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Education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 Scientific Disciplines
    • Education, Speci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교육학 관련 도서관 신착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입니다.

Journal & Article

교육학 관련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 정보입니다.

WebDB

교육학 관련 학술 DB 및 통계 DB 등을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교육학 관련 국내외 최신 뉴스 및 연구보고서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교육학 관련 국내외 컨퍼런스, 논문투고 일정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 단체 정보입니다.

OCW

교육학 관련 국내외 공개강의 및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Newsletter

지난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Oct 2022 vol. 55
고려대학교 도서관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News

MORE NEWS >
학업성취도 평가, 5년 만에 사실상 부활…2024년 초3~고2로 확대

학업성취도 평가, 5년 만에 사실상 부활…2024년 초3~고2로 확대

이투데이 11 Oct 2022

'일제고사'라는 비판 속에 폐지됐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사실상 부활한다. 2017년 전수평가 폐지 후 약 5년 만이다. 최근 학생들의 기초학력 저하가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면서 정부가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의 응시 대상을 확대하기로 하면서다. 교육부는 11일 국무회의에서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2023~2027)'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이명박 정부에서 전수평가 방식으로 시행했으나 ‘줄 세우기’를 강요하는 '일제고사'라는 비판이 나오면서 문재인 정부 들어 폐지됐다. 이후에는 표집 평가 방식으로 일부 학생만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했다. 먼저 정확한 학력 진단을 위해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과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의 응시 대상을 확대한다. 현재 초1~고1인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 대상을 2024년에는 초1~고2로 확대한다.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응시 대상도 현재 초6·중3·고2에서 내년에 초5·6, 중3, 고1·2로, 2024년에는 초3~고2로 확대한다. 아울러 컴퓨터 기반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와 기초학력 진단검사를 연계해 심층적인 진단을 지원하고, 2025년까지 인공지능(AI) 기반 학습진단체계를 활용해 개인별 수준에 따른 맞춤형 진단을 실시한다. 기초학력 미달 학생이 늘어나는 것을 막고자 ‘다중 안전망’으로 학습도 지원한다. AI 학습 프로그램, 학습관리시스템(LMS) 등 통해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고, 1수업 2교사제를 정규수업과 교과 보충에 적용할 계획이다. 기초 문해력 강화를 위해 초등 1~2학년의 한글 익힘 시간도 448시간에서 482시간으로 늘린다.

문 닫는 대학 더 늘어난다…대안으로 떠오른 ‘평생교육’ 전환

한국대학신문 14 Oct 2022
문 닫는 대학 더 늘어난다…대안으로 떠오른 ‘평생교육’ 전환

학령인구 감소로 지역 중소규모 대학이 존폐 위기에 시달리면서 대안 마련이 시급해지고 있다. 대학을 평생교육 체제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전문가들의 목소리도 높아지는 추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0년 대학교 학령인구는 328만 명이었다. 그로부터 10년 뒤 2010년에는 260만 명으로 줄었고 2020년 241만 명으로 더욱 감소했다. 통계청은 2030년에는 대학교 학령인구가 187만 명으로 2020년 대비 77.8% 수준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대로라면 2070년 대학교 학령인구는 101만 명 수준이 된다. 2021학년도 대학 입시에서는 사상 최초로 지원자가 대학 입학 정원보다 적은 상황이 벌어졌다. 전국 대학의 입학 정원은 55만 명 수준인데 수능 접수 인원이 50만 명 아래로 내려간 것이다. 실제로 2021학년도 대학 신입생 충원율을 보면 사실상 미달을 기록한 지역이 속출했다. 2021학년도 일반대의 신입생 등록률은 전년 대비 4%p 하락했고, 전문대는 9.9%p 하락했다. 특히 2020학년도에는 일반대의 경우 전국 모든 지역에서 신입생 충원율이 90%를 상회했지만 2021학년도에는 강원 89.2%, 경남 85%, 경북 88.1%, 전남 89.6%, 전북 89.3%, 제주 89.4% 등으로 무려 6개 지역에서 신입생 충원율이 80%대로 내려앉았다. 사립대의 상황은 더욱 심각했다. 8개 지역에서 신입생 충원율 80%대를 기록한 가운데 경남은 2020학년도 91.6%의 충원율에서 2021학년도 73.1%로 무려 18.5%p나 줄어들었다. 경북과 전남 지역 국립대에서도 80%대의 충원율을 기록하면서 더욱 충격을 줬다. 대학은 이제 단순히 위기를 떠나 존폐를 고민해야 하는 시점에 도달했다. 이런 상황에서 평생교육은 대학 존립을 위한 대안으로 꼽힌다. 저출산 고령화로 기대 수명이 높아진데다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면서 재취업과 재교육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고숙련자나 고학력자의 재교육을 담당할 적합한 주체로 대학을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달 26일 열린 ‘2022 평생학습, 교육의 미래 국제학술대회’에서는 대학의 평생교육 체제 전환을 주제로 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날 기조강연을 펼친 김도연 울산공업학원 이사장은 디지털 시대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한국의 대학교육을 언급하면서 “사회가 요구하는 대학의 모습이 평생교육의 장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짚었다.

