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Education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 Scientific Disciplines
    • Education, Speci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교육학 관련 도서관 신착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입니다.

Journal & Article

교육학 관련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 정보입니다.

WebDB

교육학 관련 학술 DB 및 통계 DB 등을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교육학 관련 국내외 최신 뉴스 및 연구보고서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교육학 관련 국내외 컨퍼런스, 논문투고 일정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 단체 정보입니다.

OCW

교육학 관련 국내외 공개강의 및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Newsletter

지난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Aug 2022 vol. 53
고려대학교 도서관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News

MORE NEWS >
‘만 5세 입학’ 폐기 수순…교육차관 “현실적으로 어려워”

‘만 5세 입학’ 폐기 수순…교육차관 “현실적으로 어려워”

이투데이 09 Aug 2022

"현실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워졌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교육부가 초등학교 입학 연령 하향 조정 방안을 사실상 철회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9일 국회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만 5세 초등입학' 정책은 폐기된 것인지 묻는 유기홍 교육위원장(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지금 이 자리에서 폐기한다, 이제는 더는 추진하지 않겠다는 말은 드리지 못한다"면서도 이같이 답했다. 장 차관은 "초등 1년 입학연령 하향 방안은 업무보고를 통해 하나의 제안사항으로 보고했던 것"이라며 "업무보고 브리핑 과정에서 마치 추진이 확정된 것으로 오해가 있어 저희가 바로잡으려는 노력을 했지만 사후적으로 굉장히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로서는 그 안에 대해서 계속 고집을 하거나 그 안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은 아니다"면서도 "앞으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교육에 대한 국가책임을 강화하자는 그런 취지를 달성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들에 대해서 국민의 의견도 수렴하고 전문가 얘기도 듣겠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이날 국회에 보고한 업무보고 자료에서 '만 5세 초등학교 입학'을 비롯한 학제개편 내용을 제외했다. 대신 '조기에 양질의 교육 제공'이라는 목표 아래 "학부모, 학교현장, 전문가 등 다양한 의견 수렴과 국가교육위원회 등을 통한 사회적 합의를 거쳐 구체적인 추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교육위 위원들은 5세 입학 정책의 출처를 집중적으로 따져 물었다.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윤 대통령이 ‘신속 강구’를 언급하지 않았느냐”며 “이 정책이 윤 대통령과 박순애 전 부총리의 합작품이 아니냐”라고 물었다. 장 차관은 “업무보고 내용은 논의 과정에서 정리된 것”이라는 수준의 원론적 답변을 반복했다.

‘생활지도 강화’ 법 개정에 ‘공감’, 교총 - 국회 교육위원장 간담

한국교육신문 10 Aug 2022
‘생활지도 강화’ 법 개정에 ‘공감’, 교총 - 국회 교육위원장 간담

정성국 한국교총 회장과 유기홍 국회 교육위원장이 10일 국회에서 간담을 갖고 교권보호 및 교사들의 생활지도권 강화, 만 5세 취학연령 하향 방침, 학교 행정업무 개선 등 교육 현안을 놓고 머리를 맞댔다. 유기홍 국회 교육위원장은 “전날 있었던 교육 상임위원회에서의 성과는 무엇보다 만 5세 취학 문제가 사실상 완전히 정리된 점”이라며 “국회에서도 신속하게 인사청문회를 할 테니, 부디 새로운 장관은 교육에 전문성이 있는 사람으로 빨리 추천해줄 것을 대통령실 등에 당부했다”고 포문을 열었다. 유 위원장은 “지방교육재정교부금도 정말 신중해야 하는 문제”라며 “교부금에 손을 대는 순간 만 5세 취학 못지않게 교육계에 ‘대란’이 일어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학령인구가 줄어든다고는 하지만 대도시나 신도시 주변은 과밀학급에 교사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어떻게 보면 지금이 공교육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회인 만큼, 교부금을 떼 대학에 지원하는 것은 신중하게 접근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성국 교총 회장은 교사들의 교육활동 보호 및 생활지도권 강화에 국회가 더 많은 관심을 갖고 관련된 법률을 개정해줄 것을 요청했다. 정 회장은 “최근 수업을 방해하거나 교사의 정당한 생활지도를 따르지 않는 교육활동 피해 사례가 증가하면서 선생님들이 가르칠 힘이 떨어지고 자포자기하는 마음으로 아이들을 대하게 되는 경우를 많이 본다”며 “교육기본법과 초·중등교육법을 개정해 학생 생활교육 지도권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유 위원장은 “학생들이 교실 내에서 질서를 심하게 지키지 않거나 교사를 폭행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엄하게 다스릴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며 “말씀해 주신 부분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교총은 생활지도권 강화를 위해 교육기본법·초중등교육법·교원지위법 개정을 요청했다. 구체적으로는 법률에 △수업방해 등 교육활동 침해 시 즉시 분리조치 시행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교권보호위원회 처분내용 학생부 기록 △반복, 심각한 교권침해 학생에 대한 특별교육·심리치료 의무화 △학교 교권보호위원회 교육지원청 이관 등의 명시를 요구했다.

