리 더 시리고 울적해지기도 합니다. 이럴 때 차분한 발라드 노래를 들으며 따뜻한 커피 한잔을 마시면 헛헛해진 마음에도 왠지 모를 온기가 흐르면서 위안을 받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이처럼 음악은 지치고 쓸쓸한 이들에게 마음의 위로가 되어 주는데요, 감미롭거나 구슬픈 멜로디도 그렇지만 어떤 노래는 유독 노랫말이 머릿속을 맴돌면서 ..
정신의학신문 > News
우리가 어색함을 참지 못하는 이유
정신의학신문 | 최강록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처음 만난 이성과 소개팅하는 자리에서, 오랜만에 모이는 동창들 모임에서, 혹은 한집에 살며 매일 얼굴을 보는 가족들과의 식사 시간에 혹시 침묵이 흐르는 어색한 순간을 견디는 게 힘들게 느껴진 적, 있으신가요? 살다 보면 우리는 다양한 상황에서 많은 이들과 대화를 나누게 됩니다. 그런데 특별히 가깝고 편안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낼 때도 있지만, 가끔 마주치는 이웃이나 직장 거래처 사람, 취미나 동호회 모임 등등 별로 친하지는 않지만 서로 대면하거..
정신의학신문 > News
제대로 칭찬하는 방법
정신의학신문 | 전형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라는 말처럼 어떤 일을 시작했을 때, 누군가가 전해주는 칭찬으로 인해 ‘더 열심히 해서 잘해야지.’라는 생각을 한 적 있나요? 아마 너무 하기 싫어서 꾸물거리며 시작했던 일인데 누군가 무심코 건넨 칭찬 한마디에 의해 마치 부스터라도 단 것처럼 굉장히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였거나 본 적이 있을 거예요. 칭찬은 특히 자라고 있는 아이들에게 더욱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요, 적재적소에 행해지는 칭찬은 아이들의 지능과 정서 발달에 있어 필..
정신의학신문 > News
[기분장애] 기분장애란 무엇일까? - 기분장애의 증상과 치료법
정신의학신문 | 이규홍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요즘과 같이 갑자기 추워진 날씨로 인해 종종 우울한 기분이 드는 분들 계신가요? 해가 빨리 지고 낮 길이가 짧아지게 되면 유독 우울한 기분을 경험하는 분들이 종종 있을 수 있는데요, 이럴 때 혹시 나 기분장애에 걸린 건 아닐까? 라는 의심을 해 본 적이 있나요? 아니면 오늘 아침까지는 기분이 이렇게 좋았는데 저녁에 기분이 안 좋은 건 혹시 내가 기분 장애가 있어서 그런건 아닐까 의심해 본 적 있나요?그렇다면 기분장애란 무엇일까요? 보통 뇌의 기분을 조절하는 부위에 이..
정신의학신문 > News![[기분장애] 기분장애란 무엇일까? - 기분장애의 증상과 치료법](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1/34941_31231_4555_v150.jpg)
[자폐 스펙트럼 장애] ABA Ⅶ -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자립 기술 훈련하기
정신의학신문 | 이호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모든 양육의 목적은 ‘독립’이라는 말, 많이 들어 보셨을 텐데요, 자녀를 둔 부모라면 더욱더 공감할 만한 이야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한편으로는 마냥 어리게만 보이는 자녀를 언제 일일이 가르쳐서 독립시킬 수 있을지 아직은 먼 이야기처럼 느껴지는 부모님들도 계실 것 같습니다. 하지만 자녀가 이제 청소년기에 접어들었거나 사춘기를 지나고 있는 시기라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초기 성인기로 진입하는 시기가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나 ..
정신의학신문 > News![[자폐 스펙트럼 장애] ABA Ⅶ -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자립 기술 훈련하기](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1/34939_31227_343_v150.jpg)
고양이 걷어차기 효과 – 분노 표출의 숨겨진 심리
정신의학신문 | 장승용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여러분이 가장 최근 화를 낸 건 언제인가요? 누구에게 화를 냈나요? 그 이유는? 화가 났을 때 혹은 화를 낸 후에 어떤 생각과 감정이 들었나요? 후련했나요? 자괴감이 들었나요? 아니면 깊은 후회가 밀려왔나요? 상대방에게 미안함이 느껴졌나요?살다 보면 우리를 화나게 하는 일들은 도처에 널려 있습니다. 무례하게 구는 사람부터 약속 시간마다 매번 지각하는 친구, 공연 대기 줄에서 새치기하는 사람, 사사건건 꼬투리 잡는 진상 고객까지. 이런 사람들과 마주할 때면 원래 내가 ..
