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Education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 Scientific Disciplines
    • Education, Speci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교육학 관련 도서관 신착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입니다.

Journal & Article

교육학 관련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 정보입니다.

WebDB

교육학 관련 학술 DB 및 통계 DB 등을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교육학 관련 국내외 최신 뉴스 및 연구보고서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교육학 관련 국내외 컨퍼런스, 논문투고 일정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 단체 정보입니다.

OCW

교육학 관련 국내외 공개강의 및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Newsletter

지난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Mar 2021 vol. 36
고려대학교 도서관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News

MORE NEWS >
코로나19 여파… 초6·중3 학생역량 최저치

코로나19 여파… 초6·중3 학생역량 최저치

한국교육신문 11 Mar 2021

초등 고학년과 중3 남학생들의 자기관리, 심미적 감성 등 학생역량이 5년 조사 이래 최저 수준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여파로 등교일수가 줄고 예술활동과 스포츠 활동의 기회가 현저히 감소한 것이 그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한국교육개발원이 240개교 초6, 중3, 고2 학생 11만2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0 학생역량 조사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초6과 중3의 역량지수가 각각 65.47점과 65.63점으로 5개년도 동안 조사한 이래 가장 낮았다. 이 지수는 자기관리, 지식정보 처리, 창의적 사고, 언어적 사고, 수리적 사고, 심미적 감성, 의사소통, 공동체 역량 등을 합산한 것이다. 올해는 지난해에 비해 자기관리 역량에 대한 인식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6의 자기관리 역량 점수는 5개년도 조사 중 가장 낮은 66.07점이었으며 이는 점수가 가장 높았던 2차 년도(71.31)에 비해 5점 가량 하락한 것이다. 중3 남학생의 자기관리 역량 역시 가장 높았던 2차(67.32)에 비해 4점 정도가 낮아진 것(63.45)으로 나타났다. 지식정보처리 역량 또한 작년에 비해 초6과 중3의 점수가 낮아졌으며 중3은 올해 가장 낮은 점수 65.67을 나타냈다. 반면 중3 여학생은 전반적으로 예년 수준을 유지했다. 개발원은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특수한 상황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며 “등교수업이 현저히 줄어든 가운데 타인과의 상호작용 빈도가 감소하고 많은 자유시간이 주어진 환경이 1년 내내 지속되면서 어린 학생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인 생활을 영위하며 결과를 성취하는 경험을 하는 것이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밖에도 언어적·수리적 사고 능력의 경우 일관되게 읍면지역 학생들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며 “읍면지역 학생들의 학력 격차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자기 주도 학습의 시작, 책 읽기와 글쓰기

조선에듀 17 Mar 2021
자기 주도 학습의 시작, 책 읽기와 글쓰기

지난달 교육부는 고교학점제 종합 실시 계획을 발표했다. 고교학점제는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고등학교 1학년이 되는 2025학년도부터 전면적으로 실시된다.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의 진로와 적성을 찾아 자기 주도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바야흐로 주입식 교육의 시대가 가고, 자기주도 학습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기주도 학습은 뛰어난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잘못된 인식이다. 자기주도 학습이 되지 않는 것은 아직 제대로 된 지도를 받은 경험이 없기 때문이다.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방향을 잡아주면 누구나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 아이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고교학점제는 고등학생이 대학생처럼 교과를 선택해 들으며 3년 동안 192학점을 이수하면 졸업이 가능한 제도이다. 이전에는 교실에서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수동적으로 수업을 받았다면 이제는 스스로 진로와 적성을 찾아 시간표를 짜야 한다. 학생들의 선택폭이 확대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요구되는 것이 자기주도 학습이다. 자기주도 학습은 꾸준히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꾸준히 책을 읽는 습관을 가진 아이들은 혼자서도 집중해서 무언가를 할 수 있는 훈련이 되어 있고, 독해력이 뛰어나다. 글을 쓰는 것은, 책 내용을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소화하고 나서 스스로 생각하고 답을 찾아가는 일이다. 꾸준히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이 자기주도 학습을 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될 것이다.

