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Linguistics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SSCI Journ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언어학 관련 도서관 신착 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를 제공합니다.

Journal & Article

언어학 관련 국내외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WebDB

언어학 관련 학술 DB 정보를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언어학 관련 국내외 최신 연구보고서 및 뉴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언어학 관련 국내외 학술대회, 논문투고 정보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단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OCW

언어학 관련 공개강의 및 TED 등의 동영상 정보를 제공합니다.

Newsletter

매월 발행되는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Sep 2020 vol. 30
고려대학교 도서관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SICS)

News

MORE NEWS >
AI called GPT-3 can write like a human but don’t mistake that for thinking – neuroscientist

AI called GPT-3 can write like a human but don’t mistake that for thinking – neuroscientist

The Conversation 17 Sep 2020

Since it was unveiled earlier this year, the new AI-based language generating software GPT-3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for its ability to produce passages of writing that are convincingly human-like. Some have even suggested that the program, created by Elon Musk’s OpenAI, may be considered or appears to exhibit, something like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 the ability to understand or perform any task a human can. This breathless coverage reveals a natural yet aberrant collusion in people’s minds between the appearance of language and the capacity to think.

In Quarantine, Kids Pick Up Parents’ Mother Tongues

The New York Times 10 Sep 2020
In Quarantine, Kids Pick Up Parents’ Mother Tongues

[우리말과 한국문학] AI가 이해하는 방언의 깊이

영남일보 17 Sep 2020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만들어주는 '언어'라는 현상은 너무나도 다차원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어서, 그토록 막강한 AI조차도 언어를 극복하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컴퓨터가 '자연 언어'라는 인간의 언어를 정복하는 것, 즉 인간과 기계의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시각 처리나 체스·바둑을 두는 로봇의 개발과는 또 다른 차원의 도약이 필요하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AI 스피커를 한 번이라도 사용해 본 사람이라면 처음 경험했던 신세계의 산물이 금방 소통의 한계를 드러내는 아쉬움을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인간 언어의 처리가 특히 어려운 이유는 의미와 의미를 주고받는 언어적 소통이 단지 참·거짓의 명제적 지식 또는 사실적 정보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감정의 공유나 주관적인 의도의 전달 등 매우 함축적인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훗날 인간과 기계는 자유롭게 또 완벽하게 의사소통이 가능할까.

Bilingual children may lose less brain matter as they grow up

ScienceDaily 02 Sep 2020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speak more than one language may reach adulthood with more grey matter, according to a new study. In a paper published in Brain Structure and Function, an international team of academics led by the University of Reading and Georgetown University looked at detailed scans of children's and adolescents' brains and found that bilingual participants had potential advantages of both grey and white matter than similarly-aged children who spoke only one language.

국립국어원, 인공지능 학습용 한국어 자료 대규모 공개

국립국어원 25 Aug 2020

국립국어원(원장 소강춘)은 인공지능의 한국어 처리 능력 향상에 필수적인 한국어 학습 자료 13종 18억 어절 분량을 8월 25일(화) 국립국어원 ‘모두의 말뭉치’(https://corpus.korean.go.kr)에서 공개한다. 국립국어원에서 이번에 공개한 자료는 한국어 분야의 빅데이터라고 할 수 있는데 이를 전문 분야에서는 말뭉치(corpus)라고 한다. 챗봇이나 인공지능 비서가 한국어를 자연스럽게 알아듣고 분석하여 말할 수 있으려면 반드시 다양한 한국어 말뭉치로 학습을 해야 하기 때문에 한국어 인공지능 기술의 성능 향상은 많은 양의 품질 좋은 한국어 말뭉치 확보에 달려 있다. 이에 국립국어원은 ’18년부터 인공지능 산업계와 관련 연구 기관 등에서 공공재로 활용할 수 있는 대규모 한국어 학습 자료 구축 사업을 시작했으며 이번에 공개하는 자료는 작년까지 구축한 18억 어절 규모의 말뭉치이다. 공개 자료는 국립국어원에서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여 구축한 것이며 ‘모두의 말뭉치’ 사이트에서 온라인 약정서를 작성, 승인을 받으면 누구나 파일을 내려받아 이용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지난 ’98년에서 ’07년까지 ‘21세기 세종계획’을 추진하여 약 2억 어절의 자료를 구축, 공개한 바 있다. 10여 년이 지난 뒤 이번에 다시 공개하는 자료는 예전보다 9배 많은 것으로, 그동안 공개된 학습 자료의 부족으로 곤란을 겪던 한국어 처리 기술이 든든한 지원군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Journal

MORE JOURNALS >

Equity in Representing Literacy Growth in Dual Language Bilingual Education for Emerging Bilingual Students

TESOL QUARTERLY
v.54(3) Sep 2020 pp.719-742

Functional linguistic specificity of the left frontal aslant tract for spontaneous speech fluency: Evidence from intraoperative language mapping

BRAIN AND LANGUAGE
v.208 Sep 2020 Article 104836

The impact of L2-learning experience and target dialect on predicting English vowel identification using Korean vowel categories

JOURNAL OF PHONETICS
v.82 Sep 2020 Article 100983

Report

MORE REPORTS >

[2019 연구보고] 훈민정음 현대어 번역(3)

국립한글박물관
Sep 2020

The structural uniqueness of languages and the value of comparison for language description

LingBuzz
Sep 2020

Nationally and Culturally Oriented Component in Foreign Languages Teaching

SSRN
Sep 2020

Book

MORE BOOKS >

Eye tracking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bilingualism : a research synthesis and methodological guide

Aline Godfroid
Routledge
2020

최신 언어이론과 중국어 연구

劉丹靑
한국문화사
2020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ducation : digital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David Kent
Kotesol DCC
2019

Vocabulary in language teaching / 2nd ed

Norbert Schmitt, Diane Schmit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Conference

MORE CFPS >

[한국생성문법학회] 2020 가을학술대회 개최 안내 및 발표 논문 모집

place 온라인
date Oct 30, 2020
submission Sep 30, 2020

<언어학> 28권 4호 논문투고 안내

place N/A
date N/A
submission Sep 30, 2020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