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Education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 Scientific Disciplines
    • Education, Speci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교육학 관련 도서관 신착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입니다.

Journal & Article

교육학 관련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 정보입니다.

WebDB

교육학 관련 학술 DB 및 통계 DB 등을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교육학 관련 국내외 최신 뉴스 및 연구보고서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교육학 관련 국내외 컨퍼런스, 논문투고 일정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 단체 정보입니다.

OCW

교육학 관련 국내외 공개강의 및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Newsletter

지난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Nov 2021 vol. 44
고려대학교 도서관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News

MORE NEWS >
국가교육위원회 온라인 의견수렴 창구 개설

국가교육위원회 온라인 의견수렴 창구 개설

한국교육신문 07 Nov 2021

국가교육위원회 설립준비단이 내년 7월 출범 예정인 ‘국가교육위원회’ 설립에 국민 요구를 수렴하기 위해 3일 온라인 의견수렴 창구(https://eduvision.go.kr/OpinionList.do)를 개설했다. 온라인 의견수렴 창구는 사회적 합의에 기반한 교육정책 추진이라는 국가교육위원회 취지를 실현하기 위해 설립 준비단계부터 국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마련됐다. 창구는 알림·소개, 정책제안 게시판, 온라인 토론방으로 구성돼 있다. 알림·소개에서는 국가교육위원회 소개 등 관련 자료와 향후 행사 일정이 안내되며 정책 제안 게시판은 SNS 간편 접속 기능을 탑재해 접근성을 높였다. 온라인 토론방은 차후 토론이 필요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했다. 설립준비단은 창구에 접수되는 국민의 의견을 향후 시행령 마련 등 국가교육위원회 설립에 참고할 계획이다. 김문희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국가교육위원회 설립 준비단계에서부터 각계각층의 다양한 기대와 요구를 담아 국민들이 바라는 국가교육위원회가 될 수 있도록 설립 준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광호 국가교육회의 기획단장은 “국가교육위원회에 국민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며 “교육부와 협력해 국가교육위원회의 안정적인 출범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英, 코로나로 인한 학습 결손 회복에 총력…맞춤형 학습 지원 강화

한국교육방송공사(EBS) 08 Nov 2021
英, 코로나로 인한 학습 결손 회복에 총력…맞춤형 학습 지원 강화

영국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학습 결손 문제와 그 대처에 대한 논의가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영국 정부는 학습 결손 회복을 위한 대규모 예산을 편성하고 맞춤형 학습 지원 강화를 중점으로 하는 교육 회복 계획을 발표했다. 영국 교육 정책 연구소(the Education Policy Institute)의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유행에 따른 교육 기회 손실로 인하여 학생 1인 당 최소 1%의 향후 생애 소득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피해 규모는 총 780억 파운드, 한화 약 124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학습 결손 이외에도 학생들의 건강, 복지, 사회 참여 기회 등의 전반적인 영역에 걸쳐 피해가 지속되고 있으며 교육 회복을 위해 현재 책정된 정부 예산을 훨씬 웃도는 130억 파운드(약 20조 원) 이상의 교육 회복 자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임 교육부 장관 나딤 자하위(Nadhim Zahawi)는 코로나19로 인한 학습 결손 및 학습 격차가 심각하다는 지적에 따라 학교 지원 예산을 대폭 늘리고, 기초 학력 향상을 위한 개인 학습 지원 프로그램을 2024년까지 대대적으로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중등 자격 시험(The General Certificate of Secondary Education) 수학 과목에서 한 등급이 향상되는 것은 향후 생애 소득이 14,500파운드 증가하는 것과 같다"라고 언급하며, 언어와 수학 과목의 학습 지원을 위해 학습 멘토와 수습 교사를 대규모 신규 채용하고 극빈층 학생들을 위한 추가 지원을 제공하는 계획을 밝혔다. 정부는 대규모 교육 예산 확충과 학습 격차 극복을 위한 계획을 발표했지만 영국 재정연구소(Institue for Fiscal Studies)는 정부의 학교 지원 예산이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재정연구소의 분석에 따르면 학생 1인 당 예산은 2009-2010년도에 7,200파운드(약1,150만 원)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왔으며 정부의 대규모 예산 증액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률을 고려할 경우 학생 1인 당 예산은 2009-2010년도 수준보다 1%가량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루크 시비에타(Luke Sibieta) 연구원은 “2022년까지도 2009년 수준의 예산 규모를 회복하지 못한다는 것은 그동안 얼마나 많은 예산 감축이 있어 왔는지를 보여준다. 예산의 투입이 부족할 경우 학교는 학생들의 학습 결손 및 학습 격차 문제에 대처하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교육 회복과 관련해 노동당의 케이트 그린(Kate Green) 그림자 교육부 장관(Shadow Education Secretary)은 보수당의 소극적인 교육 회복 예산 투입이 코로나 대유행 사태의 피해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아이들의 학습과 복지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들의 의사소통, 협동, 문제 해결, 사회적 능력을 종합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계획을 세우고, 학교에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함을 강조했다.

