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Education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 Scientific Disciplines
    • Education, Speci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교육학 관련 도서관 신착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입니다.

Journal & Article

교육학 관련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 정보입니다.

WebDB

교육학 관련 학술 DB 및 통계 DB 등을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교육학 관련 국내외 최신 뉴스 및 연구보고서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교육학 관련 국내외 컨퍼런스, 논문투고 일정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 단체 정보입니다.

OCW

교육학 관련 국내외 공개강의 및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Newsletter

지난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Feb 2021 vol. 35
고려대학교 도서관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News

MORE NEWS >
코로나 1년… 갈수록 커지는 교육 불평등

코로나 1년… 갈수록 커지는 교육 불평등

한국교육신문 08 Feb 2021

3월 신학기에는 초등 저학년의 등교수업이 확대될 전망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학습결손과 학력 격차, 돌봄 문제 등이 부각 되면서다. 그러나 아직 모든 학교가 일상으로 돌아가기는 어려운 상황. 원격수업은 코로나19 1년이 지난 현시점 이후로도 우리 교육에 현재진행형인 과제다. ‘교육격차 해소 지금이 골든타임’에서는 4회에 걸쳐 당면한 교육격차 문제의 심각성을 진단해보고 대책과 미래 대안을 모색해 본다. “원격수업이 장기화되면서 아이들의 학력이 전반적으로 떨어진 것은 물론 그 격차가 점점 커지는 게 가시적으로 보여요. 자기주도적 학습이 어렵거나 부모님이 챙겨주지 못하는 아이들은 학습되지 않은 부분이 갈수록 누적돼 대면 평가에서도 그 점이 크게 드러나고 있고, 가정에서의 생활 또한 흐트러진 상태죠.” 서울A초 교사는 현재 방학 동안 긴급하게 도움이 필요한 기초학력 부진 학생들을 선별해 특별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는 “지난 1년 동안 가정에서의 관리 부족으로 온라인 수업을 소화하지 못해 학습 부진으로 연결된 경우가 많았다”며 “짧은 기간 대면 수업을 진행했는데도 실력이 빠르게 회복되는 것을 보니 원격수업에 따른 학력 격차를 체감하게 된다”고 말했다.

2025년부터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학점 이수해야 졸업

조선에듀 17 Feb 2021
2025년부터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학점 이수해야 졸업

오는 2025년부터 고등학교에서도 학생들이 대학교처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듣는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된다. 내신평가는 기존 석차등급 대신 절대평가로 이뤄지며, 학생들은 3년간 192학점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게 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7일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인 경기 구리시 갈매고를 찾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고교학점제는 고등학생이 공통과목을 이수한 후 진로·적성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골라 듣고 기준 학점을 취득하면 졸업하는 제도다. 교육부는 2022년부터 특성화고와 일반고에 고교학점제 일부를 도입한 뒤 2025년에 모든 고교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 수업·학사 운영 기준이 모두 ‘학점’ 위주로 전환된다. 졸업 기준이 204단위(교과 180단위+창의적 체험활동 24단위)에서 192학점(교과 174학점+창의적 체험활동 18학점)으로 바뀌는 것이다.

서울 유·초·중·고에 인공지능 교육과정 도입… AI 교육전문가도 양성

조선에듀 09 Feb 2021
서울 유·초·중·고에 인공지능 교육과정 도입… AI 교육전문가도 양성

올해부터 서울 유·초·중·고교에 인공지능(AI) 기반 융합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육과정이 도입된다. 이러한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향후 5년간 교사 재교육을 실시해 AI 교육전문가 1000명도 양성한다. 이를 통해 미래역량을 갖춘 자기주도적 인재를 양성하고, AI를 활용한 교육의 선순환 체제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9일 서울시교육청은 전 학교급의 교육과정·수업·평가 등에서 AI를 활용하는 ‘AI 기반 융합 혁신미래교육 중장기 발전계획(’21~’25)’을 발표했다. 중점과제는 ▲AI 기반 융합 교육을 통한 공교육 혁신 ▲AI 기반 맞춤형 교육 및 교육격차 해소 ▲AI 기반 초개인화 교육환경 조성 등이다. 먼저 유·초등생을 대상으로 놀이·체험 중심의 AI 이해 및 활용 교육을 실시한다. 유치원에서는 AI를 삶의 일부로 인식·활용할 수 있도록 AI 체험 중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연계 유아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식이다. 초등학교의 경우, 흥미 유발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해 AI 관련 언플러그드 활동에 기반을 둔 놀이·체험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4 Ways to Build a Strong Professional Learning Network for Innovation and Growth

EdSurge 16 Feb 2021
4 Ways to Build a Strong Professional Learning Network for Innovation and Growth

Problem solving is a key skill in teaching. But in the past year, especially, the problems in need of a solution seem to have grown exponentially. How do we teach kids online and in person at the same time? How do we build a strong community of learners when, in some cases, kids haven’t seen each other for more than a year? How can we continue to have students collaborate meaningfully? More than ever, we need to connect with others who can help us find the innovative solutions and opportunities hidden within this disruption of education-as-usual. To that end, we chatted with HP Teaching Fellows Rola Tibshirani, Vicky Masson, Joseph Filipic, Jim Pedrech and Chad Sorrells about how critical professional learning networks (PLNs) have been to both their craft and their well-being. Here, they share four essential recommendations for creating a strong PLN.

Teaching pupils empathy measurably improves their creative abilities

ScienceDaily 02 Feb 2021

Teaching children in a way that encourages them to empathise with others measurably improves their creativity, and could potentially lead to several other beneficial learning outcomes, new research suggests. The findings are from a year-long University of Cambridge study with Design and Technology (D&T) year 9 pupils (ages 13 to 14) at two inner London schools. Pupils at one school spent the year following curriculum-prescribed lessons, while the other group's D&T lessons used a set of engineering design thinking tools which aim to foster students' ability to think creatively and to engender empathy, while solving real-world problems.

Journal

MORE JOURNALS >

Getting along and feeling good: Reciprocal associations between student-teacher relationship quality and students’ emotions

Learning and Instruction
v.71 Feb 2021 101349

Adolescent students’ digital engagemen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rofiles

Computers & Education
v.161 Feb 2021 104058

A review on the accuracy of teacher judgment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v.32 Feb 2021 100374

Report

MORE REPORTS >

4 steps to safely reopen schools and save our nation

Brookings Institution
Feb 2021

Child Protection Policy Awareness of Teachers and Responsiveness of the School: Their Relationship and Implications

SSRN
Feb 2021

A Survey of Psychological Problems of Student Counselors during COVID-19

SSRN
Feb 2021

Book

MORE BOOKS >

(청소년지도사, 청소년상담사, 평생교육사를 위한) 청소년 교육론

김동일 외 7명
교육과학사
2020

교육사회학

Émile Durkheim
간디서원
2020

(인문학으로 읽는) 교육철학사

노상우
교육과학사
2020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 5th ed

Kathryn R. Wentzel
Routledge
2021

Conference

MORE CFPS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년 동계 양적연구 세미나 개최 안내

place Online
date Feb 24-26, 2021
submission N/A

[EDC] 16th Education and Development Conference (EDC2021)

place Virtual
date Mar 5-7, 2021
submission Feb 1, 2021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