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Education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 Scientific Disciplines
    • Education, Speci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교육학 관련 도서관 신착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입니다.

Journal & Article

교육학 관련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 정보입니다.

WebDB

교육학 관련 학술 DB 및 통계 DB 등을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교육학 관련 국내외 최신 뉴스 및 연구보고서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교육학 관련 국내외 컨퍼런스, 논문투고 일정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 단체 정보입니다.

OCW

교육학 관련 국내외 공개강의 및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Newsletter

지난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Dec 2021 vol. 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News

MORE NEWS >
Teachers, youth and education leaders call for concrete steps to ensure transformative education for all

Teachers, youth and education leaders call for concrete steps to ensure transformative education for all

UNESCO 06 Dec 2021

Education which equips every learner with the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to care for each other and the planet and act for the future was at the centre of the 5th UNESCO Forum on transformativ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lobal citizenship, health and well-being. From 29 November to 1 December 2021, UNESCO and APCEIU convened over 1600 experts and practitioners in the virtual Forum hosted by the Ministries of Education and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Education should play the role of building peace in the minds of men and women of future generations and nurturing mature citizens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s the global challenges we are facing today,” said Ms Eun-hae Yoo, Deputy Prime Minister and Minister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said in the opening of the Forum. Launched at the Forum, the Teachers Have Their Say report showed that although the vast majority of teachers regard the theme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as important, nearly a quarter don’t feel ready to teach them. The global survey of 58,000 teachers conducted by UNESCO and Education International found that although 81% of teachers were interested in learning more about the themes, training opportunities were not always available and half the respondents face challenges in teaching sustainability and global citizenship, typically because they are not familiar with suitable pedagogies. The three-day discussions included ways to amend this gap, as well as focusing on how to change policy, assessment and monitoring to achieve transformative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Target 4.7. “Education must prepare learners to navigate uncertain futures and help them create a more peaceful, just and sustainable world. But to do this, education itself must be transformed,” said Stefania Giannini, UNESCO Assistant Director-General for Education.

유은혜·정은경 “전면등교 위해 청소년 백신 접종 확대해야” 대국민 호소

이투데이 01 Dec 2021
유은혜·정은경 “전면등교 위해 청소년 백신 접종 확대해야” 대국민 호소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안정적 전면등교를 위해 소아·청소년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백신 예방 접종 확대 호소를 하고 나섰다. 유 부총리와 정 청장은 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대국민 호소문과 백신 접종률 제고 방안을 공동 발표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최근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 이후 소아ㆍ청소년 확진자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2~17세 기준 △9월 3630명(확진자 대비 6.1%) △10월 4837명(9.1%) △11월 30일 6613명(8.0%) 등이다. 확진된 소아·청소년의 약 18%가 의료기관에 입원했으며 이 가운데 9명은 위중증으로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출현 등 위험요인이 존재해 접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초6·중학생을 비롯해 아직 접종에 참여하지 않은 고등학생은 누구나 감염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상황이라는 게 교육부와 질병청의 설명이다. 정부는 예방접종을 통함 감염예방 효과가 분명히 확인되고 대부분 경증으로 치료를 받은 후 빠르게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밝혔다. 정부는 접종 기회 확대를 위해 23일부터 추가 사전예약을 시작했다. 또 내년 1월 22일까지 접종기한을 연장했다. 교육부는 특히 접근성과 편의성 제고를 위해 2주간의 집중 접종 지원 주간을 설정한다. 해당 기간 희망하는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단위 백신 접종을 실시한다. 이달 13일부터 24일까지 2주간을 지정·운영하되 지역이나 학교 상황에 따라 확대 운영도 한다. 해당기간에는 학교별 접종 희망자 대상 수요조사 실시 후 △보건소 방문 접종팀의 직접 학교 방문 접종 △보건소, 예방 접종센터, 관내 위탁의료기관과 학교를 연계한 접종 등 다양한 지원이 집중적으로 이뤄진다. 유 부총리는 “전면등교는 대한민국 일상회복의 핵심인 만큼 정부는 국민께 협조와 동참을 구하며 현재 위기를 극복하겠다”라며 “교육부는 학교 안팎의 방역을 한층 더 강화하고, 청소년 백신 접종을 높이면서 현재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질병청장은 “전파력이 높은 새로운 변이바이러스가 출현한 상황에서 개인과 가족의 안전을 지키기 위하여 예방접종에 참여해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차기 정부…‘영유아 출발선 교육’ 이뤄야”

한국교육신문 07 Dec 2021
“차기 정부…‘영유아 출발선 교육’ 이뤄야”

