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Education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 Scientific Disciplines
    • Education, Speci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교육학 관련 도서관 신착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입니다.

Journal & Article

교육학 관련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 정보입니다.

WebDB

교육학 관련 학술 DB 및 통계 DB 등을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교육학 관련 국내외 최신 뉴스 및 연구보고서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교육학 관련 국내외 컨퍼런스, 논문투고 일정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 단체 정보입니다.

OCW

교육학 관련 국내외 공개강의 및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Newsletter

지난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Apr 2022 vol. 49
고려대학교 도서관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News

MORE NEWS >
디지털기기 학습 활용 시간…OECD 7개국 중 최하위

디지털기기 학습 활용 시간…OECD 7개국 중 최하위

한국교육신문 25 Apr 2022

우리나라 학교의 디지털기기 사용 시간은 OECD 평균보다 약간 길지만, 주로 교사만 사용하고 학생이 학습을 위해 이용하는 빈도는 상대적으로 적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교육개발원은 최근 발행한 ‘교육의 디지털 전환, 아직도 선택의 문제인가’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히고, 디지털기기의 일상적 활용을 통해 학생이 자연스럽게 디지털 역량을 기르는 선순환 체제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연구진이 OECD PISA 2018의 학생 응답을 분석한 결과, 학교의 디지털기기 접근성과 수업 시간 내 디지털기기 사용 시간은 OECD 평균보다 약간 높았지만, ‘교사만 사용한다’는 비율이 OECD 평균보다 상당히 높았다. 교사의 응답도 마찬가지로, 학생 교육에 디지털기기를 활용한다는 응답 비율은 OECD 7개 국가 중 최하위였다. 교사 양성 프로그램 중 ICT 활용 능력 관련 내용은 OECD 7개 국가의 평균보다 약간 높았으나, 교사 전문성 계발 활동 중 ICT 활용 능력 관련 내용은 평균 이하였다. 학생 수 대비 PC 비율은 OECD 국가 평균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연결 비율은 OECD 평균과 비슷했고, 학교의 디지털기기 활용 환경과 정책 여건은 OECD 평균보다 높았다. 연구진은 우리나라 학생의 디지털기기 및 인터넷 사용에 대한 흥미, 활용 역량, 자율성, 디지털기기를 통한 의견 공유나 토론 경험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교육의 디지털 전환은 더 나은 프로세스를 만들어 교육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하려는 접근"이라며, "디지털의 힘을 제대로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이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디지털기기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디지털기기를 주도적으로 사용하는 방향으로 교수학습의 변화를 유도할 것을 제안했다.

교육부에 '대학업무' 존치할 듯…과기부와 통폐합은 없던 일로

이투데이 01 Apr 2022
교육부에 '대학업무' 존치할 듯…과기부와 통폐합은 없던 일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가 ‘대학업무’를 교육부에 존치시키는 방향으로 정부조직개편안 초안을 잡았다. 애초 과학과 교육 분야를 합쳐 ‘과학기술교육부’를 신설하는 방안도 철회될 예정이다. 교육계에 따르면 1일 저녁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등 대학 총장들은 과학기술교육분과 위원들과 만나 이러한 내용을 담은 첫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 참석한 익명의 한 대학 총장은 “대학업무 등 교육부에서 과기부로 이관하는 조직 개편은 없을 것”며 “교육부와 과기부 통폐합도 인수위 측에서 검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이 같은 최소한의 변화를 준 조직개편안 초안을 인수위가 선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기자에게 귀띔했다.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대학 총장도 “대학의 일부 기능인 기초연구, 산학협력 등을 교육부에 존치해야 한다는 입장을 명확히 전달했는데 인수위 관계자들이 공감하는 분위기였다”고 밝혔다. 앞서 대학업무를 과기부로 이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란 보도가 나온 바 있다. 그러나 대학업무를 과기부로 이관하기 위해서는 정부조직법·교육기본법 등 법률 개정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사실상 어렵다는 분석이 계속돼 왔다. 실제, 국회 300석 중 172석을 차지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은 교육부 축소·폐지론에 부정적 입장이다. 대학업무가 과기부로 이관될 경우 인문학이 소외되고 기술발전만 강조돼 학문적 균형이 파괴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다만, 인수위 기획조정분과 관계자는 기자에게 “각 분과별로 의견 수렴을 하는 중”이라며 “아직 최종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전 인수위 과학기술교육분과 위원들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를 만나 "새 정부에서 교육 홀대는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교육부 폐지에 대해서 인수위는 “교육계에서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한 것으로 확인됐다.

