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Linguistics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SSCI Journ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언어학 관련 도서관 신착 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를 제공합니다.

Journal & Article

언어학 관련 국내외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WebDB

언어학 관련 학술 DB 정보를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언어학 관련 국내외 최신 연구보고서 및 뉴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언어학 관련 국내외 학술대회, 논문투고 정보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단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OCW

언어학 관련 공개강의 및 TED 등의 동영상 정보를 제공합니다.

Newsletter

매월 발행되는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May 2018 vol. 2
고려대학교 도서관 언어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SICS)

News

MORE NEWS >
The elusive foolproof theory of the origin of language

The elusive foolproof theory of the origin of language

The Conversation 02 May 2018

If there is one most distinguishing feature that makes us human, it would be our ability to enunciate words, aka language. Through language, we convey our feelings and thoughts as well as influence others. Language is a crucial part of society and has been our primary socialisation tool. Without this tool, humans might not have been able to reach the state where we are now.

Even when the likes of Macron foul up, multilingual politicians get it right

The Guardian 06 May 2018
Even when the likes of Macron foul up, multilingual politicians get it right

우리 집 인공지능이 똑똑하지 않은 이유

서울신문 19 Apr 2018

지난 1월 말 문화체육관광부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제출한 50여쪽의 업무보고에는 딱 한 문장으로 기술된 연구개발 계획이 포함됐다. ‘국어거대자료(말뭉치) 구축 사업’, 이 한 줄짜리 보고가 일으킨 파급력은 적지 않다. 국립국어원은 ‘잃어버린 10년’을 반추했고, 한국어 처리 기술 기반의 국내 인공지능 스타트업들은 큰 기대를 품고 있다. 국어거대자료로 불리는 ‘말뭉치’(Corpus)는 컴퓨터가 우리 언어를 이해할 수 있게 전산화한 말과 글의 집합체다. 신문·잡지 기사, 소설부터 SNS에 쓴 글 같은 웹 말뭉치까지 전부 활용 가능한 언어 자원이다.

Multiscriptal, multilingual Hong Kong headline

Language Log 04 May 2018

On the topic of Chinese newspaper headlines [VHM: see the link at the end of this post], you may be interested in taking a look at this relatively typical Hong Kong-Chinese newspaper headline that appeared in this past Monday’s edition of the Apple Daily newspaper. In addition to the standard Chinese characters and vocabulary, the headline also includes the English letters MPF representing the abbreviation of Mandatory Provident Fund, Arabic numbers 203 indicating a sum of money, AND, most interestingly to me, one Cantonese character, namely 孭 that transcribes the Cantonese morphosyllable me1 ‘(literally) to carry (sth.) on one’s back, such as a baby, backpack, etc.; (figuratively) to bear or take on a burden of some kind, such as a debt, responsibility, etc.’.

남과 북의 언어 예절

한국일보 01 May 2018

남북이 자주 만나고 교류하게 되었을 때, 남과 북의 언어 예절이 달라서 생기는 문제를 간과할 수 없을 듯하다. 단어의 의미 차이보다도 화법 등의 차이가 더 큰 오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소위 ‘빈말’의 사용이다. 남한 사람들은 ‘다음에 밥 한번 먹어요’ ‘언제 한잔 하지’ 등과 같은 말을 인사말로 흔히 사용한다. 그런데 북한 사람들은 이러한 말을 들으면 실제로 밥이나 술 약속을 할 거라고 받아들인다. 따라서 이후에 아무런 연락이 없을 때 상당히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다음으로 남한 사람들이 흔히 사용하는 우회적인 표현도 북한 사람들에게는 혼란을 줄 수 있다. 누가 부탁했을 때 완곡한 거절의 표현으로 ‘정말 도와드리고 싶은데, 제가 요즘 많이 바빠서...’라고 흔히 하는데, 북한 사람들은 이런 말을 들으면 도와주겠다는 것인지 아닌지 혼란스럽게 생각한다. 반대로 남한 사람이 듣기에는 무례해 보이는 북한 사람의 말투도 있다. ‘책 좀 빌려 주시오’, ‘창문 좀 열라’와 같은 말을 남한 사람이 들으면 명령 같아서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북한 사람은 순수한 부탁의 의미로 이러한 말투를 흔히 사용한다.

Journal

MORE JOURNALS >

Language unifies relational coding: The roles of label acquisition and accessibility in making flexible relational judgment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v.101 Apr 2018 pp.136-152

A Notion of Semantic Coherence for Underspecified Semantic Representation

Computational Linguistics
v.44 Mar 2018 pp.39-83

Mapping lexical-semantic networks and determining hemispheric language dominance: Do task design, sex, age, and language performance make a difference?

Brain and Language
v.179 Apr 2018 pp.42-50

Report

MORE REPORTS >

언어 소외 계층(초등)을 위한 수준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국립국어원
Apr 2018

남에서는 이런 말, 북에서는 저런 뜻(간추린 남북 언어 차이)

국립국어원
Apr 2018

Indexicals

LingBuzz : Semantics
May 2018

Book

MORE BOOKS >

코퍼스언어학 : 방법·이론· 실제

McEnery, Tony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8

(예비교사를 위한) 한국어 교육실습

박경자
한국문화사
2018

Hybridity in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 grammar, text and discursive context

Miller, D. R , Bayley Paul.
Equinox
2016

Context in the system and process of language

Hasan, Ruqaiya
Equinox
2016

Conference

MORE CFPS >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arrative and Language Studies

place Trabzon, Turkey
date May 14-15, 2018
submission N/A

[대한언어학회] 2018 봄 학술대회

place 전북대학교
date May 19, 2018
submission N/A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