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Public Administration
    • Political Science
    • Management
    • Urban Studies
    • Environmental Studies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Society & Institutions
    • Society & Institutions
    • Korean Government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행정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행정학 관련 도서관 신착 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를 제공합니다.

Journal & Article

행정학 관련 국내외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WebDB

행정학 관련 학술 DB 및 통계 DB 등을 제공합니다.

Society & Institutions

행정학 관련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 정보 및 대한민국 정부와 국회 입법지원조직에 관한 안내 및 링크, 조직도를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행정학 관련 국내외 최신 연구보고서 및 뉴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행정학 관련 국내외 학술대회 및 논문투고 정보를 제공합니다.

OCW

행정학 관련 국내외 공개강의 및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Newsletter

지난 행정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49 January
  • 2022
    • vol. 48 December
    • vol. 47 November
    • vol. 46 October
    • vol. 45 September
    • vol. 44 August
    • vol. 43 July
    • vol. 42 June
    • vol. 41 May
    • vol. 40 April
    • vol. 39 March
    • vol. 38 February
    • vol. 37 January
  • 2021
    • vol. 36 December
    • vol. 35 November
    • vol. 34 October
    • vol. 33 September
    • vol. 32 August
    • vol. 31 July
    • vol. 30 June
    • vol. 29 May
    • vol. 28 April
    • vol. 27 March
    • vol. 26 February
    • vol. 25 January
  • 2020
    • vol. 24 December
    • vol. 23 November
    • vol. 22 October
    • vol. 21 September
    • vol. 20 August
    • vol. 19 July
    • vol. 18 June
    • vol. 17 May
    • vol. 16 April
    • vol. 15 March
    • vol. 14 February
    • vol. 13 January
  • 2019
    • vol. 12 December
    • vol. 11 November
    • vol. 10 October
    • vol. 9 September
    • vol. 8 August
    • vol. 7 July
    • vol. 6 June
    • vol. 5 May
    • vol. 4 April
    • vol. 3 March
    • vol. 2 February
    • vol. 1 January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행정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Mar 2022 vol. 39
고려대학교 도서관 행정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SICS)

News

MORE NEWS >
미혼 청년 65%가 부모와 동거…주택 마련에 부모 지원 '중요'

미혼 청년 65%가 부모와 동거…주택 마련에 부모 지원 '중요'

이투데이 10 Mar 2022

미혼 청년층의 주택 마련 심리에 부모의 경제적 지원 여부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연구원이 지난달 펴낸 ‘2030 미혼 청년의 주거여건과 주거인식’에 따르면 미혼 청년층은 부모의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 여부에 따라 주택 소유 가능성을 다르게 판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무주택 2030 미혼 청년 253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자의 77%는 ‘내 집을 반드시 가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주택 구입 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기대할 수 있는 경우 ‘자가주택 소유 필요성’은 81.3%로 조사됐다. 이는 부모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기대하지 않는 경우(74.6%)보다 높은 수치다. 미혼 청년층 가운데 본인 소유 주택 보유자는 14.5%로 집계됐다.

Ukraine: EU agrees to extend the scope of sanctions on Russia and Belarus

European Union (EU) 09 Mar 2022

The European Commission welcomes today's agreement of Member States to adopt further targeted sanctions in view of the situation in Ukraine and in response to Belarus's involvement in the aggression. In particular, the new measures impose restrictive measures on 160 individuals and amend Regulation (EC) 765/2006 concerning restrictive measures in view of the situation in Belarus and Regulation (EU) 833/2014 concerning Russia's actions destabilising the situation in Ukraine. These amendments create a closer alignment of EU sanctions regarding Russia and Belarus and will help to ensure even more effectively that Russian sanctions cannot be circumvented, including through Belarus.

