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성 뇌질환 진단 · 치료를 위한 한-영 협력 가속
환경성 뇌질환 진단 · 치료를 위한 한-영 협력 가속 - 한국뇌연구원 · 영국 뇌질환플랫폼사업단(DPUK)과의 공동연구 국제심포지움 15일 개최 - 미세먼지, 나노플라스틱 등 유해인자에 의한 퇴행성 뇌질환 연구협력 확대 한국뇌연구원은 영국 뇌질환플랫폼사업단(Dementia Platform UK, 이하 DPUK)*과 환경성 인자에 의한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국제심포지움을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영국 뇌질환플랫폼사업단(Dementia Platform UK, DPUK): 영국 바이오뱅크를 기반으로 설립된 뇌질환 빅데이터/중개연..
KBRI > 보도자료뇌의 운동기억 강화, 성상교세포의 시냅스 선별 제거로 촉진
뇌의 운동기억 강화, 성상교세포의 시냅스 선별 제거로 촉진 - 한국뇌연구원 박형주 박사, 국제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 발표 - 파킨슨병 · 헌팅턴병 등 운동 인지기능 저하 치료에 새로운 단서 기대 한국뇌연구원은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의 박형주 박사 연구팀이 뇌가 운동이나 절차 기억을 강화할 때 신경세포의 연결 부위인 시냅스 중에서 필요 없는 것을 성상교세포*가 선별적으로 제거하면서 진행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18일 밝혔다. *성상교세포(astrocyte) : ‘뇌의 조력자’로 불리..
KBRI > 보도자료한국뇌연구원 · ㈜뉴다이브, 뇌발달질환 디지털치료기기 개발 협력
한국뇌연구원 · ㈜뉴다이브, 뇌발달질환 디지털치료기기 개발 협력 - 10일 공동연구 및 제품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자폐스펙트럼장애 · ADHD 등 신경다양성 치료를 위한 첨단기술 개발 한국뇌연구원은 디지털 치료기 개발 전문기업인 ㈜뉴다이브와 10일(월) 대구 한국뇌연구원에서 ‘뇌발달질환 디지털치료기기 기전 연구 및 의료기기 개발’ 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뇌연구원과 ㈜뉴다이브는 앞으로 뇌질환 극복을 위한 병인 기전 연구, 디지털치료기기 개발, 연구 인프라 공유, 뇌연구 전문..
KBRI > 보도자료한국뇌연구원, 「2025 세계뇌주간」 15일 개최
한국뇌연구원, 「2025 세계뇌주간」 15일 개최 - 대구 동구 뇌연구원 우뇌동 중강당에서 오후 1시30분부터 열려 - “AI, 로봇 그리고 뇌” 주제로 3개 강연 · 오픈랩 · 브레인토크쇼 등 진행 세계의 뇌연구자들이 연구현장에서 대중과 만나 생생한 뇌연구를 소개하는 ‘2025 세계뇌주간(World Brain Awareness Week)’ 행사가 오는 15일(토) 오후 1시 30분부터 대구시 동구 한국뇌연구원 우뇌동 중강당에서 열린다. ※ 세계뇌주간(World Brain Awareness Week) 행사는 뇌과학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1992년 美 다나(DANA)재단에서 처음 ..
KBRI > 보도자료초소형 뇌 내시경과 결합한 브레인칩 플랫폼 개발
초소형 뇌 내시경과 결합한 브레인칩 플랫폼 개발 - 한국뇌연구원 추남선 박사 국제학술지 발표, 신경회로 다각도 측정 용도 - 약물중독 모델 등 신경회로 정밀 분석해 뇌질환 치료기술 개발 기대 ▲ (뒷줄) 좌측부터 구자욱 박사, 추남선 박사 (앞줄) 좌측부터 김정섭 박사후연수연구원, 은종희 박사후연수연구원 한국뇌연구원은 정서 · 인지 질환 연구그룹의 추남선 박사 연구팀이 소동물의 신경에서 실시간 신경 활성을 형광 신호로 측정하기 위한 초소형 뇌 형광 내시경 시스템에 전기적 신경신호 측정 기능을 결합한 다..