정신의학신문 > News
[ADHD] ADHD와 스마트폰 중독
정신의학신문 | 이지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위험군 (고위험군+잠재적 위험군)의 비율은 23.6%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비율을 살펴보면, 유아동 (3~9세) 26.7%, 청소년(10~19세) 40.1%으로 나타났다. 아동,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과사용하게 된다면, 학습이나 운동, 외부 활동, 가족들과의 소통 등이 부족해지는 등 많은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뇌발달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아동 청소년이 스마트폰 중독이 될 경우 뇌발달의 불
정신의학신문 > News![[ADHD] ADHD와 스마트폰 중독](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1/34911_31203_1413_v150.jpg)
[자폐 스펙트럼 장애] ABA Ⅵ - 함께하는 놀이를 통한 사회성 기르기
정신의학신문 | 이호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아이들은 여럿이서 함께하는 놀이나 게임을 통해 자연스럽게 서로 친해지고 소통 방법과 규칙을 배우며 사회성이 발달됩니다. 그런데 자폐 아동들의 경우,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나 자기 의사 표현, 게임 규칙 이해하기, 감정 조절 등에 곤란을 겪으므로 여러 명이 함께하는 놀이에 참여하는 일이 어렵기도 한데요, 그만큼 여러 사람과 함께하는 놀이 경험의 축적은 자폐 아동에게 필요한 사회적 기술과 규칙, 충동성 조절 등을 배워 나가는 데 유용한 방법입니다.자폐 아동을 여럿..
정신의학신문 > News![[자폐 스펙트럼 장애] ABA Ⅵ - 함께하는 놀이를 통한 사회성 기르기](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1/34938_31225_027_v150.jpg)
[안전한 경계] 일과 관계, 삶에 안전한 경계를 만드는 방법
정신의학신문 | 정희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여러분들은 자신만의 경계선을 잘 구축하고 있는지요? 일, 삶, 가족, 친구, 복지 등에 있어 경계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우리는 적절한 경계가 지켜질 때, 존중받고 보호받으며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우리의 인생과 목적을 명확히 하기 위해 자신의 경계에는 무엇이 있는지 함께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인생 비전과 목적을 명확히 하는 데 시간을 할애한다면, 자신에게 경계가 필요한 곳을 결정하고 존중할 수 있는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고 하..
정신의학신문 > News![[안전한 경계] 일과 관계, 삶에 안전한 경계를 만드는 방법](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1/34910_31197_546_v150.jpg)
나쁜 음식이 우리의 정신건강을 위협한다
정신의학신문 | 최강록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여러분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무엇인가요? 요즘 들어 자주 먹는 음식은 무엇일까요? 맛있는 음식은 우리에게 만족감과 함께 미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무엇보다 음식이란, 인간의 생존에 있어서 필수적인 에너지의 원천이죠.불과 수십 년 전만 해도 우리의 음식 문화는 쌀과 보리, 김치나 국 등의 한식에 국한되어 있었지만, 글로벌 시대가 도래하면서 이제는 한식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의 미각과 후각을 즐겁게 하는 음식의 ..
정신의학신문 > News
압박의 상황에서 일을 능률적으로 하는 법, 여키슨-도슨 법칙
정신의학신문 | 정정엽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우리는 어떤 일을 할 때, 마감 기한에 임박하면 초인적인 집중력을 발휘하는 경험들을 합니다. 이처럼 시간의 압박이 있을 때 작업의 효율을 올리기가 용이하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마감 기한이 닥쳤을 때 아무 일도 하지 못한 채 얼어붙는다는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오늘은 일이나 공부에 있어서 압박과 능률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윤리학자, 동물학자인 로버트 여키스(Robert Yerkes)는 지능 테스트 및 비교 심리학 ..
정신의학신문 > News
[애착 유형] 애착 유형과 대인관계
정신의학신문 | 우경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라는 프로그램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여러 논란을 불러오기도 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아이들이 문제 행동을 하는 대부분의 원인을 부모님의 양육과정에서의 문제로 보았습니다. 이는 어린 시절 부모님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애착이 아이의 인생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입니다. ‘애착’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유형에 따라 자세히 들여다보겠습니다.매리 애인스워스라는 학자는 유아가 새로운 환경에서 낯선 사람을 마주쳤을 때 보이는 반응에 따라 애착 유형을 ..
