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Education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 Scientific Disciplines
    • Education, Speci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교육학 관련 도서관 신착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입니다.

Journal & Article

교육학 관련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 정보입니다.

WebDB

교육학 관련 학술 DB 및 통계 DB 등을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교육학 관련 국내외 최신 뉴스 및 연구보고서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교육학 관련 국내외 컨퍼런스, 논문투고 일정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 단체 정보입니다.

OCW

교육학 관련 국내외 공개강의 및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Newsletter

지난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Jul 2021 vol. 40
고려대학교 도서관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News

MORE NEWS >
교총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특별위 구성, 대책 마련할 것”

교총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특별위 구성, 대책 마련할 것”

한국교육신문 19 Jul 2021

최근 학교폭력에 시달리다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 학생의 사건이 잇따라 알려지면서 사회적으로 파장이 일고 있다. 한국교총은 19일 이와 관련해 논평을 내고 “연이은 학교폭력 관련 사안으로 학생들이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한 것에 대해 전국의 교육자들과 함께 큰 애통함과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다. 교총은 “이번 사건들을 계기로 교육계는 깊은 성찰과 학생의 생명과 안전보다 더 소중한 것은 없다는 심정으로 학교폭력 예방과 근절에 노력해야 한다”면서도 “중대한 학교폭력 사안에 대해 교육부 등 교육 당국이 침묵하고 있다”며 안타까움을 숨기지 못했다. 수사 중이거나 조사단계라고는 하지만, 교육부 차원의 대응과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철저한 조사를 통한 원인 규명과 가해 사실이 드러났을 때 책임을 물어야 함을 강조했다. 오랜 기간 학교폭력에 시달리면서도 주변에 도움을 구하지 못했던 이유 또한 명확하게 파악할 것을 주문했다. 교총은 “학교폭력 가해의 주요한 원인은 잘못된 인권 의식에서부터 비롯된다”면서 타인에 대한 배려와 생명 존중 의식의 약화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이어 “권리와 책임의 균형을 배우고 가르치는 교육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하다”고 짚었다.

내년부터 서울 장애·비장애학생 통합교육 강화한다

조선에듀 08 Jul 2021
내년부터 서울 장애·비장애학생 통합교육 강화한다

내년부터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한 학교 한 반에서 함께 교육을 받는 서울형 통합교육 시범사업이 추진된다. 서울시교육청은 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통합교육 중장기 발전계획’(2022~2026)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지속가능한 통합교육 지원체제를 만들기 위해 마련됐다. 교육청은 학교급별 맞춤형 통합교육을 활성화하고,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보편적 학습설계’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는 구상이다. 구체적으로 교육부 특별교부금을 활용해 내년부터 3년간 장애·비장애학생이 통합교육을 받을 수 있는 ‘더공감교실 프로젝트’ 시범학교를 운영할 계획이다. 이미 특수학급이 있는 학교 가운데 매년 유치원과 초·중·고교 각 2개교씩 총 24곳을 시범학교로 선정한다. 더공감교실 운영 방식은 학교급에 따라 달라진다. 유치원에는 만3~5세 담당 특수교사를 배치해 통합학급 공동담임제를 운영하도록 한다. 초등학교에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협력수업을 실시한다. 중·고등학교에서는 자유학기 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에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함께 참여하게 된다. 특성화고에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함께 지도하는 직업교육 전문교과목을 개설할 예정이다. 향후 교육청은 더공감교실 운영과 함께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모두 공감할 수 있는 통합교육 운영 모델과 교사 협력 지원 정책 개발에 나설 방침이다.