KBRI > 보도자료한국뇌연구원, 네덜란드와 환각기전 이해 · 치료 연구 가속화
한국뇌연구원, 네덜란드와 환각기전 이해 · 치료 연구 가속화 - 13일 감각 · 지각 디지털헬스 공동연구센터 개소식, 14일 국제심포지움 열어 - 환각 관련 빅데이터 구축 · 바이오마커 발굴 · 디지털 헬스 솔루션 개발 목표 한국뇌연구원이 네덜란드신경과학연구소(NIN, Netherlands Institute for Neuroscience)와 함께 ‘한국-네덜란드 감각 · 지각 디지털헬스 공동연구센터(MindMirage Data Center)’를 한국뇌연구원 뇌연구실용화센터에 개소하고, 국제심포지움을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13일 열리는 개소식에는 서판..
KBRI > 보도자료한국뇌연구원, 인도네시아대와 연구협력 추진
한국뇌연구원, 인도네시아대와 연구협력 추진 - 10~11일 인도네시아 드폭에서 공동 워크숍 개최…24년 9월 MOU 후속 - 뇌기능 규명, 뇌질환 기반 선순환 중개연구 등 다학제 연구 논의 ▲ 한국뇌연구원과 인도네시아대 공동워크숍 이후 서판길 원장(뒷줄 왼쪽에서 5 번째)과 라니 사우리아사리(Rani Sauriasari) 소장(뒷줄 왼쪽에서 4번째) 등 참석한 연구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뇌연구원(KBRI)이 인도네시아대(University of Indonesia)와 뇌의 작동원리를 파헤치는 기초연구 및 뇌질환을 극복하기 위한 치료기술 개발 등 혁신적 뇌..
KBRI > 보도자료성상교세포가 뇌속 영양물질을 재활용하는 기작 밝혀
성상교세포가 뇌속 영양물질을 재활용하는 기작 밝혀 - 한국뇌연구원 박형주 박사,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 발표 - 뇌세포 조력자를 이용한 우울증, 알츠하이머병 치료전략 개발 기대 한국뇌연구원은 신경 · 혈관단위체 연구그룹의 박형주 박사 연구팀이 ‘뇌세포의 숨은 조력자’로 불리는 성상교세포(Astrocyte)*가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를 재활용하는 기작을 발견했다고 6일 밝혔다. * 뇌유래신경영양인자(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 뇌와 신경계에서 신경세포(neuron)의 건강을 유지하고 기능을 향..
KBRI > 보도자료뇌연구원 임현호 박사, 유럽 백질뇌병증협회 연구사업 첫 선정
뇌연구원 임현호 박사, 유럽 백질뇌병증협회 연구사업 첫 선정 - 국제 ELA 협회, 백질이영양증 등 연구에 2년간 20만 유로 지원 - 세포막 단백질 및 돌연변이 연구로 희귀 뇌질환 발병기전 규명 기대 국내 연구자가 유럽의 백질뇌병증협회에서 처음으로 희귀뇌질환 치료를 위한 연구사업에 선정됐다. 한국뇌연구원은 신경 · 혈관 단위체 연구그룹 임현호 책임연구원이 유럽의 ELA(European Leukodystrophy Association) 국제기구에서 희귀뇌질환인 거대뇌성 백질뇌병증*의 원인 규명과 치료 진전을 위한 연구사업에 선정돼 25년부터 2년 동..
KBRI > 보도자료2024년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대구광역시장 표창 수상
2024년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대구광역시장 표창 수상 - 17일 총 6개 우수 단체 · 기업 및 개인 대상 대구광역시장 표창 수상 - 육아휴직기간 연장 등 일과 생활 균형 직장문화 조성에 앞장서 한국뇌연구원이 대구광역시로부터 “2024년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유공포상”에 선정되어, 17일(화) 대구광역시장 표창을 수상한다. 한국뇌연구원은 출산 · 양육 지원제도, 여성친화적 근무환경 조성, 재량근무제 적극 활용, 가족친화활동 추진 등 근무제도 혁신과 가족친화제도 도입을 통한 일 · 생활 균형 직장문화..