수도권 교육청 국감…'교부금‧태블릿‧IB' 두고 공방

한국교육방송공사(EBS) 18 Oct 2022

수도권 교육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여당 의원들은 진보 성향의 조희연 서울교육감의 역점사업에 대해 공세를 퍼부었습니다. 국민의힘 정경희 의원은 서울교육청이 학생들에게 제공한 태블릿 PC의 유해 사이트 차단 기능이 부족하다고 지적했습니다.조희연 서울교육감은 안전성과 자율성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있다고 해명했습니다.최근 스위스에서 시작된 학습법인 IB, 즉 국제 바칼로레아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임태희 경기교육감에 대한 공세도 거셌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은 IB가 혁신학교와 큰 차이가 없는데도, 소수의 학생들에게 막대한 예산을 투입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임태희 경기교육감은 IB는 혁신학교와 달리 명확하고 국제적으로 공인된 평가가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올해 전국 17개 교육청에 80조 넘게 배부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에 대해선 여야가 대립했습니다. 국민의힘 서병수 의원은 학령인구가 줄어들어 교육청에 예산이 남는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민주당 박광온 의원은 과밀학급 해소 등에 여전히 예산이 필요하다며, 정부의 시각을 꼬집었습니다. 한편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일제고사 부활' 논란에 대해선, 수도권 교육감 모두 반대 의사를 밝혔습니다.

Can Analyzing Clicks in Digital Systems Predict Which Students Are Struggling? It Depends.

EdSurge 14 Oct 2022
Can Analyzing Clicks in Digital Systems Predict Which Students Are Struggling? It Depends.

Now that so much college work is done digitally in learning management systems, many colleges are trying to analyze student data from those platforms to predict which students need help. But the practice is so new that it’s not yet clear how well the approach actually works. Can big data from the LMS predict success in a class? That’s the question tackled by a research paper published this week. And the mixed results surprised the scholars working on it. The researchers focused on data from community colleges in Virginia since 2000. They set up two prediction systems to guess whether students would complete a course: one based only on “administrative data” held by the colleges, such as high school GPA and college transcripts of students; and the other based on so-called “clickstream” data generated by students as they went through course activities on the LMS.

Teachers detail digital safety concerns,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s

ScienceDaily 13 Oct 2022

The study, published in the journal TechTrends, was based on interviews with 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Drawing from concerns raised in the study, researchers developed a digital safety summer camp for students and lesson plan on the topic. "All the kids have gadgets these days -- from phones to laptops to desktop computers, and there are many ways to get online," said the study's first author Florence Martin, professor of learning, design and technology at NC State. "Education on digital safety really makes a difference, but it has to be ongoing and it has to be reinforced, not only for the kids, but also for teachers and parents." Researchers identified five general areas of concern for digital safety from the teacher interviews -- concerns that were based on teachers' observations in classrooms, as well as virtually when coursework was shifted onlin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concerns were related to content students were accessing online; their online conduct; contact with others online; "contract"-related issues with privacy; and issues with home use. In terms of concerns about the type of content students were accessing online, teachers reported elementary students were attempting to access or searching for inappropriate content such as pornographic material or gambling websites. "I was very surprised -- you might think this problem would come up later since these ar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kids," Martin said.

Journal

MORE JOURNALS >

교육과정 내용분석을 통한 생태전환교육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v.40(3) Sep 2022 pp.1-25

A Systematic Review of Early Childhood Exclusionary Disciplin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92(5) Oct 2022 pp.743-785

Dynamic reciprocal relations of achievement goals with daily experiences of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An ambulatory assessment study

Learning and Instruction
v.81 Oct 2022 101617

Report

MORE REPORTS >

Toward equitable, quality education for all: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learning and skills

Brookings Institution
Oct 2022

Professors’ identity and interaction in a culturally diverse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SSRN
Oct 2022

고등학교 정치·선거 교육의 실태

경기도교육연구원
Sep 2022

Book

MORE BOOKS >

로봇은 교사를 대체할 것인가? : 인공지능과 교육의 미래

Neil, Selwyn
에듀니티
2022

메타버스 교육백서

김규섭 외 11인
지오북스
2022

Allgemeine Erziehungswissenschaft : systematische und historische Abhandlungen

Wolfgang, Klafki
Vs Verlag Fur Sozialwissenschaften
2019

Building the innovation school : infrastructures for equity in today's classrooms

T. Philip, Nichols
Teachers College Press
2022

Conference

MORE CFPS >

[한국일본교육학회] 제 142회 추계학술발표회 안내

place 고려대학교 / 온라인
date Oct 22, 2022
submission N/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추계학술대회 안내

place 온라인
date Oct 29, 2022
submission Oct 22, 2022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