유아교육발전을 위한 한국유아교육대표자연대(의장 문미옥·서울여대 교수)가 6일 ‘제20대 대통령선거 유아교육 정책과제’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측에 각각 전달했다. 한국유아교육대표자연대는 이번 정책과제 제안 배경에 대해 “헌법 제31조 제1항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현재 대한민국 영유아들은 환경에 따라 천차만별의 영유아기를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연대는 또 “교육기본법 제9조 제1항에 ‘유아·초등·중등 및 고등교육을 위해 학교를 둔다’고 규정돼 있음에도 여전히 영유아를 위한 교육기관은 어린이집, 유치원 등 명칭에서부터 교육적 가치가 훼손돼 있다”며 “차기 정부는 ‘가족이 행복한 영유아 출발선 교육’을 이뤄나가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이 제안한 주요 정책과제는 △국가가 책임지는 0~5세 영유아 완전 무상교육 △교육 다양성 확보 및 공·사립 균형 발전지원 등 질 관리 선진화 △예비 부모 교육 및 맞춤 영유아기 부모 지원 정책 강화 △출산 및 육아휴직 기간, 육아휴직 급여 지급 확대 등 강력한 부모 지원 정책 △영유아 교육기관 스마트 안전 시스템 구축 △영유아 교사 교권 보장 △교육과 보육의 교육부 통합 및 교육·보육 기관의 영아학교와 유아학교 변경 △0~5세 담당 교사 자격관리 체제 일원화 및 교사 양성 교육과정 개선 등이다. 유아교육 관련 학회 및 교육·교원단체 22곳이 모여 구성된 한국유아교육대표자연대는 유아 공교육의 발전과 관련된 교육 이론과 실제를 토론·비판하고 정부의 유아교육 정책에 대한 올바른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실현하기 위해 2003년 출범했다.

"고교학점제 재검토 요구" 전교조, 교육부 앞 결의대회

주간교육신문 03 Dec 2021

전교조는, 고교학점제에 대해 11월 25일, 교육부 앞에서 ‘대입제도 개편과 고교학점제 재검토를 요구하는 전국 고교교사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고교학점제에 우려를 표명했다. 전희영 전교조 위원장은 “전국의 모든 고등학교가 대학입시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대한민국 교육 현실에서 학생들의 선택은 ‘대입에 유리할 것인가, 불리할 것인가’를 기준으로 강요당한 선택일 뿐”이라며 “학생들에게 진정한 과목선택권을 주고 싶다면, 수능 자격고사화와 대입체제 개편, 대학서열화 해소방안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수년간 연구·선도학교를 운영해왔지만 여전히 제대로 된 대책 하나 내놓지 못한다면,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되더라도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면서 “문제를 해결할 의지를 보이든지, 해결할 능력이 없다면 포기를 선언하든지” 교육부가 결단할 것을 촉구했다. 지역에 따른 교육격차의 문제도 지적됐다. 이상명 평등교육 실현을 위한 천안학부모회 사무국장은, “지역에 따른 교육격차가 해소되어야 하고, 입시제도가 전면적으로 개편되어야 하는데 이런 의지가 교육부에 있는지 의심스럽고 우려스럽다”며 “사교육 의존도를 낮추지 못하고 오히려 경쟁을 가속화시키는 페달이 되고 있는 고교학점제는 전면 재검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종 보람고 황선엽 교사는 “1학기에 세 개의 과목, 주당 18시수를 준비했다”고 수업 준비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다과목 지도로 교사가 수업의 질을 담보하지 못하면 그 피해는 학생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코로나로 학력격차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고교학점제가 학교의 서열화, 학생 간의 학력격차를 더 심화시킬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Learning losses from COVID-19 school closures could impoverish a whole generation

UNESCO 06 Dec 2021
Learning losses from COVID-19 school closures could impoverish a whole generation

This generation of students now risks losing $17 trillion in lifetime earnings in present value, or about 14 percent of today’s global GDP, as a result of COVID-19 pandemic-related school closures, according to a new report published today by the World Bank, UNESCO, and UNICEF. The new projection reveals that the impact is more severe than previously thought, and far exceeds the $10 trillion estimates released in 2020. In addition, The State of the Global Education Crisis: A Path to Recovery report shows that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the share of children living in Learning Poverty – already 53 percent before the pandemic – could potentially reach 70 percent given the long school closures and the ineffectiveness of remote learning to ensure full learning continuity during school closures. Simulations estimating that school closures resulted in significant learning losses are now being corroborated by real data. For example, regional evidence from Brazil, Pakistan, rural India, South Africa, and Mexico, among others, show substantial losses in math and reading. Analysis shows that in some countries, on average, learning losses are roughly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closures. However, there was great heterogeneity across countries and by subject, students’ socioeconomic status, gender, and grade level. For example, results from two states in Mexico show significant learning losses in reading and in math for students aged 10-15. The estimated learning losses were greater in math than reading, and affected younger learners, students from low-income backgrounds, as well as girls disproportionately.

Journal

MORE JOURNALS >

Moral considerations on social robots in education: A multi-stakeholder perspective

Computers & Education
v.174 Dec 2021 104317

Open Data Interface (ODI) for secondary school education

Computers & Education
v.174 Dec 2021 104294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Interventions: A Systematic Review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v.42(6) Dec 2021 pp.384-397

Report

MORE REPORTS >

모든 시민의 학습권을 보장하는 평생학습체제 구축

한국교육개발원(KEDI)
Nov 2021

Student Evaluations and Increased Teaching Load

SSRN
Dec 2021

Staffing and compensation are at the heart of building a better early childhood system

Brookings Institution
Dec 2021

Book

MORE BOOKS >

(교육공학자가 말하는) 메타버스

김보은, 김민지
유비온
2021

최신 교육학의 이해 = 4판

박영진, 장성화
동문사
2021

The what, why and how of assessment : a guide for teachers and school leaders

Simon Child, Paul Ellis
SAGE
2021

Trauma-sensitive instruction : creating a safe and predictable classroom environment

John F. Eller, Tom Hierck
Solution Tree Press
2021

Conference

MORE CFPS >

<교육학연구> 60권 1호 논문 모집 안내

place
date
submission Dec 31,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 2022 동계 학술대회 개최 안내

place 온라인
date Jan 17-18, 2022
submission N/A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