KBRI > 보도자료한국뇌연구원, 제4회 다한상에 박신원 박사 선정
한국뇌연구원, 제4회 다한상에 박신원 박사 선정 - 전뇌 네트워크 발달 과정에서 시상-대뇌피질의 연결성 역할 규명 - 신진연구자 발굴 위해 2021년 제정...상금 1,000만원 최대 규모 한국뇌연구원은 국내 신진 뇌연구자를 발굴하기 위해 수여하는 다한상 제4회 수상자로 박신원 전 기초과학연구원(IBS) 박사를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다한상은 서판길 원장이 2020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을 받으며 상금 3억 원 전액을 기부해 마련됐다. 다한상 상금은 신진 뇌연구자 대상의 상중 가장 큰 규모로, 1,000만원이다. 박신원 박사는 뇌 ..
KBRI > 보도자료한국뇌연구원 안전관리 최우수연구실 선정
한국뇌연구원 안전관리 최우수연구실 선정 - 25일 9개 연구기관·대학·기업 공동 과기정통부장관표창 수상 - 뇌은행·시설안전팀 공동으로 뇌자원관리실 안전환경 표준모델 구축 한국뇌연구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2024년 안전관리 최우수연구실에 선정돼 25일 장관표창을 수상한다. 한국뇌연구원은 연구원에 소속된 한국뇌은행의 뇌자원관리실이 연구자의 교육 및 훈련, 연구실 환경 개선을 통해 연구실 관리기준을 확립하고, 관련 연구실의 표준모델로 자리잡는 등 안전의식 제고 및 문화 확산에 기여한 ..
KBRI > 보도자료한국뇌연구원, 최첨단 멀티모달 뇌영상 분석기술 개발 박차
한국뇌연구원, 최첨단 멀티모달 뇌영상 분석기술 개발 박차 - ‘최첨단 멀티모달 뇌기능 분석 심포지엄’ 6일 개최 - 고자장 MRI 구축으로 뇌연구 실용화 생태계 조성 가속화 한국뇌연구원은 뇌 영상-행동-분자 정보 연계 분석 등 차세대 다차원 융합 뇌연구에 기반이 될 고자장 동물 MRI를 최근 구축하고, 6일(금) 오후 1시부터 뇌연구실용화센터에서 최신 경향과 협력연구 등을 모색하기 위한 “2024 최첨단 멀티모달 뇌기능 분석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9.4 테슬라(T) 고자장 동물 MRI는 살아있는 뇌의 기능 분석 연구를 ..
KBRI > 보도자료한국뇌연구원, 글로벌 뇌성분 분석플랫폼 구축 강화
한국뇌연구원, 글로벌 뇌성분 분석플랫폼 구축 강화 - 6일 대구에서 ‘2024 국제 뇌지질체 심포지움’ 개최 - 싱가포르국립대•애질런트사•연세대•충남대 등과 국제 공동연구 지속 한국뇌연구원은 6일(수) 오후 1시부터 우뇌동 1층 중강당에서 글로벌 뇌성분 분석 플랫폼 구축과 국제 공동연구를 강화하기 위해 ‘2024 국제 뇌지질체 심포지움 (International Symposium for Lipid-based Multi-Omics 2024)’을 개최한다. 한국뇌연구원은 2022년부터 뇌지질체 관련 최적화된 질량 분석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세계 최고 분석 솔루션..
KBRI > 보도자료한국뇌연구원 영국 · 네덜란드와 뇌질환 공동연구 확대
한국뇌연구원 영국 · 네덜란드와 뇌질환 공동연구 확대 - 과기정통부 글로벌 역량강화사업 선정 · 2026년까지 45억 원 투자 - 환각 연구 및 퇴행성뇌질환 극복 전략을 위한 성과 창출 추진 한국뇌연구원이 유럽의 세계적인 뇌연구기관인 영국 뇌질환플랫폼사업단(DPUK) 및 네덜란드뇌연구원(NIN)과 손잡고 뇌질환 극복을 위한 공동연구를 확대한다. 한국뇌연구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시행하는 ‘2024 첨단바이오 글로벌 역량강화사업’에 구자욱 책임연구원(글로벌 정서?중독 연구사업단)과 김..
