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Linguistics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SSCI Journ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언어학 관련 도서관 신착 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를 제공합니다.

Journal & Article

언어학 관련 국내외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WebDB

언어학 관련 학술 DB 정보를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언어학 관련 국내외 최신 연구보고서 및 뉴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언어학 관련 국내외 학술대회, 논문투고 정보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단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OCW

언어학 관련 공개강의 및 TED 등의 동영상 정보를 제공합니다.

Newsletter

매월 발행되는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May 2020 vol. 26
고려대학교 도서관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SICS)

News

MORE NEWS >
Why do kids call their parents ‘Mom’ and ‘Dad’?

Why do kids call their parents ‘Mom’ and ‘Dad’?

The Conversation 06 May 2020

Once, a long time ago, one of us, Bethany, fell behind at the grocery store and was trying to catch up. She called out her mom’s name, “Mom!,” and to her frustration, half the women there turned around and the other half ignored Bethany, assuming it was someone else’s child. How was Bethany going to get her mom’s attention? She knew a secret trick that would work for sure: Her mom had another name. She called “Denise!” and magically, just her mom (the other one of us) turned around. But why do almost all kids use the same name for their parents? This is the kind of question we enjoy investigating as scientists who study families and human development.

Our Ever-Expanding Virus Vernacular

The New York Times 05 May 2020
Our Ever-Expanding Virus Vernacular

'외래어 대 다듬은말', 언중의 선택은?

한국경제 11 May 2020

'동아리(서클), 나들목(인터체인지), 새내기(신입생), 댓글(리플), 미끼상품(로스리더), 둔치(고수부지)' 이들은 성공적 순화어로 꼽을 만한 대표적인 말이다. 여기에는 공통점이 있다. 형태적으로 짧고, 의미적으로 딱 떨어진다는 점이다. 공공언어가 어렵다는 지적은 어제오늘 얘기가 아니다. 그러면 어느 정도 수준의 말이면 독자들이 어렵다고 느끼는 것일까? 지난 2월 20일 국립국어원이 발표한 조사 결과에서 그 일단을 엿볼 수 있다. 조사 대상 공공용어 140개 중에서 일반 국민이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용어가 97개(69%)에 달했다.

Similar brain glitch found in slips of signing, speaking

ScienceDaily 04 May 2020

When we speak, we give little thought to how the words form in our brain before we say them. It's similar for deaf people using sign language. Speaking and signing come naturally, except when we stumble over words, or swap one word for another when we speak or sign too quickly, are tired or preoccupied. Fluency and the occasional disfluency both happen because of how we choose what to say or sign, when a neural mechanism takes place in our brains as we make decisions and monitor how we communicate.

언어의 역사성

서울신문 10 May 2020

사랑은 변하는 거라고 말한다. 그런데도 변치 말자고 다짐하고 약속한다. 약속을 기념하며 징표를 만들기도 한다. 그래도 사랑들은 식고 변하고 사라진다. 언어도 변한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언어는 사회적 약속이어서 누가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사과나무의 열매를 ‘사과’라 부르고, 계절을 ‘봄ㆍ여름ㆍ가을ㆍ겨울’이라고 하는 사회적 약속을 함부로 깨지 못한다. 그렇다 해도 말은 새로 생기고 성장하고 소멸한다. 규범을 만들고, 그것을 선언하고, 사전에 가둬 놓아도 말은 변한다. 언어의 역사성이다.

Journal

MORE JOURNALS >

From Co-Actionality to Extended Intersubjectivity: Drawing on Language Change and Ontogenetic Development

Applied Linguistics
v.41(2) Apr 2020 pp.185-214

The teacher’s role in supporting two-way language learning in classroom tandem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v.23(5) May 2020 pp.534-549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SYNTACTIC KNOWLEDGE AND VOCABULARY KNOWLEDGE IN SECOND LANGUAGE LISTENING ABILITY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v.42(2) May 2020 pp.383-410

Report

MORE REPORTS >

Morphological Features of Lexical Idioms

SSRN
May 2020

Lexical accents are underlying foot edges: Evidence from Vedic Sanskrit

LingBuzz
May 2020

Misused Terms in Linguistics

LingBuzz
May 2020

Book

MORE BOOKS >

국어 의미의 탐구

남경완
한국문화사
2020

한국어 정보구조 연구

최윤지
태학사
2019

Sprachdiagnostik Deutsch als Zweitsprache : ein Handbuch

Jeuk, Stefan.Settinieri, Julia.
De Gruyter
2019

Handbuch Sprache im Urteil der Öffentlichkeit

Gerd Antos, Thomas Niehr
De Gruyter
2019

Conference

MORE CFPS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20년 봄 학술대회

place 한국외국어대학교
date May 29, 2020
submission N/A

<한민족어문학> 88집 논문모집 안내

place N/A
date N/A
submission May 25, 2020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