지워져 가는 '혁신' 학교…부상하는 '미래' 교육

한국교육방송공사(EBS) 10 Aug 2022

지난 교육감 선거에서 보수 교육감이 대거 당선되면서, 진보교육의 상징이던 혁신학교에도 변화가 일고 있습니다. 최근 경기도뿐 아니라 부산 등 전국 각지에서 혁신학교 축소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는데, 먼저, 서진석 기자의 리포트 보시고, 전문가 의견 들어보겠습니다. 경기도교육청이 지난주에 입법 예고한 '행정기구 설치조례 시행규칙'입니다. 교육감의 주요 공약을 신속히 이행하기 위해 교육청의 조직과 기능을 개편한다고 돼 있습니다. '혁신학교'는 '미래학교'로 바뀌었고, 혁신학교의 전 단계 격인 혁신공감학교에 대한 내용은 아예 삭제됐습니다. 대신 미래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IB, 즉 국제바칼로레아 도입을 추진하겠다는 내용이 추가됐습니다. 인터뷰: 임태희 교육감 / 경기교육청 (지난 8일) "학생들에게 그 안에서 평가하고 비판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교육감들의 '혁신학교 지우기'가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신경호 강원교육감은 강원형 혁신학교인 '행복더하기학교'를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폐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윤수 부산교육감 역시 부산형 혁신학교, '다행복학교'의 예산과 인력 지원을 일반 학교 수준으로 낮추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혁신교육을 주도해온 진보 교육감들 사이에서조차 혁신학교의 문턱을 높이려는 움직임이 감지됩니다.

9 Ways to Enable Equitable Education in Your School

EdSurge 15 Aug 2022
9 Ways to Enable Equitable Education in Your School

The struggle for equity in education stretches back beyond our nation's living memory. But, as the COVID-19 pandemic has made painfully clear, we've still got plenty of work to do. In a recent discussion with global education leaders, we took a hard look at some of the inequitable practices that continue to plague our schools. The conversation was refreshing, raw and relevant to the current situation in our public institutions, highlighting major issues that may not have been considered previously. Below are nine key themes that emerged from our panel, along with a few action items to help education leaders enable equitable education in their schools or districts.

Strategies revealed for effective delivery of K-12 online education

ScienceDaily 11 Aug 2022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esearchers released findings from an analysis of 284 different studies on the challenges and best practices for teaching K-12 classes online -- an effort launch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help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s they transitioned rapidly to online instruction. The researchers used the findings, which have now been published i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to develop a series of free, online and asynchronous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s for teachers. The courses were provided online to more than 1,000 teachers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pandemic. "We've learned a lot about what works for online instruction in U.S. higher education, but we wanted to see what works for K-12," said the study's lead author Carla C. Johnson, professor of science education at NC State. "We noticed that many teachers hadn't had any training for online instruction; we have been preparing them to teach face-to-face. Ultimately, we found that some of the strategies that worked well in-person also worked online, with some modifications." In their analysis, researchers searched for existing studies on online, virtual, distance or remote delivery of K-12 education. After reviewing the studies for key themes, researchers revealed three foundational elements needed for effective online instruction: teacher training in online teaching; district and school access to technology and the Internet; and consideration of student developmental level in instructional planning, such as whether students are able to learn independently.

Journal

MORE JOURNALS >

Positive error climate promotes learning outcomes through students’ adaptive reactions towards errors

Learning and Instruction
v.80 Aug 2022 101627

A systematic review of academic dishonesty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v.38(4) Aug 2022 pp.907-928

스마트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특수교사의 요구도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65(3) Jul 2022 pp.1-22

Report

MORE REPORTS >

교육정책 추진 지원을 위한 교육 빅데이터 활용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Jul 2022

Reinforcing and innovating teacher professionalism

OECD
Aug 2022

Redefining Learning through Social-Emotional Learning: A Review

SSRN
Aug 2022

Book

MORE BOOKS >

AI 교육, 누리과정과 만나다

이재은 외 2명
공동체
2022

(새로운 교육의 시대) 포스트 교육행정

최경민, 김규태
수양재
2022

How teaching happens : seminal works in teaching and teacher effectiveness and what they mean in practice

Paul A. Kirschner 외 2명
Routledge
2022

Supporting students' motivation : strategies for success

Johnmarshall Reeve 외 4명
Routledge
2022

Conference

MORE CFPS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년 추계정기학술대회 안내

place 경북대학교 글로벌플라자 효석홀
date Sep 24, 2022
submission Aug 15, 2022

[EDTECH] 2022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and Integrating Technology

place Copenhagen, Denmark
date Sep 17-18, 2022
submission Aug 20, 2022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