정신의학신문 > News![[애착 유형] 애착 유형과 대인관계](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1/34909_31194_3515_v150.jpg)
[거절 방법] 거절이 어려운 당신에게
정신의학신문 | 이규홍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유독 다른 사람들의 부탁을 거절하거나 싫은 소리를 하는 것을 못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상대의 무례하거나 들어주기 힘든 부탁에도 거절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며, 주로 거절하였을 때 보이는 상대방의 부정적 태도나 모습을 보기 싫기 때문에 이러한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오늘 하루 처리할 일들이 너무 많아 정신이 없는 와중에도 동료가 부탁하는 일을 거절하지 못해 늦은 시간까지 야근을 한 적도 있고, 피곤해서 집에 가려고 했지만 간단하게 술을 먹자는..
정신의학신문 > News![[거절 방법] 거절이 어려운 당신에게](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1/34906_31190_5557_v150.jpg)
[기술 중독] 혹시 지금, 스마트폰으로 읽고 계신가요?
정신의학신문 | 장승용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기술은 과연 인류를 구원할까요, 구속할까요? 기술 중독이 결국 알콜 중독, 마약, 도박과도 같은 폐해를 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고 하는데요, 물질과 도박에 중독되는 것처럼 핸드폰 문화에 중독된 사람들을 쉽게 마주하게 됩니다. 이를 기술 중독(Technology Addiction)이라고 하는데요, 휴대전화, 인터넷, 소셜 미디어 등의 사용 욕구를 이기지 못하고 반복적으로 탐닉하는 행위를 가리킵니다. 오늘은 '21세기 최대의 비약물 중독'으로도 표현되는 기술 중독에 대해 나누고자 합니다. 기술
정신의학신문 > News![[기술 중독] 혹시 지금, 스마트폰으로 읽고 계신가요?](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1/34905_31186_242_v150.jpg)
[ADHD] ADHD 아이들의 학교 생활과 선생님
정신의학신문 | 김현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최근 일명 “왕의 DNA” 사건을 지켜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자녀에 대해서 걱정하고 눈물짓는 부모님과 학교 생활을 걱정하고 있는 아이들이 떠오르기도 했지만, 아이들의 지나친 행동에 교육적 훈육을 줄 수 없는 현실과 보호자와의 불통 사이에 괴로움을 호소하시는 선생님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학교는 아이들과 선생님이 조화롭게 공존하고 있는 공간이지만, ‘교육’이라는 이름 하에 다양한 욕구와 요구들이 오고 가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공간에서 ..
정신의학신문 > News![[ADHD] ADHD 아이들의 학교 생활과 선생님](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1/34903_31181_1853_v150.jpg)
청소년의 품행 문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정신의학신문 | 이성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최근 초, 중학생 20여명이 또래 여학생 2명을 집단 폭행하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중 절반의 학생이 직접적인 폭행에 가담했고, 다른 학생들은 옆에서 폭행을 부추기거나 휴대폰으로 폭행 장면을 촬영했다고 합니다. 이 사건이 이외에도, 뉴스를 통해 청소년들이 저지르는 끔찍한 사건들을 자주 들려옵니다. 건강하고 바르게 성장해야 하는 청소년들이 어떻게 이런 잘못된 행동을 하게 되었을까요? 청소년 중 비행 또는 품행 문제를 보유하고 있는 아이들을 이해하기 위해서 애착 ..
정신의학신문 > News
[성격/MBTI] 내향인의 대인관계
정신의학신문 | 전형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자신의 MBTI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MBTI는 대중적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수많은 사람을 단 16개의 성격 유형으로 구분하고, 해당 유형에 본인을 끼워 맞추는 것에는 논란이 있기도 했지만 긍정적인 영향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자기 자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도 하였고, 자신과 다른 유형의 사람들을 이해해주는 경우도 증가했습니다. 그래서 내향인에 해당하는 I 유형의 사람들에게 과거에는 대인관계를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주를 이뤘다면, 지금은 ..
정신의학신문 > News![[성격/MBTI] 내향인의 대인관계](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1/34886_31169_846_v150.jpg)
마음이라는 숲
정신의학신문 | 조윤정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일체유심조 (一切唯心造), ‘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 낸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대승불교 화엄경에 나오는 구절이라면 낯설 수도 있으나, 원효대사(617~686)의 해골바가지물이라고 하면 다들 “아하~”하실 겁니다. 전날 밤 동굴에서 갈증을 채워준 달고 시원한 물이, 다음날 아침 무너진 무덤의 해골 안 썩은 물이라는 것을 알고 원효대사는 모든 것이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깊은 깨달음을 얻었던 것입니다. 직장생활을 하는 우리도 소소하나 이러한 깨달음을 얻을 때가 있습니..
