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Linguistics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SSCI Journ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언어학 관련 도서관 신착 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를 제공합니다.

Journal & Article

언어학 관련 국내외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WebDB

언어학 관련 학술 DB 정보를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언어학 관련 국내외 최신 연구보고서 및 뉴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언어학 관련 국내외 학술대회, 논문투고 정보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단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OCW

언어학 관련 공개강의 및 TED 등의 동영상 정보를 제공합니다.

Newsletter

매월 발행되는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Apr 2022 vol. 49
고려대학교 도서관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SICS)

News

MORE NEWS >
Is Ukrainian a language or a dialect? That depends on whom you ask and how the war ends

Is Ukrainian a language or a dialect? That depends on whom you ask and how the war ends

The Conversation 18 Apr 2022

Since the start of the war in Ukraine, the number of people studying Ukrainian on Duolingo, a language learning website and mobile app, has increased by more than 500%. Most of those who are taking up Ukrainian are probably unaware that there is a long-running controversy about this particular form of speech. One side views Russians and Ukrainians as “one people,” and the opposing side does not.

How left brain asymmetry is related to reading ability

ScienceDaily 05 Apr 2022

Researchers report that two seemingly opposing theories of language processing are both correct. The study shows that greater left-brain asymmetry can predict both better performance and average performance on a foundational measure of reading ability, depending on whether analysis is conducted over the whole brain or in specific regions.

정책 명칭은 6∼7음절 한국어로…"이해도·선호도 높아"

매일경제 07 Apr 2022

국민이 알기 쉽고 선호하는 정책명은 외국어나 외래어가 없는 6∼7음절 한국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립국어원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공공기관 정책명 개선을 위한 실태 조사' 보고서를 7일 공개했다. 박지순 연세대 교수 연구팀은 조사에서 만 14∼79세 국민 2천 명을 대상으로 정책명 50개를 제시한 뒤 인지도, 정책명 이해도, 뜻풀이 이해도, 선호도, 정책 홍보 기여도를 물었다. 이해도가 높은 정책명으로는 '걷기 좋은 천리길', '365일 경북에서 놀자', '지능형 인재개발체계', '고향 사랑 기부제', '그린 리모델링'이 꼽혔다.

Researchers make Deseret Alphabet texts available for study

Phys.org 06 Apr 2022
Researchers make Deseret Alphabet texts available for study

남북한 언어 이질화 극복 시급하다

대구경제신문 16 Apr 2022

언어는 소통의 수단이다.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단순히 소통을 넘어 상호이해를 넓히고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한다. 그래서 언어를 공유하는 사람들끼리는 쉽게 공동체가 형성되고 공동의 역사와 문화를 만들어 갈 수 있다. 그만큼 언어가 인간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남북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인 한글은 역사적으로 700년이 가까이 되어가고 그 근원을 따진다면 기원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남북의 구성원들은 긴 역사 동안 같은 언어를 사용하면서 공동체를 형성해왔다. 그런데 남북이 분단된 이후 언어의 소통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북한 이탈주민과 일상적인 대화 과정에서 서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왜일까? 바로 70년이란 긴 시간의 물리적 단절 외에도 남북이 추구해온 이념과 가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북한은 북한식 사회주의를 바탕으로 정치·경제체제를 구축했고 주민들의 사회생활도 규정했다. 남한 역시 자유민주주의라는 이념에 따라 정치·경제·사회체제 등이 형성되었다.

Journal

MORE JOURNALS >

Children’s Knowledge of Multiple Word Meanings: Which Factors Count and For Whom?

Applied Linguistics
v.43(2) Apr 2022 pp.293-315

Applied corpus linguistics for language acquisition, pedagogy, and beyond

Language Teaching
v.55(2) Apr 2022 pp.233-244

Addressing unsolved educational problems about linguistically diverse children: perspectives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v.25(4) Apr 2022 pp.1194-1211

Report

MORE REPORTS >

2021년 국어 기초 어휘 선정 및 어휘 등급화 연구

국립국어원
Apr 2022

The Impact of High-Immersion Virtual Reality on Foreign Language Anxiety When Speaking in Public

SSRN
Apr 2022

Silent lateral actors: the role of unpronounced nuclei in morpho-phonological analyses

LingBuzz
Apr 2022

Book

MORE BOOKS >

Second language speech learning : theoretical and empirical progress

Ratree Way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The societal codification of Korean English

Alex Baratta
Bloomsbury Academic
2021

Prismatic translation / Pbk. ed

Matthew Reynolds
Legenda
2021

(쉽게 읽는) 한국어학의 이해 / 개정2판

홍종선 외 19명
한국문화사
2022

Conference

MORE CFPS >

[ACLA] ACLA/CAAL Conference 2022

place Online
date May 13-15, 2022
submission N/A

[한국기호학회] 2022 봄 학술대회 안내

place 온라인
date Apr 30, 2022
submission N/A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