온택트 시대, 온라인 교육의 품질관리를 위한 과제

한국대학신문 01 Mar 2021

‘온라인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일어나기 이전과 이후 180도 바뀌었다. 과거 온라인 교육은 교육의 질이 낮고, 학습효과가 떨어진다는 사회적 편견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 대학에서 온라인 교육은 필수가 됐다. 온택트 시대에는 대학이 스스로 온라인 교육을 어떻게 자리잡아 나가야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투자와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안타깝게도 우리 대학이 처한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지난해 대학들은 어쩔 수 없이 비대면 수업을 해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온라인 교육을 위한 충분한 사전 준비의 시간이 없어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대부분의 온라인 수업은 줌과 구글 미트, 웹엑스 등 온라인 화상 시스템을 활용한 비대면으로 진행됐다. 학생들이 혼란을 겪는 동안 정부에서는 긴급 재정을 지원하며 온라인 교육 시설설비를 갖추도록 지원하기에 이르렀다. 2021년 신학기에는 또 어떤 상황이 펼쳐질까 사뭇 궁금해진다. 온라인 수업은 온라인 화상 시스템을 활용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과 녹화방식의 ‘온라인 콘텐츠 수업’으로 나눠볼 수 있다. 교과목별 학습내용과 학습목표를 기준으로 교수학습방법을 고려해 결정한다. 하지만 현실에서 대학들은 충분한 여건을 갖추지 못한 상황이다. 녹화 방식의 콘텐츠를 제작하고,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았기 때문에 실시간 비대면 수업이 더 일반화 돼 있는 현실이다.

‘사이버 학교폭력’ 급증에… 국회, 대책 논의 활발해져

조선에듀 11 Mar 2021
‘사이버 학교폭력’ 급증에… 국회, 대책 논의 활발해져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에서 ‘사이버 학교폭력’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국회에서 사이버 학교폭력 발생과 사후관리 대책 등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11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시도교육청별 학교폭력 신고 및 조치사항’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8월까지 발생한 학교폭력 유형은 ▲신체폭력 2536건(35.3%) ▲사이버폭력 1220건(17%) ▲기타 1198건(16.7%) ▲언어폭력 1124건(15.7%) ▲금품갈취 554건(7.7%) ▲강요 384건(5.3%) ▲따돌림 165건(2.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이버폭력은 지난해 발생한 학교폭력 유형 가운데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 2018년 9.7%, 2019년 8%와 비교하면 크게 증가한 것이다. 박 의원은 “최근 급증한 사이버 학교폭력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부와 함께 사이버폭력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가해행위의 매개체 범위를 확대하는 등 관련 법 개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사이버폭력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피해학생 보호, 가해학생 분리·교육 등 학교폭력 사후관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덕난·유지연 국회입법조사처 교육문화팀 입법조사관은 지난 10일 ‘학교폭력 피해학생 보호 강화를 위한 입법 및 정책 개선 과제’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등교수업이 실시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온라인과 오프라인상에서 피해학생을 가해학생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해 보호할 수 있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In era of online learning, new testing method aims to reduce cheating

ScienceDaily 01 Mar 2021

The era of widespread remote learning brought about by the COVID-19 pandemic requires online testing methods that effectively prevent cheating, especially in the form of collusion among students. With concerns about cheating on the rise across the country, a solution that also maintains student privacy is particularly valuable. In research published today in npj Science of Learning, engineers from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demonstrate how a testing strategy they call "distanced online testing" can effectively reduce students' ability to receive help from one another in order to score higher on a test taken at individual homes during social distancing. "Often in remote online exams, students can talk over the phone or internet to discuss answers," said Ge Wang, an endowed chair professor of biomedical engineering at Rensselaer and the corresponding author on this paper. "The key idea of our method is to minimize this chance via discrete optimization aided by knowledge of a student's competencies."

Journal

MORE JOURNALS >

교과교육학적 지식에 따른 유아동작교육 대학교재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28(1) Feb 2021 pp.1-25

초·중등 건강장애학생 대상 원격수업의 학습참여 측정 도구 개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v.24(1) Feb 2021 pp.53-75

Students generating questions as a way of learning

Ac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v.22(1) Mar 2021 pp.63-75

Report

MORE REPORTS >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Facing Higher Education

SSRN
Mar 2021

2021년 2월 글로벌 평생교육동향

국가평생교육진흥원
Feb 2021

(세계경제포럼) 코로나 이후 교육 공고화를 위한 역량강화 재구상

국가평생교육진흥원
Mar 2021

Book

MORE BOOKS >

나의 첫 과정중심평가 : 평가의 재발견

고영희 외 5명
맘에드림
2020

(인간 중심의 AI시대를 향한) 제4차 교육혁명

Anthony Seldon 외 2명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0

고교학점제,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 모두의 책임교육을 실현하는 공교육 진화 플랫폼

김삼향 외 4명
맘에드림
2020

Theories of school psychology : critical perspectives

Kristy K. Kelly 외 2명
Routledge
2021

Conference

MORE CFPS >

<육아정책연구> 15권 1호 논문 투고 안내

place
date
submission Mar 31, 2021

[AERA] 2021 Annual Meeting

place Virtual
date Apr 8-12, 2021
submission Aug 14, 2020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