정신의학신문 > News
[알코올 중독] 알코올 중독과 단주 자기효능감
정신의학신문 | 정희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나의 해방일지라는 드라마를 보신 적 있나요? 작년 4월, 많은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의 주인공인 ‘구씨’ 역의 손석구는 알코올 중독 환자로 나왔습니다. 매일 소주를 사들고 집으로 가서 혼자 먹은 다음 여태까지 먹은 소주병들을 방 하나에 쌓아 두기도 했습니다. 보통 사람들은 한 번에 많은 술을 먹는 경우 알코올 중독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그다지 많은 양을 섭취하지 않더라도 매일 꾸준히 술을 먹는 경우도 알코올 중독에 해당한다고 볼 수 ..
정신의학신문 > News![[알코올 중독] 알코올 중독과 단주 자기효능감](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1/34880_31151_5557_v150.jpg)
[ADHD] ADHD라면서 왜 다른 약을 주세요?
정신의학신문 | 맹세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 등의 핵심 증상으로 하는 질환으로 잘 알려져 있지요. 정확한 원인을 콕 집어 설명하기는 아직 한계가 있으나 흔히들 전두엽의 기능이 덜 발달하면서 나타난다고 봅니다. 전두엽이나 기저핵과 같은 특정 부위의 결함으로 도파민 회로의 기능 이상이 있다고 보기 때문에 이 기전에 작용하는 중추신경자극제와 아토목세틴(Atomoxetine)으로 대표되는 비중추신경자극제가 주된 치료제로 손꼽힙니다. 서방형 클로니딘(Clonidine)도 ADHD의 치료제로 허가..
정신의학신문 > News![[ADHD] ADHD라면서 왜 다른 약을 주세요?](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1/34879_31150_338_v150.jpg)
가족들과도 적절한 거리 두기가 필요할까?
정신의학신문 | 전형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가족은 세상 그 어떤 존재보다도 가까운 존재로 느껴집니다. 그런데 모든 가족이 서로에게 사랑과 위로를 주며 따뜻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을까요? 그건 아닐 것입니다. 세상에 다양한 유형의 가족이 존재하듯, 서로에게 상처를 주고 힘이 들게 만드는 관계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부모의 양육과정 내에서 많은 것들을 배우고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서로 상처를 주고 힘들게 하는 역기능적 가족 관계 내에 처해 있는 경우 많은 어려움들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한 ..
정신의학신문 > News
타인의 비난에 유독 취약한 당신이라면?
정신의학신문 | 최강록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다른 사람들의 비난에도 의연함을 잃지 않을 수 있는 분들은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주변의 많은 사람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갑니다. 그리고 관계 속에서 우리의 행동이나 태도, 성격, 심지어 외모까지 평가의 대상이 되거나 공격과 비난의 화살이 날아올 때도 있죠.우리 또한 종종 마음속으로 혹은 무의식중에 다른 이들을 멋대로 평가하기도 하며, 이러한 인식은 은연중에 상대를 대하는 태도나 방식으로 그 모습을 드러냅니다. 때로는 상대에게 대..
정신의학신문 > News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 독립, 부모의 품을 떠나는 치열한 과정
정신의학신문 | 유길상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와인 좋아하시나요? 저는 가족 혹은 지인들과 와인을 즐겨 마십니다. 와인 산지는 이태리, 스페인, 미국, 칠레, 호주, 뉴질랜드 등이 있습니다. 여러 산지 중에서 당연히 프랑스가 가장 유명합니다. 프랑스에는 여러 와인 생산지가 있는데 그중에 한 곳이 부르고뉴입니다. 인생, 가족, 성장, 독립과 관련된 영화가 있어서 소개시켜 드리고자 합니다. 제목은 입니다. # 독립, 부모의 품을 떠나는 치열한 과정우리는
정신의학신문 > News
[자폐 스펙트럼 장애] ABA Ⅴ - 과제를 거부하는 아이, 이유는 무엇일까?