KBRI > 보도자료한국뇌연구원- ㈜리메드, 뇌질환 의료기기 개발 협력
한국뇌연구원 - ㈜리메드, 뇌질환 의료기기 개발 협력 - 24일 공동연구 업무협약(MOU) 체결 - 파킨슨병 등 뇌자극 기기를 활용한 첨단기술 개발 공동연구 한국뇌연구원은 대한민국 최초의 전자약 분야 전문 기업인 ㈜리메드와 24일(목) 대구 한국뇌연구원에서 ‘뇌질환 극복 의료기기 개발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뇌연구원과 ㈜리메드는 뇌질환 극복을 위한 병인 기전 연구 및 의료기기 개발, 연구 인프라 및 뇌전문 인력교류 등 상호발전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
KBRI > 보도자료한국뇌연구원, 「뇌와 통증: 신경과학적 이해와 치료 전략 도출을 위한 워크샵」 23일 개최
한국뇌연구원, 「뇌와 통증: 신경과학적 이해와 치료 전략 도출을 위한 워크샵」 23일 개최 - 난치성 뇌질환 극복을 위한 뇌연구 실용화 및 뇌산업 활성 방안 모색 한국뇌연구원은 23일(수) 오후 2시부터 우뇌동 1층 중강당에서 뇌연구 실용화와 뇌산업 활성화를 위한 워크샵 시리즈의 두 번째로 ‘뇌와 통증 : 신경과학적 이해와 치료 전략 도출을 위한 워크샵’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뇌와 통증에 대한 신경과학적 이해와 치료전략 도출에 대하여 성균관대학교 우충완 교수 (통증 뉴로이미징 바이오마커 ..
KBRI > 보도자료커피가 쓰지 않은 이유, 신경세포의 전기장 억제로 밝혀
커피가 쓰지 않은 이유, 신경세포의 전기장 억제로 밝혀 - 한국뇌연구원 강경진 박사, 국제학술지 ‘PNAS’ 발표 - 미각 신경세포의 새로운 소통방식 발견…신경망 복합기능 이해 기대 ▲ (좌측부터) 이민혁 박사후 연수연구원, 강경진 책임연구원 한국뇌연구원은 신경 · 혈관단위체 연구그룹의 강경진 박사 연구팀이 미각 신경세포들의 상호작용에서 ‘전기연접 억제(ephaptic inhibition)*’ 현상을 이용한 분자적 기전을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 전기연접 억제(ephaptic inhibition) : 신경세포의 활성에 따..
KBRI > 보도자료한국뇌연구원 · 국군의학연구소 뇌연구 기반 국방과학기술 개발
한국뇌연구원 · 국군의학연구소 뇌연구 기반 국방과학기술 개발 - 15일 뇌연구실용화센터와 상호 업무협약(MOU) 체결 - 첨단뇌과학 결합한 국방R&D 발굴로 국방과학기술 혁신 도모 한국뇌연구원은 15일(수) 국군의학연구소와 뇌연구실용화센터의 국방 분야의 뇌과학 연구 및 기술 교류를 위한 상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으로 국방 및 군사 기술 분야에서 혁신적 뇌연구 R&D를 도출하고 관련 연구개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는 한편, 협력 거버넌스 구축과 인프라 공동 활용 등의 협력 활동도 함께 할 ..
KBRI > 보도자료한국뇌연구원 김민관 시설안전팀장, 과기정통부장관 표창 수상
한국뇌연구원 김민관 시설안전팀장, 과기정통부장관 표창 수상 - 2024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적극 참여 등 재난안전업무 발전에 기여 한국뇌연구원은 시설안전팀 김민관 팀장이 2024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적극 참여 등 재난안전업무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표창을 수여했다고 14일 밝혔다. 매년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실제 재난상황 발생 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범국가적 종합훈련으로, 한국뇌연구원은 2024년 10월에 진행된 ‘2024년 재난대응 안전한..
