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Education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 Scientific Disciplines
    • Education, Speci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교육학 관련 도서관 신착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입니다.

Journal & Article

교육학 관련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 정보입니다.

WebDB

교육학 관련 학술 DB 및 통계 DB 등을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교육학 관련 국내외 최신 뉴스 및 연구보고서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교육학 관련 국내외 컨퍼런스, 논문투고 일정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 단체 정보입니다.

OCW

교육학 관련 국내외 공개강의 및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Newsletter

지난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Jun 2022 vol. 51
고려대학교 도서관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News

MORE NEWS >
출범위원회 가동한 조희연 “학습격차 해소하고, 공교육 정상화 실현”

출범위원회 가동한 조희연 “학습격차 해소하고, 공교육 정상화 실현”

조선에듀 15 Jun 2022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서울교육의 청사진을 내놨다. 조 교육감은 공존교육전환위원회로 명명한 3기 출범준비위원회(위원회)를 가동해 학습회복과 미래교육의 토대를 마련하기로 했다. 조 교육감은 15일 서울시교육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오는 20일부터 내달 29일까지, 40일간 위원회를 운영해 질 높은 공교육 구현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을 논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위원회는 총 13명으로 구성되며, 한국교육개발원장을 지낸 반상진 전북대학교 교수가 위원장을, 최민선 전(前) 서울시교육감 정책보좌관이 부위원장을 맡았다. 위원회는 교육정책과 학교현장에 식견을 갖고 있는 교육전문가와 초·중등 교원, 공무원, 시민 등으로 구성됐다고 조 교육감은 설명했다. 위원회는 향후 4년 서울교육의 지표가 될 조 교육감의 공약을 정책화할 계획이다. 이후 교육청 각 부서와 연계해 정책 기조에 기반한 서울교육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게 된다. 앞서 조 교육감은 교육감 후보 시절 ▲서울형 기초학력 보장제 실현 ▲저녁 8시까지 초등 안심 돌봄체제 구축 ▲교사 업무와 행정 업무의 분리 ▲모든 자치구 내 특수학교 설립 ▲다양한 유형의 공립 유치원 신증설 등 10가지 공약을 내걸었다. 위원회가 정식 출범하게 되면서 조 교육감의 공약은 탄력있게 추진될 전망이다.

5년간 교사 폭행 888건…‘매 맞는 교권’ 이제 그만

한국교육신문 03 Jun 2022
5년간 교사 폭행 888건…‘매 맞는 교권’ 이제 그만

한국교총과 울산교총은 지난달 31일 울산의 한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50대 담임교사 폭행 사건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재발 방지대책을 촉구했다. 교총은 3일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학생의 학습권과 교사의 교권 보호, 학교 교육 정상화를 위해 국가적 차원의 실태조사 및 근절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피해 교사 교권 보호와 조속한 치유를 위한 교총 자원의 다각적 지원 계획을 밝혔다. 이번 사건은 특히, 제자에 의해 벌어진 상해·폭행 사건이라는 점에서 심각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모욕·명예훼손이나 공무 및 업무방해 등 여타 교권 침해 사건에 비해서도 교원에게 주는 상실감과 충격이 훨씬 크기 때문이다. 학습권 침해 등 다른 학생에게 미치는 2차 피해도 크다. 교육부의 ‘최근 5년간 교육활동 침해 현황’에 따르면 학생, 학부모에 의한 교사 상해·폭행 사건은 총 888건에 달한다. 2017년 116건, 2018년도 172건, 2019년도 248건, 2020년도 113건, 2021년도 239건이다. 교총은 교사 상해·폭행 행위에 대한 대처와 처벌 수준이 너무 낮다고 지적했다. 학교폭력 등과 다를 바 없는 행위임에도 지나치게 느슨한 대처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학교폭력 가해 학생은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의 조치사항이 학생부에 기재되고, 교사가 학생을 체벌하거나 폭행하면 징계는 물론 엄중한 형사처벌에 도덕적 비판까지 받는다. 반면, 학생이 교사를 상해·폭행한 경우는 학생부에 기재되지 않고 단지 학교교권보호위원회에서 내려진 처벌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이렇다 보니 학교 현장은 학칙을 어기고 수업을 방해하는 문제행동 때문에 갈수록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교총이 지난 4~5월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교원들은 교권 하락과 사기 저하의 제1 원인으로 ‘문제 학생 생활지도 및 학부모 민원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꼽았다. 2021년 한국교육개발원 교육 여론조사에서도 국민 44.5%가‘교권 침해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코로나19에 기초학력 미달 중고교 학생 늘었다