정신의학신문 | 이호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새로운 스킬을 가르치거나 목표 활동 및 과제를 수행시키고자 할 때, 혹은 문제 행동을 교정하고 올바른 대체 행동을 습득시키고자 할 때, 좀처럼 아이가 집중하지 못하거나 하고자 하는 의욕을 보이지 않는 등 갖가지 난관에 부딪힐 수도 있습니다.이럴 때 부모님들은 조급하고 답답한 마음에 화를 내거나 경직된 분위기 속에서 무리하게 수업을 이끌어 나가는 분들도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그러나 아이가 학습에 의욕을 보이지 않거나 힘들어하는 정확..
정신의학신문 > News![[자폐 스펙트럼 장애] ABA Ⅴ - 과제를 거부하는 아이, 이유는 무엇일까?](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1/34885_31161_343_v150.jpg)
[소아비만] 비만이 우리 아이들의 뇌에 미치는 영향
정신의학신문 | 정정엽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자식들이 먹는 모습만 봐도 배부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자녀를 두신 부모님들이라면 쉽게 공감하실 텐데요. 자녀가 없는 분들이라도 성장기 동안 부모님께 이런 말을 들어 보신 적이 있으실 것입니다. 그만큼 아이들이 잘 먹는 모습은 참 보기도 좋고, 사랑스럽습니다. 영양학적으로도 한창 자랄 성장기에는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잘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잘 먹는 모습이 언제나 뿌듯하고 좋게만 느껴지는 것은 아닙니다. 영양 부족과 그로 인한 성장 저하를..
정신의학신문 > News![[소아비만] 비만이 우리 아이들의 뇌에 미치는 영향](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0/34849_31105_332_v150.jpg)
[기분장애] 기분장애가 발생하는 원인은?
정신의학신문 | 황인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사람들이 기분장애를 겪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보통 양극성 장애의 경우에는 유전적 요인이, 단극성 우울장애의 경우에는 환경적 요인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유전적 요인이 환경적 자극을 좌우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외적 사건이라도 어떤 사람은 유전적으로 스트레스에 취약하여 심한 스트레스로 느끼는 반면, 일부 사람은 스트레스가 전혀 유발되지 않는 쾌적한 환경으로 볼 ..
정신의학신문 > News![[기분장애] 기분장애가 발생하는 원인은?](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0/34865_31125_1227_v150.jpg)
이것은 누구의 마음일까? 내사와 투사
정신의학신문 | 최강록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문득 학창 시절 과학 시간에 삼투압의 원리와 그 현상에 대한 설명을 듣고 흥미롭게 느껴졌던 기억이 납니다. 삼투압 현상이란, 간단히 말해서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있을 때 농도가 낮은 용액이 높은 용액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본격적인 김장을 담그기 전에 배추에 소금을 뿌려 두면 배추 속에 있던 수분이 소금이 있는 쪽으로 빠져나와 배추의 숨을 죽이는 작업에도 바로 삼투압의 원리가 녹아 있죠. 또한 우리 몸이 많은 수분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이유 역시 ‘염..
정신의학신문 > News
[성인 애착] 불안 – 회피형 애착 유형의 특징
정신의학신문 | 이희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최근 인터넷 상에서 떠도는 ‘회피형’ 애인을 만나면 고생한다는 글 보신 적 있을까요? 회피형 애인은 문제나 갈등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직접적으로 해결을 위해 대화를 나누기보다는 마음 속에 담아두고 있다 자신의 인계치를 넘는 순간 그냥 헤어지는 방식을 택하기 때문에 만나지 말라는 내용의 글이었는데요, 여기서 말하는 회피형 애착 유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보통 불안 – 회피형 애착(anxious-avoidant insecure attachment)는 전체 유형의 20% 정도 존재하며,
정신의학신문 > News![[성인 애착] 불안 – 회피형 애착 유형의 특징](https://cdn.psychiatricnews.net/news/thumbnail/202310/34863_31122_147_v150.jpg)
나르시시스트 엄마와 영원히 고통받는 딸
정신의학신문 | 전형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성진 씨는 오늘 밤 쉬이 잠들지 못해 내내 뒤척이고 있습니다. 내일은 성진 씨와 3년간의 열애 끝에 결혼을 약속한 남자 친구를 부모님께 정식으로 소개하기로 한 날. 성진 씨는 부모님이 과연 남자 친구를 마음에 들어 할지 마음이 조마조마합니다. ‘이번에도 엄마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어쩌지? 또 헤어져야 하나?’성진 씨의 엄마는 그녀의 일이라면 그동안 사사건건 간섭과 통제를 했습니다. 지금의 남자 친구를 만나기 전, 진지하게 교제해 온 연인을 소개했을 때도 외모가 어..
정신의학신문 >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