KBRI > 보도자료신경줄기세포의 뉴런-교세포 전환 스위치 발견
신경줄기세포의 뉴런-교세포 전환 스위치 발견 - 한국뇌연구원 이원영 연구원 · 코소도 요이치 박사, 뇌 발달 과정에서 분화 메커니즘 규명 - 뇌전증, 자폐 등 신경질환 치료법 개발 기대, 국제학술지 ‘엠보 저널’ 발표 ▲ (좌) 코소도 요이치 박사 (우) 이원영 연구원 한국뇌연구원은 신경회로 연구그룹 코소도 요이치(Kosodo Yoichi) 박사 연구팀이 태아의 뇌 발달 과정에서 만능세포로 불리는 신경줄기세포가 뇌와 신경계를 이루는 주요 세포인 신경세포(뉴런)* 또는 교세포(글리아)*로 전환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스위치 ..
KBRI > 보도자료한국뇌은행, 뇌은행 운영실무 및 퇴행성뇌질환 진단 교육 실시
한국뇌은행, 뇌은행 운영실무 및 퇴행성뇌질환 진단 교육 실시 - 10월 18일 충남대병원에서 전국 뇌은행 관계자 대상 열어 - 뇌은행 운영품질 정보, 뇌부검 증례보고 등 임상 정보 공유 한국뇌연구원 소속 한국뇌은행은 10월 18일(금) 오전 10시부터 충남대병원 의생명융합연구센터에서 한국뇌은행네트워크 뇌은행 및 치매뇌은행 관계자를 비롯해 질병관리청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2024년 뇌클러스터*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다. 교육 주제는 ‘뇌은행 운영실무 및 퇴행성 뇌질환 진단 교육’으로 국내 뇌은행 전문가 등이 뇌은..
KBRI > 보도자료폐암 표적치료제에서 치매 치료 가능성 발견
폐암 표적치료제에서 치매 치료 가능성 발견 - 한국뇌연구원 EGFR 저해제의 인지기능 관여 및 알츠하이머병 치료 가능성 밝혀 - 면역학 분야 국제학술지 ‘Frontiers in Immunology’ 발표 한국뇌연구원은 인공지능기반 뇌발달질환 디지털의료기기 실증지원사업단* (과기정통부-NIPA-대구시-DIP-KBRI-ETRI 협력사업)의 허향숙 단장 연구팀이 폐암 치료제인 에롤로티닙(Erolotinib)이 대표적인 치매 원인인 타우/아밀로이드 병증과 뇌염증을 줄이고, 인지기능을 높여 알츠하이머병증을 개선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30일 밝혔다. 우리 몸..
KBRI > 보도자료조현병 등 시각 왜곡 일으키는 신경세포 원리 밝혀
조현병 등 시각 왜곡 일으키는 신경세포 원리 밝혀 - 한국뇌연구원-존스홉킨스의대 국제공동연구팀, 방향-위치 선택성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와 작용 기전 규명 - 국제학술지 ‘네이처 (Nature)’ 10월 2일호 발표 조현병 등 정신질환 환자는 청각이나 시각과 같은 감각 정보를 왜곡해서 인식한다. 일반인도 때때로 착시, 환각 등의 증상을 겪는다. 이런 현상의 비밀을 풀어줄 수 있는 신경세포의 기본 원리를 한미 공동연구진이 찾아냈다. 한국뇌연구원과 존스홉킨스의대 국제공동연구팀은 뇌에 있는 신경세포마다 방..
KBRI > 보도자료뇌연구원, 우수 중견연구자 사업 2건 신규 선정
뇌연구원, 우수 중견연구자 사업 2건 신규 선정 - 이찬희•이신려 박사, 연구재단에서 각각 3년 과제 받아 - 뇌 자극법 개발•신경병리 기전 규명 등 혁신적 뇌연구 도전 한국뇌연구원은 한국연구재단의 개인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2차 신규과제사업에 이찬희 선임연구원(인지과학 연구그룹)과 이신려 선임연구원(치매 연구그룹)이 각각 선정되었다고 25일 밝혔다. 중견연구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시행하는 연구사업으로, 창의적인 개인연구를 지원하여 우수한 기초 연구 역량을 키우고, 연구자가 리..
