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Education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 Scientific Disciplines
    • Education, Speci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교육학 관련 도서관 신착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입니다.

Journal & Article

교육학 관련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 정보입니다.

WebDB

교육학 관련 학술 DB 및 통계 DB 등을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교육학 관련 국내외 최신 뉴스 및 연구보고서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교육학 관련 국내외 컨퍼런스, 논문투고 일정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 단체 정보입니다.

OCW

교육학 관련 국내외 공개강의 및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Newsletter

지난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Jan 2022 vol. 46
고려대학교 도서관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News

MORE NEWS >
초·중·고 학령인구 급감… 2026년 500만 명 아래로

초·중·고 학령인구 급감… 2026년 500만 명 아래로

한국대학신문 14 Jan 2022

2026년 전국 초·중·고등학교 학생 수가 처음으로 500만 명이 되지 못할 전망이다. 교육부가 지난해 말 학생 인구에 취학률·졸업률·진학률 등 코호트 요인을 반영해 추산한 ‘2022∼2027년 초·중·고 학생수 시범 추계 결과’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 학생 수가 올해 528만 1000명에서 2023년 521만 2000명, 2024년 514만 1000명, 2025년 503만 5000명으로 해마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황금돼지 해’로 출생률이 높았던 2007년생 학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해인 2026년에는 487만 5100명으로 500만명 아래로 떨어지고, 2027년에는 472만 4000명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종로학원이 지난해 말 시도별 학생 수와 2026년 추계를 비교한 결과 55% 증가한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모두 감소가 예상됐다. 특히 대전(16.1%), 서울(15.9%), 전북(14.0) 등 절반 지역에서 두 자릿수 감소율이 전망됐다. 부산(-10.2%), 대구(-11.9%), 광주(-12.5%), 강원(-12.7%), 전남(-12.2%) 등도 감소 폭이 10% 이상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기(-3.5%), 제주(-3.6%), 충남(-4.5%) 등은 감소폭이 5% 미만으로 적은 편이었다. 오종운 종로학원 평가이사는 “감소 폭이 적은 경기도는 2기, 3기 신도시 개발이 경기 지역에 집중된 결과이고, 제주는 수도권으로부터 유입 인구가 늘어난 효과이며 충남은 천안아산 신도시 개발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초·중·고 학령인구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2017년 기준으로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 인구 추계에 따르면 2017년 이후 2033년까지 초·중·고 학령인구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실제로도 교육통계서비스 기록을 보면 2006년 이후 2021년까지 전국 초·중·고 학생수는 매년 줄고 있다.

교육격차 해소에 올해 9조 4152억 원 투입

이투데이 13 Jan 2022
교육격차 해소에 올해 9조 4152억 원 투입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교육격차 해소 등을 위해 정부가 올해 9조4152억 원을 투입한다. 교육부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는 13일 비대면으로 ‘제3차 교육회복지원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올해 교육회복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해 대비 1000억 원 늘린 3200억 원의 교부금을 지원해 학습결손 회복을 위한 교과보충을 확대한다.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협력수업 선도학교가 지난해 92개교에서 올해 500개교로 늘어난다. 기초학력이 떨어지는 학생을 위한 종합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두드림학교는 5193개교에서 6000개교, 학습종합클리닉센터 142곳은 193곳으로 확대한다. 올해 1050억 원 규모 대학생 튜터링 사업을 신설한다. 새 학기부터 전국 교·사대생이 희망하는 모든 초·중·고 학생에게 공부를 가르쳐주고, 상담도 해준다. 교육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교육 회복 방안을 추진했다. 학교 대부분이 겨울 방학에 들어간 상황에서도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초·중·고 8324개교에서 교과보충 프로그램 등이 진행 중이다. 앞서 지난해 하반기에는 전체 초·중·고 학생 25.7%에 해당하는 131만 명에게 교과 보충을 지원했다. 일반계고 1·2학년 학생 3만 7800명에게는 학습·진로 컨설팅을 했다. 이밖에 심리 지원을 위해 초·중·고 학생 263만 명에게 사회성 함양 프로그램, 정신건강 위기 학생 3만 7643명에게는 치료비와 정신 건강검사 등을 지원했다.

