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Linguistics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SSCI Journ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언어학 관련 도서관 신착 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를 제공합니다.

Journal & Article

언어학 관련 국내외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WebDB

언어학 관련 학술 DB 정보를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언어학 관련 국내외 최신 연구보고서 및 뉴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언어학 관련 국내외 학술대회, 논문투고 정보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단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OCW

언어학 관련 공개강의 및 TED 등의 동영상 정보를 제공합니다.

Newsletter

매월 발행되는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Jun 2019 vol. 15
고려대학교 도서관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SICS)

News

MORE NEWS >
We taught bees a simple number language – and they got it

We taught bees a simple number language – and they got it

The Conversation 05 Jun 2019

Most children learn that written numbers represent quantities in pre-school or junior primary school. Now our new study shows that honeybees too can learn to match symbols and numerosities, much like we humans do with Arabic and Roman numerals. Language is the ability to learn and use a system of symbolic representations for communication. This includes a capacity to relate signs to abstract information. For example, letters grouped together make a word which we can read, and sounded words put together in the correct order allow us to have a conversation. Human language can incorporate spoken, written, visually signed, or tactile forms like braile.

Teaching language models grammar really does make them smarter

MIT News 29 May 2019

Voice assistants like Siri and Alexa can tell the weather and crack a good joke, but any 8-year-old can carry on a better conversation. The deep learning models that power Siri and Alexa learn to understand our commands by picking out patterns in sequences of words and phrases. Their narrow, statistical understanding of language stands in sharp contrast to our own creative, spontaneous ways of speaking, a skill that starts developing even before we are born, while we're still in the womb. To give computers some of our innate feel for language, researchers have started training deep learning models on the grammatical rules that most of us grasp intuitively, even if we never learned how to diagram a sentence in school. Grammatical constraints seem to help the models learn faster and perform better, but because neural networks reveal very little about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researchers have struggled to confirm that the gains are due to the grammar, and not the models’ expert ability at finding patterns in sequences of words.

국민의 알 권리, 국립국어원 민관 합동으로 전문용어를 쉽게 다듬는다

한국강사신문 05 Jun 2019
국민의 알 권리, 국립국어원 민관 합동으로 전문용어를 쉽게 다듬는다

Korean language speakers should take pride in Konglish – it’s another wonderful example of linguistic diversity

The Conversation 14 Jun 2019

Konglish is the term used to describe the variety of English unique to Korea. It is just one of many varieties of the English language that exists far beyond the borders of so-called “inner circle” Englishes – those spoken in countries such as Britain and the US, for example. As such, Konglish is sometimes met with hostility – even by Koreans themselves – and some regard it as synonymous with errors and failed attempts to learn “proper” English. Examples of additional Englishes beyond the inner circle can be found in India, Ghana and Singapore.

언어는 인권이다 -공공언어 개선의 필요성

한글문화연대 10 Jun 2019

우리나라의 공공언어를 살펴보면, 문장을 좀 더 분명하고 우리말답게 써야 하는 과제가 있기는 하지만, 가장 눈에 띄는 문제는 역시 어려운 용어의 사용이다. 1990년대까지는 일본에서 건너온 한자어가 주로 문제였고 요즘은 외국어, 특히 영어 남용이 문제다. 우리나라에서 행정과 정책을 다루는 공공용어는 일제 강점 이전부터 법률을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 일본이 번역한 서구의 개념과 용어를 들여다 쓴 탓에 온통 일본식 한자어 투성이였따. 이는 불가피했지만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었다. 해방 뒤 우리말을 도로 찾으려는 노력 덕에 일본어 찌꺼기를 많이 버리긴 했어도, 주요한 개념과 용어에서 모든 일본식 한자어를 버릴 수는 없었다. 그럼에도 지난 70년 동안 민사소송법을 개정하고 수많은 법률용어와 행정용어를 순화하는 등 낯설고 어려운 일본식 한자어를 고치는 노력이 꾸준히 이어졌다. 그리하여 1990년대 중반에 문자 표기에서도 한글전용이 정착하면서 사회적 소통의 장벽이 낮아질 가능성이 열렸다.

Journal

MORE JOURNALS >

‘-기는’ 그리고 ‘-것은’ 분열문과 한국어의 외곽구조

생성문법연구
v.29(2) May 2019 pp.235-258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 한국어 수업의 상호작용 양상 고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53 May 2019 pp.77-99

뉴스에 나타나는 독립적 명사구, ‘명사문’ 연구

형태론
v.21(1) May 2019 pp.1-36

Research Trends in Applied Linguistics from 2005 to 2016: A Bibliometric Analysis and Its Implications

Applied Linguistics
v.40(3) Jun 2019 pp.540-561

The use of intracranial recordings to decode human languag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Brain and Language
v.193 Jun 2019 pp.73-83

Reversal shift in phonotactic learning during language production: Evidence for incremental learning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v.106 Jun 2019 pp.135-149

Report

MORE REPORTS >

남북 역사 분야 전문용어 구축

국립국어원
Jun 2019

2018년 방송언어 개선 연구

국립국어원
Jun 2019

Discourse Analysis in a Virtual Classroom: A MOOC Example

SSRN
Jun 2019

Book

MORE BOOKS >

Grammatical voice

Zúñiga Fernando, Kittilä Sepp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훈민정음 : 제자원리와 역리의 상관성

권오휘
박이정
2018

(언어학자를 위한) 통계학

Eddington David
Hu:ine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17

The syntactic structures of Korean : a construction grammar perspective

Jong-Bok Ki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Conference

MORE CFPS >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lied Linguistics Issues (ALI 2019)

place St.Petersburg, Russian Federation
date Jul 19-20, 2019
submission Jun 20, 2019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29차 국제학술대회 : 교실 기반 한국어 평가의 내용과 방법 탐색

place 고려대학교 국제관, 인촌기념관
date Jul 5-6, 2019
submission N/A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