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Education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 Scientific Disciplines
    • Education, Speci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교육학 관련 도서관 신착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입니다.

Journal & Article

교육학 관련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 정보입니다.

WebDB

교육학 관련 학술 DB 및 통계 DB 등을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교육학 관련 국내외 최신 뉴스 및 연구보고서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교육학 관련 국내외 컨퍼런스, 논문투고 일정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 단체 정보입니다.

OCW

교육학 관련 국내외 공개강의 및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Newsletter

지난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Dec 2022 vol. 57
고려대학교 도서관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News

MORE NEWS >
‘대학 살생부’ 대학기본역량진단 폐지…정원 조정 자율화

‘대학 살생부’ 대학기본역량진단 폐지…정원 조정 자율화

이투데이 16 Dec 2022

정부가 대학에 대한 재정지원의 기준이 된 교육부 주도의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를 폐지하고 운영 요건을 대폭 완화한다. 대학 간 통폐합에 걸림돌이었던 정원 규제도 과감하게 푼다. 교육부는 '대학기본역량진단제도 개선 협의회'와 '대학 규제개혁 협의회'를 잇따라 개최하고 이 같은 개편방안을 논의했다고 16일 밝혔다. 2015년부터 3년 주기로 이뤄진 대학기본역량진단은 2021년 평가를 마지막으로 폐지한다. 대학기본역량진단은 정부가 전국 대학의 기본적인 교육역량을 진단해 일반재정 지원 대상을 선정하는 평가다. 재정지원 제한대학이 되면 재정 지원을 끊고 정원도 감축하도록 권고해 ‘대학 살생부’로도 불렸다. 교육부는 “평가를 위한 대학의 역량 소모가 과도하고 정부 주도의 획일적 평가가 대학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계속됐었다”고 설명했다.

‘4차 산업혁명’ 초·중등학생 희망진로 변화 ‘꿈틀’

한국교육신문 19 Dec 2022
‘4차 산업혁명’ 초·중등학생 희망진로 변화 ‘꿈틀’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컴퓨터 프로그래머, 가상현실, 인공지능(AI) 전문가를 희망하는 중·고교생이 늘어나고 있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하 직능원)은 19일 ‘2022년 초·중등 진로 교육 현황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직능원은 지난 6월 7일부터 7월 20일까지 전국 초중고 1200개교의 학생, 학부모, 교원 등 총 3만744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진행했다. 학생은 2만2702명, 학부모 1만1946명, 교원 2800명이었다. 학생 희망직업 조사 결과 상위권은 운동선수, 의사, 교사, 간호사, 군인 등으로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중·고교에서는 온라인 기반 산업 분야나 AI 등 신산업 분야 희망 학생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 개발자(2.9%)는 중학생 희망 직업 5위를 차지하며 눈길을 끌었다. 이 직업은 2020년 10위에서 지난해 8위, 올해 3계단 더 오르는 등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해당 직업은 고교생 희망 직업에서도 5위였다. 순위는 지난해와 같았으나 선호도가 지난해 3.25%에서 올해 3.32%로 조금 올랐다. AI·정보보안 전문가 등 신산업 분야를 희망하는 학생도 증가하고 있다. 신산업 분야를 희망 직업으로 선택한 중학생은 5.42%로 집계됐다. 10년 전인 2012년(2.96%)보다 2.46%포인트 상승했다. 고교생은 8.19%로 10년 전(4.12%)보다 4.07%포인트 늘었다.

내년부터 초·중학교 환경교육 의무화한다

조선에듀 19 Dec 2022

내년 봄학기부터 초·중학교에서 학교환경교육이 의무화된다. 지난 5월 국회 본회의에서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개정됨에 따라 2023학년도부터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환경교육을 실시하도록 했다. 이에 19일 서울시교육청은 초·중학교 환경교육 의무화, 2022 개정 교육과정 준비에 발맞춰 내년부터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범교과학습 등 학교・학년 교육과정과 연계한 생태전환교육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내년 2월까지 △교육과정 연계 생태·환경 자료 개발 △생태전환교육 지역연계 기관 발굴 △학교기본운영비 항목 신설 △체계적인 교사 연수 및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등 교육기반을 조성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서울시교육청은 이날 초·중·고 현장 교원 200명이 모여 생태전환교육 실천사례를 함께 나누는 ‘아이디어 살롱’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교원들이 현장에서 실천해 온 운영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생태전환교육 역량을 강화하고 교육과정 연계 생태전환교육을 내실 있게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교육과정 연계 생태전환학교 △생태전환 학급(동아리) 활동 △학교 간 교원학습공동체 활동 △생태전환교육 프로젝트 활동 등의 운영 사례를 공유한다. 아울러 현장 교사들이 공모한 38편의 사례는 다음달 자료집으로 배포할 예정이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서울의 교육과정과 생태전환적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학교 생태전환교육 활성화를 위해 체계적인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On a Mission With Game-Based Learning