Emotion, cooperation and locomotion crucial from an early age

ScienceDaily 15 Jul 2021

What are the fundamental skills that young children need to develop at the start of school for future academic success? While a large body of research shows strong links between cognitive skills (attention, memory, etc.) and academic skills on the one hand, and emotional skills on the other, in students from primary school to university,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se links in children aged 3 to 6 in a school context. Researchers from the University of Geneva (UNIGE) and Valais University of Teacher Education, Switzerland (HEP-VS), in collaboration with teachers from Savoie in France and their pedagogical advisor, examined the links between emotion knowledge, cooperation, locomotor activity and numerical skills in 706 pupils aged 3 to 6. The results, to be read in the journal Scientific Reports, show for the first time that emotion knowledge, cooperative social behaviour and locomotor activity are interrelated and associated with numerical skills. These results are in line with the political and scientific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social-emotional skills in early schooling and suggest that locomotor activity should be added to these fundamental skills. A growing number of studies are examining the fundamental abilities that prepare children for school and that are particularly crucial for their future academic success. "Among these abilities, 'emotion knowledge' contributes significantly and is a long-term predictor of social behaviour and academic success," says Edouard Gentaz,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Psychology at the Faculty of Psychology and Educational Sciences (FPSE) of the UNIGE and the last author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links between socio-emotional and academic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To fill this gap, we joined forces with the HEP-VS and a team of teachers from Savoie in France and their pedagogical advisor to examine how emotion knowledge, social behaviour and locomotor activity are associated and linked to the numerical skills in 706 pupils aged between 3 and 6 years old," continues the Geneva-based researcher. Unlike most research that generally examines school results through reading tests, this study focuses on numerical learning, the performance of which is less correlated with parents' socio-economic level than language skills.

교육데이터 활용 위해 민관 머리 맞댄다

조선에듀 09 Jul 2021
교육데이터 활용 위해 민관 머리 맞댄다

교육데이터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민관이 머리를 맞댄다. 교육부는 교육빅데이터위원회를 구성하고 9일 오후 3시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제1차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교육데이터위원회는 미래 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교육부 소속 자문위원회다. 교육과 데이터 분야의 전문가 21명으로 구성됐다. 공동위원장은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민간위원장은 차상균 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원장이 맡는다. 최교진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회장, 김인철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 남성희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회장, 송재호 KT 최고디지털혁신책임자 등도 포함됐다. 이들은 교육데이터와 관련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핵심의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핵심의제는 교육데이터의 정책 추진 방향, 개방과 활용, 교육데이터 관련 기준과 지침에 대한 사항 등이다. 첫 회의에서는 교육데이터와 관련된 전반적인 현황을 공유한다. 관련 제도 개선, 데이터 품질 관리 방안도 논의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위원회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교육데이터 개방과 활용, 보호 등에 필요한 세부 과제를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유 부총리는 “교육빅데이터위원회를 통해 디지털시대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민관 협력으로 미래교육의 기반이 되는 교육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논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Handwriting beats typing and watching videos for learning to read

ScienceDaily 08 Jul 2021

Though writing by hand is increasingly being eclipsed by the ease of computers, a new study finds we shouldn't be so quick to throw away the pencils and paper: handwriting helps people learn certain skills surprisingly faster and significantly better than learning the same material through typing or watching videos. "The question out there for parents and educators is why should our kids spend any time doing handwriting," says senior author Brenda Rapp, a Johns Hopkins University professor of cognitive science. "Obviously, you're going to be a better hand-writer if you practice it. But since people are handwriting less then maybe who cares? The real question is: Are there other benefits to handwriting that have to do with reading and spelling and understanding? We find there most definitely are." The work appears in the journal Psychological Science. Rapp and lead author Robert Wiley, a former Johns Hopkins University Ph.D. student who is now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Greensboro, conducted an experiment in which 42 people were taught the Arabic alphabet, split into three groups of learners: writers, typers and video watchers.

Journal

MORE JOURNALS >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학습동기와 수업참여의 종단적 관계

교육학연구
v.59(4) Jun 2021 pp.163~184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원격수업에 나타난 교사 행위자성의 유형과 영향 요인

교육공학연구
v.37(2) Jun 2021 pp.161-190

“Stop Doing That!”: Effects of Teacher Reprimands on Student Disruptive Behavior and Engagement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v.23(3) Jul 2021 pp.163-173

Report

MORE REPORTS >

컴퓨터·정보 소양 격차 완화를 위한 교수·학습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Jul 2021

The contemporary strategic challenges facing higher education

SSRN
Jul 2021

Does test-based school accountability have an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and equity in education?

OECD
Jul 2021

Book

MORE BOOKS >

교직실무

주철안 외 7명
학지사
2021

교양교육의 지평 : 쟁점과 과제

백승수
양서원
2020

Impact of AI technologies on teaching, learning, and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Shivani Verma, Pradeep Tomar
IGI Global
2021

Literacy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Richard T. Boon 외 2명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2020

Conference

MORE CFPS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place Online
date Aug 12-13, 2021
submission Jul 23, 2021

[ASEE] 2021 Annual Conference & Exposition

place Online
date Jul 26-29, 2021
submission Mar 08, 2021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