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Linguistics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SSCI Journ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언어학 관련 도서관 신착 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를 제공합니다.

Journal & Article

언어학 관련 국내외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WebDB

언어학 관련 학술 DB 정보를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언어학 관련 국내외 최신 연구보고서 및 뉴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언어학 관련 국내외 학술대회, 논문투고 정보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단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OCW

언어학 관련 공개강의 및 TED 등의 동영상 정보를 제공합니다.

Newsletter

매월 발행되는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Jul 2019 vol. 16
고려대학교 도서관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SICS)

News

MORE NEWS >
Emoji aren’t ruining language: they’re a natural substitute for gesture 🔥🔥🔥

Emoji aren’t ruining language: they’re a natural substitute for gesture 🔥🔥🔥

The Conversation 05 Jul 2019

We’re much more likely to be hanging out on social media than at the watercooler these days. But just because we’re no longer face-to-face when we chat, doesn’t mean our communication is completely disembodied. Over the last three decades, psychologists, linguists, and anthropologists, along with researchers from other traditions, have come together to understand how people ges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sture and speech. The field of gesture studies has demonstrated that there are several different categories of gesture, and each of them has a different relationship to the words that we say them with. In a paper I co-authored with my colleague Gretchen McCulloch, we demonstrate that the same is true of emoji. The way we use emoji in our digital messages is similar to the way we use gestures when we talk.

교과서에서 사라진 “ 우랄 알타이 어족 ”한국어의 계통은 무엇인가?

한글문화연대 12 Jul 2019
교과서에서 사라진 “ 우랄 알타이 어족 ”한국어의 계통은 무엇인가?

‘우랄 알타이 어족’은 ‘우랄 어족’과 ‘알타이 어족’을 함께 일컫는 말로서, 우랄산맥 근처의 어족과 알타이산맥 근처의 어족을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우랄 알타이 어족’이라 하면 어떠한 공통점에 의해 ‘우랄 어족’과 ‘알타이 어족’이 하나의 어족관계로 묶일 수 있음을 의미하고, 이것은 곧 ‘공통 조상 언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한국어가 ‘우랄 알타이 어족’에 속한다”라는 말은, ‘우랄 알타이 어족’에 속하는 세계의 언어들, 몽골어, 만주어, 튀르크어들과 조상 언어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Emojis vs. emoticons

Language Log 08 Jul 2019

Here's an emoji: 😻 Here's an emoticon: :‐) As we will see below, the superficial resemblance of the two words is completely coincidental — even though they both have to do with the visual depiction of emotions and ideas in texts. This post began as a comment to "Emoticons as writing" (7/7/19), but it soon became too long and too complex to fit in a comment, so it now receives separate treatment of its own.

훈민정음의 ㅥㆀ은 ㄲㄸㅃㅉㅆㆅ처럼 긴소리

뉴시스 16 Jul 2019
훈민정음의 ㅥㆀ은 ㄲㄸㅃㅉㅆㆅ처럼 긴소리

지금 24자 체계의 ‘한글’에선 ㄲㄸㅃㅆㅉ은 된소리로 사용되지만, 1446년 28자 체계의 ‘훈민정음’에서 ㄲㄸㅃㅉㅆㆅ은 긴소리였다. 훈민정음 해례본에선 <사진>에서처럼 중국 전통 성운학의 용어를 써서 ㄱㄷㅂㅈㅅㆆ은 ‘전청’, ㄲㄸㅃㅉㅆㆅ은 ‘전탁’이라 칭했다. 현재 중국의 상황을 말하자면, 만주족의 청나라 이후 전탁 소리가 완전히 전청으로 변해,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전청과 전탁의 차이점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한다. 서구 언어학을 빌어 “전탁은 로마자 g d b 같은 유성음” 정도로만 인식하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해례본을 통해 중국어에서 잊혀진 전통 탁성의 실체가 뭔지 알게 되면 매우 놀랄 것이다.

한국 교육부, 인도 중·고교서 한국어 시범 교육

국방일보 12 Jul 2019

인도 중·고등학교 10곳에서 한국어 시범 교육이 실시된다. 주인도 한국문화원은 오는 22일부터 내년 1월까지 인도 수도권 9개 학교와 동부 마니푸르 지역 1개 학교 등 현지 중·고등학교 10곳에서 한국어 시범 수업이 진행된다고 지난 12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현지 중등 교육과정 내 한국어 채택을 위한 기반 조성차 추진됐다. 한국 교육부가 ‘해외 초·중고 한국어 채택 지원사업’을 통해 관련 비용을 지원했다. 수업은 주 2회 실시되며 약 500여 명의 인도 학생이 교육받게 된다. 한국문화원이 국립국어원의 ‘세종한국어1’을 토대로 교재를 제작했고 세종학당 강사들이 교육을 맡는다. 인도는 영어 외에 22개의 주별 공용어가 있을 정도로 여러 언어가 통용되는 나라다.

Journal

MORE JOURNALS >

훈민정음 후음자 ‘ㅇ’의 기능과 파스파 문자

국어학
v.90 Jun 2019 pp.83-109

국어 피동 표현과 일본어 영향설에 대하여

한글
v.80(2) Jun 2019 pp.321-351

한영 과거-비과거 분할 시점 대조 분석 -세종 한영 병렬 말뭉치에 기반하여-

한국어 의미학
v.64 Jun 2019 pp.29-55

Brain networks involved in accented speech processing

Brain and Language
v.194 Jul 2019 pp.12-22

Research Trends in Applied Linguistics from 2005 to 2016: A Bibliometric Analysis and Its Implications

Applied Linguistics
v.40(3) Jun 2019 pp.540-561

The Effect of Perception of Teacher Characteristics on Spanish EFL Learners’ Anxiety and Enjoyment

MODERN LANGUAGE JOURNAL
v.103(2) Jul 2019 pp.412-427

Report

MORE REPORTS >

Composition and projection in speech and gesture

LingBuzz > Semantics
Jul 2019

Aspectual differences between agentive and non-agentive uses of causative predicates

LingBuzz > Semantics
Jul 2019

Case Interactions in Syntax

LingBuzz > Syntax
Jul 2019

Book

MORE BOOKS >

한국어 피동문의 유형론적 연구

백정화
한국문화사
2019

한국어 관형사와 중국어 대응어 대조 연구

주위
푸른사상
2019

내러티브와 세미오시스

이윤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중국어 문법의 토대

조경환
한국문화사
2018

Conference

MORE CFPS >

2019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ulture, Languages and Literature (ICCLL 2019)

place Taiwan
date Aug 15-17, 2019
submission N/A

[한국어의미학회] 45차 전국학술대회 안내

place 고려대학교 운초우선교육관 201호, 204호
date Aug 13, 2019
submission N/A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