This Technology Helps School Counselors Better Support Student Mental Health

EdSurge 18 Jan 2022
This Technology Helps School Counselors Better Support Student Mental Health

This article is part of the guide How Is Technology Shaping the Future of K-12 Education? A few years ago, Neosho School District in Southwest Missouri realized they were in a crisis. Their suicide rates between 2014 and 2018 were well above the national average. In fact, this small district of roughly 4,700 children was averaging two suicides per year. They knew they had to take action. At that time, Tracy Clements, a building-level counselor, was asked to step into her current position as Director of Counseling Services for the district and tasked with establishing a suicide prevention plan. She recently set aside some time to speak with us about the tools they’ve put in place to help lower suicide rates and promote mental health. But just moments into the conversation, Clements was interrupted by an alert from the district’s GoGuardian Beacon system. "The system analyzes online activity in real time," says Clements, "and alerts us when at-risk behavior is detected. This message might suggest self-harm." The notification also went to the building counselor, Clements explains. "She will meet with the student today and say, 'Hey, it looks like you're having some troubles,' and help them process that. Maybe the student just needs a session with the counselor, or maybe we'll need to refer them for outpatient counseling."

성인 10명 중 3명 평생학습 참여…코로나로 참여율↓

조선에듀 19 Jan 2022
성인 10명 중 3명 평생학습 참여…코로나로 참여율↓

지난해 국내 성인 10명 중 3명이 평생학습에 참여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020년 만 25~79세 성인 남녀 9905명과 평생교육기관 4493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국가평생교육통계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조사 기간 우리나라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은 30.7%로 집계됐다. 직전년도 대비 9.3%p 감소한 수치다. 정병익 교육부 평생직업교육국장은 “조사가 이뤄진 2020년은 코로나19가 발생해 확산하기 시작한 시기”라면서 “감염병 예방을 위해 사회활동이 전반적으로 위축되면서 평생학습 참여율 또한 이전보다 저조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성별로는 남성(32.0%)이 여성(29.5%)보다 평생학습 참여율이 높았다. 또 고소득층(월평균 가구 소득 500만원 이상)의 평생학습 참여율이 34.7%로, 저소득층(월평균 가구 소득 150만원 미만·17.6%)보다 17%p가량 높게 집계됐다. 평생학습 참여자들이 연평균 교육받는 데 투자한 시간은 88시간이었다. 전년(76시간) 대비 12시간 증가했다. 연평균 투자 비용은 32만원으로 2019년(36만원)보다 4만원 감소했다. 자료에는 성인 학습자들이 교육활동에 참여하지 못한 이유도 담겼다. 응답자들은 학습 불참요인으로 ‘직장업무로 인한 시간부족’(40.3%), ‘코로나19 영향’(29%), ‘가까운 거리에 교육 훈련기관이 없어서’(18.6%) 등을 꼽았다.

How to Motivate Students to Actually Do Homework and Reading

EdSurge 07 Jan 2022
How to Motivate Students to Actually Do Homework and Reading

This article is part of the guide Toward Better Teaching: Office Hours With Bonni Stachowiak. The following is the latest installment of the Toward Better Teaching advice column. You can pose a question for a future column here. Reader Question: Dear Bonni, What ideas do you have for student accountability? How do we get students to do pre-class work without giving a grade to everything? —Looking for change Dave, my husband, was in the driveway a few days ago, about to head somewhere with our two kids. I had just finished my elliptical workout and he asked, “Are you glad you did it?” I was glad, but it didn’t start that way. The moves came prior to the motivation. For 429 days straight, I have exercised for at least thirty minutes, a routine that gets reinforced by th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my overall better health. I was indeed happy to have taken that next step toward continuing my commitment. But I don’t rely on a feeling to get me moving most days. Instead, I lean on the power of habits to draw me into action, even when the way I’m feeling doesn’t necessarily prompt me. Often, students experience the same mindset around out of class preparation and we wind up needing to help them establish good habits beyond what they may naturally exhibit on their own.

Journal

MORE JOURNALS >

Factors associated with teachers' competence to develop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A multilevel approach

Computers&Education
v.176 Jan 2022 104360

Learning analytics in higher education – Stakeholders, strategy and scale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v.52 Jan 2022 100833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을 위한 제언

특수교육학연구
v.56(3) Dec 2021 pp.1-22

Report

MORE REPORTS >

What education policy experts are watching for in 2022

Brookings Institution
Jan 2022

[UNESCO] 2021 세계교육현황보고서(GEM) 발간

국가평생교육진흥원(NILE)
Jan 2022

[교육부] 국가교육위원회법 시행령 제정안 등 입법 예고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
Jan 2022

Book

MORE BOOKS >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김동일 외 6명
박영story
2022

유아교육개론

양옥승 외 7명
정민사
2022

Handbook of research on using educational robotics to facilitate student learning

Stamatios Papadakis, Michail Kalogiannakis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2021

Advancing equity & embracing divers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elevating voices & actions

Iliana Alanís 외 2명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2021

Conference

MORE CFPS >

<교육정치학연구> 29권 1호 논문 모집 안내

place
date
submission Jan 31, 2022

[한국교육학회] 2022년 특별학술대회 안내

place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온라인
date Feb 16, 2022
submission N/A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