EdSurge 19 Dec 2022
On a Mission With Game-Based Learning

This article is part of the guide Gaming the System: The Many Educational Benefits of Game-Based Learning. Veteran technology teacher Ben Kelly is thankful that, after 18 years of teaching, his students still run into the room when it’s time for his class. But he cautions not to give too much credit to the technology itself. His 25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rural Caledonia Regional School in Moncton, New Brunswick, are using computers that are older than the students themselves. Instead, Kelly gives credit to a curriculum that engages their creativity and speaks to their interests. I'm not the type of person who likes to assign something and then mill about the room. I dive in with the kids. Kelly, a two-time recipient of the Canadian Prime Minister’s Award for Teaching Excellence in STEM, believes that mission- and game-based learning are ideal for captivating students across the curriculum, not just in technology class. And he should know. As a specialist in a small school, Kelly has been called upon to teach a wide range of classes—by his estimation, roughly 75 distinct classes—during his tenure. EdSurge was fortunate enough to sit down with Kelly to discuss the merits of game-based learning and how it can connect students with real-world experiences in relatable ways.

Parents talk more to toddlers who talk back

ScienceDaily 01 Dec 2022

These are just a few of the thousands of words scientists at Duke painstakingly decoded from over 2,000 hours of infants' daily lives. They recently used these data to determine if the amount of language kids hear might explain why girls have bigger vocabularies early in life than boys. It doesn't. Instead, Shannon Dailey, Ph.D., a Duke University postdoctoral scholar and lead author of the new study, found that rather than caregivers talking more to their young daughters, they appear to talk more to young children who themselves are already talking, regardless of their gender. This offers an important insight for 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children actively influence their own language environments as they grow," Dailey said. The new findings from Dailey come from her time as a graduate student in the lab of co-author and Duke psychology & neuroscience professor Elika Bergelson, Ph.D. The paper appears in the journal Child Development on Dec. 1. "People have long noted that there are sometimes differences between girls and boys for different language skills," Bergelson said. "Language delays and deficits, for example, are more common in boys than and girls, so that raises the question of why." Dailey and Bergelson reasoned that girls' typical (and temporary) vocabulary advantage might be due to them receiving more "language input" from their parents than boys. To test that hunch, the team and a cadre of research assistants counted the utterances that 44 kids (21 girls and 23 boys) heard and produced for an entire year, starting when the tots were only six months old. This age range is ideal because they can track what kids are hearing at six months, which is well before they start talking, all the way through when most kids have started talking at 18 months, Dailey explained.

Journal

MORE JOURNALS >

How valid are student perceptions of teaching quality across education systems?

Learning and Instruction
v.82 Dec 2022 e101652

Children's visual attention and comprehension from synchronous video book reading

Computers & Education
v.191 Dec 2022 e104628

The Best of Two Worlds: A Systematic Review on Combining Real and Virtual Experiments in Science Educa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92(6) Dec 2022 pp.911-952

Report

MORE REPORTS >

OECD 교육지표로 본 교육현안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Dec 2022

Capturing the Educational and Economic Impacts of School Closures in Poland

SSRN
Dec 2022

메타버스 직업교육훈련 활용 방안

한국직업능력연구원
Dec 2022

Book

MORE BOOKS >

(교육·인재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평가의 과정

정재삼
교육과학사
2022

현대 교육과정 탐구

강현석
학지사
2022

세상을 바꾸는 힘 : 체인지메이킹 = 역량증진방법의 관점

김상열 외 1인
교육과학사
2022

(더해 보고 더 해 보는) 음악 중심 통합수업

최은아 외 5인
학지사
2022

Conference

MORE CFPS >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학술대회 안내

place 서울교육대학교
date Dec 24, 2022
submission N/A

Intcess 2023-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And Education of Social Sciences

place Istanbul, Turkey / online
date Jan 23-25, 2022
submission N/A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