KBRI > 보도자료한국뇌연구원, 일본 후쿠이의대와 뇌질환 연구협력 확대
한국뇌연구원, 일본 후쿠이의대와 뇌질환 연구협력 확대 - 8일 서판길 원장과 후지에다 학장 공동연구 협약(MOU) 체결 - 자폐 아동 디지털치료제 실증 착수·향후 공동연구센터 설립 추진 한국뇌연구원(KBRI)이 일본 후쿠이대 의대와 인간 뇌영상 기반 연구와 디지털치료제 개발 등 뇌질환 극복을 위한 국제 공동연구를 확대한다. 서판길 원장과 정민영 선임연구원 등 한국뇌연구원 공동연구추진단은 8일(현지시간) 일본 후쿠이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후지에다 시게하루 의대학장, 코사카 히로타카 교수 등과 만나 ‘뇌영상기..
KBRI > 보도자료첨단 AI 기술을 활용한 뇌 데이터 분석·예측 모델 개발 추진
첨단 AI 기술을 활용한 뇌 데이터 분석?예측 모델 개발 추진 - 한국뇌연구원, 9일 첨단 AI 기반 연구데이터 분석 전략 워크샵 개최 - 뇌연구 데이터 최신 이슈 등 미래기술 심층 논의 한국뇌연구원은 8월 9일(금) 오후 1시부터 우뇌동 1층 중강당에서 첨단 AI 기반 뇌 연구데이터 분석 전략 모색을 위해 “KBRI Advanced AI Workshop”을 개최한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한국뇌연구원 글로벌 정서?중독 연구사업단장인 구자욱 책임연구원이 국가 뇌연구 자원?정보 활용 전략 발표를 시작으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신신애 ..
KBRI > 보도자료한국뇌연구원, 존스홉킨스의대 조현병 센터와 MOU 체결
한국뇌연구원, 존스홉킨스의대 조현병 센터와 MOU 체결 - 7월말 개최 IBI 2024 대구 컨퍼런스 기간 중 업무 협약 - 선순환중개연구 전략 기반 정서질환 극복 공동연구 추진 한국뇌연구원이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조현병센터와 손잡고 정서질환 극복을 위한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한국뇌연구원은 지난 7월 29~31일 대구 뇌연구원에서 열린 국제뇌과학이니셔티브(International Brain Initiative?IBI) 대구 컨퍼런스 2024’ 기간 중 김형준 연구본부장과 아키라 사와(Akira Sawa) 조현병센터장이 공동연구 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
KBRI > 보도자료도파민 유사체로 알츠하이머 질병 조절 첫 규명
도파민 유사체로 알츠하이머 질병 조절 첫 규명 - 한국뇌연구원 국제연구팀, CA140의 인지?시냅스 향상 기능 밝혀 - 국제학술지 ‘신경염증저널 (Journal of Neuroinflammation)’ 발표 한국뇌연구원은 인공지능기반 뇌발달질환 디지털의료기기 실증지원사업단* (과기정통부-NIPA-대구시-DIP-KBRI-ETRI 협력사업) 허향숙 단장 연구팀과 UNIST 김재익 교수, 미국 UCSD 제리 양(Jerry Yang) 교수 등 국제공동연구팀이 도파민 유사체인 CA140**라는 물질이 시냅스와 인지 기능을 향상시켜 알츠하이머 병증을 낮춘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31일 밝혔다. *..
KBRI > 보도자료우울증·중독 등 정서질환 극복 다자간 국제협력 확대
우울증·중독 등 정서질환 극복 다자간 국제협력 확대 - 한국뇌연구원, 29일 국제뇌과학이니셔티브(IBI) 컨퍼런스 2024 개최 - EU·일본·중국·캐나다·호주 등 뇌연구 강국과 네트워크 강화 한국뇌연구원은 7월 29일(월)부터 3일간 대구에서 우울증·중독 등 정서질환 극복을 위한 ‘국제뇌과학이니셔티브(International Brain Initiative?IBI) 대구 컨퍼런스 2024’를 개최한다. 국제뇌과학이니셔티브(IBI)는 2017년 뇌과학의 국제협력을 위해 처음 설립된 국제 뇌연구 공동체로,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 캐나다, ..
KBRI >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