학생·학부모 수백명 북적북적…이젠 가상세계서 진학상담도

조선에듀 03 Nov 2021
학생·학부모 수백명 북적북적…이젠 가상세계서 진학상담도

교육현장에서의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 활용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입학식과 졸업식, 대학 축제뿐 아니라 2022학년도 고등학교, 대학교 입학 상담도 메타버스에서 이뤄진다. 3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대학수학능력시험(11월 18일)이 치러진 이후 서울런 가입자 100명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입시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서울런은 소득계층 간 교육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서울시가 마련한 온라인 학습사이트. 참가자들은 아바타를 만들어 메타버스 플랫폼에 입장한 뒤 대학별 입시전형을 살피고 입시전문가에게 실시간으로 상담을 받게 된다. 서정선 서울시 평생학습협력팀장은 “서울런 이용자들이 저소득층, 학교 밖 청소년이다 보니 얼굴을 노출하기 꺼리는 경우가 많다”며 “아바타를 사용하면 부담없이 행사에 참여할 것 같아 메타버스 설명회를 기획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기회로 최신 에듀테크 기술을 체험해보는 기회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메타버스에서는 대입뿐 아니라 고등학교 입학설명회도 진행된다.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용인외대부고)는 지난달 30일 학생과 학부모 400여 명을 대상으로 ‘2022 입학설명회’를 실시했다. 특히 가상세계에 학교의 모습을 그대로 구현해 지원자들이 캠퍼스 투어까지 할 수 있도록 했다. 조경호 용인외대부고 입학홍보부장은 “전국구로 지원을 받는 학교다 보니 각지에 지원자들이 있는데, 용인까지 직접 오지 않고도 집에서 메타버스로 설명회를 듣고 학교 투어까지 한 것”이라고 말했다. 용인외대부고는 앞으로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도를 더 높일 예정이다. 조 부장은 “방학 중에 각자 집으로 간 학생들이 한데 모일 수 있는 동아리방도 메타버스에 구축할 계획”이라면서 “24시간, 365일 유연하게 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학생들의 편의를 높이려 한다”고 했다.

Spotlight on education events during UNESCO’s General Conference

UNESCO 02 Nov 2021
Spotlight on education events during UNESCO’s General Conference

The UNESCO General Conference, which takes place in Paris from 9 to 24 November 2021, features a rich array of education events, including the launch of the much-anticipated Report on the Futures of Education and the Global Education Meeting on 10 November. Below is a list of all education events organized during the General Conference.

Teaching Students to Make Good Choices in an Algorithm-Driven World

EdSurge 01 Nov 2021
Teaching Students to Make Good Choices in an Algorithm-Driven World

In January, Colby College announced the formation of the Davis Institut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alling it the “first cross-disciplinary institut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t a liberal arts college.” There is a reason no other liberal arts college has engaged in an undertaking of this nature. The role of these institutions has been to broadly train undergraduates for living in a democratic society. In contrast, AI centers, like the Stanford Artificial Intelligence Laboratory, have largely focused on high-end, specialized training for graduate students in complex mathemat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ields. What could small, liberal arts colleges provide in response? There’s a clue in a statement from the Davis Institute’s first direct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expert Amanda Stent. “AI will continue to have broad and profound societal impact, which means that the whole of society should have a say in what we do with it. For that to happen, each of us needs to have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is technology,” she said. What constitutes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n you really understand the convoluted neural networks underneath driverless cars without taking advanced calculus? Do most of us need to understand it that deeply, or just generally? A relevant analogy might be to ask whether we need to train mechanics and automotive designers, or simply people who can drive a car responsibly. If it’s the first, most liberal arts colleges are disadvantaged. Many of them struggle to hire and retain people who have the techn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to teach in these fields. Someone proficient in algorithmic design is likely making a pretty good living in industry or is working at a large, well-funded institute with the economies of scale that major scientific initiatives demand.

Journal

MORE JOURNALS >

한국 영재교육 연구 40년(1980-2019): 시기별⋅유형별⋅주제별 양적 분석

교육학연구
v.59(6) Oct 2021 pp.185-213

The Predictive Role of School Performance Indicators on Students’ College Achievement

Educational Policy
v.35(7) Nov 2021 pp.1085-1115

An Examination of the use of computer-based formative assessments

Computers & Education
v.173 Nov 2021 104274

Report

MORE REPORTS >

Using classroom simulators to transform teacher preparation

Brookings Institution
Nov 2021

유아교육 및 보육 공공성 강화와 질 제고

한국교육개발원
Nov 2021

코로나시대 격차 담론,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SEPI)
Nov 2021

Book

MORE BOOKS >

교육심리학

전용오 외 2명
KNOU Press
2020

평생교육론

윤여각 외 5명
KNOU Press
2021

Fostering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student engagement

Despo Ktoridou 외 2명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2021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

권진하 외 4명
동문사
2021

Conference

MORE CFPS >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연차 학술대회 안내

place 제주대학교 아라캠퍼스 아라컨벤션홀
date Nov 27, 2021
submission Nov 5, 2021

[한국교육정치학회] 2021 연차학술대회 안내

place 온라인
date Dec 4, 2021
submission Nov 8, 2021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