Trainee teachers made sharper assessments about learning difficulties after receiving feedback from AI

ScienceDaily 11 Apr 2022

A trial in which trainee teachers who were being taught to identify pupils with potential learning difficulties had their work 'mark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has found the approach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reasoning. The study, with 178 trainee teachers in Germany, was carried out by a research team led by academics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and Ludwig-Maximilians-Universität München (LMU Munich). It provides some of the first evidence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uld enhance teachers' 'diagnostic reasoning': the ability to collect and assess evidence about a pupil, and draw appropriate conclusions so they can be given tailored support. During the trial, trainees were asked to assess six fictionalised 'simulated' pupils with potential learning difficulties. They were given examples of their schoolwork, as well as other information such as behaviour records and transcriptions of conversations with parents. They then had to decide whether or not each pupil had learning difficulties such as dyslexia 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explain their reasoning. Immediately after submitting their answers, half of the trainees received a prototype 'expert solution', written in advance by a qualified professional, to compare with their own. This is typical of the practice material student teachers usually receive outside taught classes. The others received AI-generated feedback, which highlighted the correct parts of their solution and flagged aspects they might have improved. After completing the six preparatory exercises, the trainees then took two similar follow-up tests -- this time without any feedback. The tests were scored by the researchers, who assessed both their 'diagnostic accuracy' (whether the trainees had correctly identified cases of dyslexia or ADHD), and their diagnostic reasoning: how well they had used the available evidence to make this judgement.

청소년 10명 중 3명은 “사이버폭력 경험”

조선에듀 08 Apr 2022
청소년 10명 중 3명은 “사이버폭력 경험”

국내 청소년 10명 중 3명은 사이버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방송통신위원회와 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청소년과 성인 총 1만 6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청소년 중 가해 및 피해를 포함해 사이버폭력을 경험한 비율은 29.2%였다. 이는 성인(15.7%)의 2배에 가까운 수치다. 사이버폭력을 경험한 청소년 중 가해 경험률은 5.9, 피해 경험률은 15.1%, 가해·피해 경험률은 8.3%로 조사됐다. 성인은 가해 2.9%, 피해 8.7%, 양쪽 모두 경험한 비율이 4.2%였다. 여기서 가해 경험자 대부분이 피해를 동시에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이버폭력은 주로 카카오톡과 페이스북, 줌 등 온라인 메시지를 통해 이뤄졌다. 폭력 유형을 보면 사적 대화 수단을 통한 ‘언어폭력’이 대부분이었다. 사이버폭력의 피해를 당한 청소년의 경우 우울·불안 및 스트레스(31.7%)와 가해자에 대한 복수(34.1%)를 느낀다고 응답했다. 가해 청소년의 경우 보복(36.8%)과 장난(26.2%)으로 사이버폭력을 하는 사례가 가장 많았다. 또 청소년의 9.3%, 성인의 14.9%가 디지털 성범죄를 목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유형별로는 ‘불법영상물유포’, ‘지인능욕’, ‘몰카’ 등을 목격한 경험이 많았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디지털 혐오’ 현상에 대해 처음으로 다뤄졌다. 디지털 혐오는 디지털 공간에서 성별·장애·종교 등이 다르다는 이유로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그 결과 청소년의 20.8%, 성인의 12%가 디지털 혐오 표현에 대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청소년의 디지털 혐오 표현 경험이 성인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청소년의 디지털 혐오는 성인보다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두루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Why We Need to Talk About Teacher Trauma

EdSurge 01 Apr 2022
Why We Need to Talk About Teacher Trauma

Journal

MORE JOURNALS >

유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2(6) Mar 2022 pp.163-178

Fostering information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online task-centred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Computers & Education
v.180 Apr 2022 104433

Curricular fit perspective on motivation 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83(4) Apr 2022 pp.729-745

Report

MORE REPORTS >

Democratizing Industrial Collaborative Robot Technology through Interactive Workshops in Learning Factories

SSRN
Apr 2022

Exploring the state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amid rapid policy expansion

Brookings Institution
Apr 2022

2021 대한민국 평생학습대상 우수사례집

국가평생교육진흥원
Apr 2022

Book

MORE BOOKS >

교육학개론

김종량 외 5명
서평연
2022

유아교육철학

이원영
학지사
2022

(수업에 바로 쓸 수 있는) 역량평가 매뉴얼

Laura Greenstein
교육을바꾸는사람들
2021

Assessment as a catalyst for learning : creating a responsive and fluid process to inspire all students

Garnet Hillman, Mandy Stalets
Solution Tree Press
2021

Conference

MORE CFPS >

[STC] 2022 Technical communication Summit

place United States
date May 15-18, 2022
submission N/A

[ESREA] Research on Adult Education and Transformation: Mapping Possibilities and Embracing Complexity

place Austria, University of Klagenfurt
date May 16-20, 2022
submission Jan 31, 2022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