원전 다시 핵심 에너지로 부상…탄소중립도 속도 조절

이투데이 10 Mar 2022

새 정부선 탈원전과 에너지정책에서 큰 변화가 예상된다. 원전을 주요 전원으로 부활시키고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도 재검토될 전망이다. 탄소중립을 위한 방향성은 유지하되 업계 피해대책 마련 등 산업구조 전환을 위한 속도 조절 정책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윤 후보의 당선에 따라 탄소중립에서 원전의 역할이 확대할 전망이다. 윤 당선인이 신한울 3, 4호기 건설 재개 등 친원전 입장을 보이고 있어서다. 그의 공약집 공약순위 9번 '실현 가능한 탄소중립과 원전 최강국 건설'을 봐도 알 수 있다. 환경·산업분야 공약의 목표를 △실효적인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위기 적응대책을 적극 추진하며, 원자력과 청정에너지 기술 구축을 통해 탄소중립 목표달성에 기여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원자력 발전에 지속적으로 투자, 친환경적 에너지 생산과 미래 먹을거리 확보, 전 세계에 원전 원천기술 수출 등으로 잡았다.

팬데믹에서의 돌봄 책임 주로 여성에게 전가, 자녀돌봄 분담의 성별 격차 커지고, 여성 고용단절 초래, 성인지적 대응으로 다음 팬데믹에 대비해야

국회입법조사처 10 Mar 2022

□ 국회입법조사처(처장 김만흠)는 2022년 3월 10일(목), 「코로나19 시기의 가족 돌봄: 팬데믹 상황에서의 일·생활 균형의 조건과 과제」라는 제목의 『NARS 현안분석』을 발간함 □ 코로나19는 돌봄 공백과 위기를 초래하였고, 가족 돌봄 부담은 주로 여성에게 전가됨 ○ OECD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2세 미만 자녀에 대한 부모 돌봄 분담의 성별 격차가 47%로 조사 대상 국가 중 6번째로 격차가 큰 국가임 ○ 우리나라는 팬데믹 상황에서 여성이 ‘주로’ 또는 ‘전적으로’ 자녀를 돌본 비율이 64%이고, 남성의 돌봄 책임 비율은 17%임 □ 팬데믹이 초래한 돌봄 공백과 위기는 여성 고용단절에 영향을 미침 ○ 여성 취업자 감소폭은 남성에 비해 크고, 노동시장 재진입 등 회복세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딘 것으로 조사됨 ○ 여성 임금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초등 이하 자녀가 있는 여성은 다른 여성에 비해 실직 비율이 더 높고 실직 이후 재취업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퇴직 사유는 ‘돌봄 때문’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음

배제와 포용,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하겠습니까

경향신문 08 Mar 2022
배제와 포용,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하겠습니까

Journal

MORE JOURNALS >

Internal brand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the effects of internal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practices, and PSM on employees’ brand perceptions

Public Management Review
v.24(3) Mar 2022 pp.442-465

Emotional Well-being Among Public Employees: A Comparative Perspective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v.42(1) Mar 2022 pp.31-59

National climate funds: a new dataset on national financing vehicles for climate change

Climate Policy
v.22(3) Mar 2022 pp.401-410

Report

MORE REPORTS >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the measurement of non-market outpu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OECD
Feb 2022

2022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편람

기획재정부
Mar 2022

2021년 '작은연구' 지원사업 연구과제 보고서

서울연구원
Mar 2022

Book

MORE BOOKS >

(통계로 본) 한국지방자치단체 70년 변천사 : 이승만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까지

양영철
온누리디앤피
2021

(스마트 공공 서비스를 위한) 빅데이터 기반 예측 행정 시스템

이동규
윤성사
2020

목민심서(牧民心書), 지방자치(地方自治)를 비추다

정영오
지식과감성
2020

포스트 코로나와 로컬뉴딜 : with 코로나 시대, 로컬에서 답을 찾다!

유창복, 이재경, 김다예
책숲
2020

Conference

MORE CFPS >

[APPAM] The Power of Inclusion: Incorporating Diverse Voices in Public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place Austin, Texas, USA
date Mar 27-29 , 2022
submission N/A

[한국정책과학학회] 2022 춘계학술대회 안내

place Feb 10, 2022
date 서울시립대학교
submission Mar 18, 2022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