이투데이 13 Jun 2022
코로나19에 기초학력 미달 중고교 학생 늘었다

지난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 고등학생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역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생긴 학습 결손이 학력 저하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13일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202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르면 중위권인 ‘보통학력(3수준)’ 이상 비율은 줄고 ‘기초학력 미달(1수준)’ 비율은 늘었다. 성취도는 우수학력(4수준), 보통학력(3수준), 기초학력(2수준), 기초학력 미달(1수준)로 분류된다. 기초학력 미달이란 교과 내용의 20%도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으로 소위 ‘수포자’·‘영포자’ 등이 이에 해당한다. 보통학력 이상 비율을 보면 중3의 경우 국어와 수학에서 각각 74.4%와 55.6%로 전년(각각 75.4%, 57.7%)대비 감소했다. 같은 기간 영어는 63.9%에서 64.3%로 소폭 늘었다. 고2의 경우 국어(69.8%→64.3%)와 영어(76.7%→74.0%)는 줄어든 반면, 수학(60.8%→63.1%)은 증가했다. 기초학력 미달은 특히 고2에서 늘었다. 고2의 경우 국어는 6.8%에서 7.1%로, 수학은 13.5%에서 14.2%로, 영어는 8.6%에서 9.8%로 각각 증가했다. 반면, 중3은 국어(6.4%→6.0%)·수학(13.4%→11.6%)·영어(7.1%→5.9%)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중고교 모두 여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남학생에 비해 높았다.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중고교 국어·영어교과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았고,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여학생이 중고교 모든 교과에서 남학생에 비해 낮았다. 지역별로는 대도시가 읍면지역보다 높았다. 중학교 모든 교과와 고교 수학에서 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읍면지역보다 대도시가 높게 나타났다.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중학교 국어와 영어, 고교 모든 과목에서 대도시와 읍면지역이 유사했지만, 중학교 수학의 경우 읍면지역(16.4%)이 대도시(9.6%)보다 두배 가까이 높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전문가·교원 의견 수렴 결과 등교수업이 확대된 2021년에도 코로나 이전과 같은 수준의 학사 운영이 이루어지지 못해 단기간 학습 회복에는 어려움이 있었다”며 “기초학력 보장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 책임 이행을 위해 지원대상 학생 선정 방안, 전담교원 배치 방안, 맞춤형 학습 지원 방안 등을 담은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평가는 지난해 9월 14일 전국 중3·고2 학생(78만203명)의 3%(2만2297명)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The Case for Making Classrooms Phone-Free

EdSurge 06 Jun 2022
The Case for Making Classrooms Phone-Free

The debate about mobile phones in the classroom can get heated. Some teachers believe phones should be used as a teaching tool. Others push to ban cell phones from the classroom altogether. Two years ago, English Language Arts teacher Tyler Rablin promoted cell phone use in the classroom, encouraging his students to bring their phones to class. He’s had a change of heart. Next year, he’ll be asking students to check their phones at the door. Rablin recently took to Twitter to share his rationale in an 8-tweet thread. We asked him to share more thoughts. Two years ago, I was a champion for phones in the classroom. I was part of the team that was like, “These are incredible! Let’s bring them in and use them for learning!” I’ve recently changed my stance. Next year in my classroom, students will be checking in their phones when they arrive and getting them back on their way out the door. Why? Because attention is a limited resource and kids are spending too much of it distracted by their phones. It's a losing battle for kids and their brains. When students pick up their phones, they are immediately bombarded with notifications and noise, and in my experience this doesn’t support learning. Are there creative tools and apps that are beneficial to learning? Yes, of course. But these tools and apps are not actively reaching out to them. Instead, it’s TikTok, Instagram and games that are causing distraction. Their phones are actively and intentionally working against the goals of learning. When we allow students to pick up their phones, even when we’re using them for learning activities, it’s too much temptation. I learned that the hard way.

What I Learned When Visiting a Colleague’s Hybrid Class

EdSurge 10 Jun 2022
What I Learned When Visiting a Colleague’s Hybrid Class

This article is part of the guide Toward Better Teaching: Office Hours With Bonni Stachowiak. The following is the latest installment of the Toward Better Teaching advice column. You can pose a question for a future column here. Though I usually use this space to offer answers to teaching advice questions from professors, I wanted to try something different. So for my next few installments, I’m writing letters to people who have exemplified what it means to be an effective teacher. This column, the first in the series, is to my friend and colleague, Elizabeth Powell. Her discipline is psychology and she invited me to come observe one of her final classes at our university. Dear Elizabeth, You invited me to come check out how you set up your class to blend online and in-person attendance, and I quickly accepted. While I have seen you present many times in front of faculty, in all these years I had missed ever getting to see you teach in the context of a college class. You were gracious about making sure I knew how masking had been working in the class and gave me a few different options to approach my visit that morning. This was the first of many ways in which you demonstrated the care you take to be inclusive of whoever is in your classroom.

Journal

MORE JOURNALS >

A Meta-Analysis of the Relevance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Quality for Peer Relationships and the Contribution of Student Behavior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92(3) Jun 2022 pp.370-412

Rebooting assessment. Exploring the challenges and benefits of shifting from pen-and-paper to computer in summative assessment

Educational Research Review
v.36 Jun 2022 100451

Robots in situated learning classrooms with immediate feedback mechanisms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Computers & Education
v.182 Jun 2022 104483

Report

MORE REPORTS >

'숙제'에 대한 해외 동향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SEPI)
Jun 2022

The Effects of the Flipped Classroom and Online Education

SSRN
Jun 2022

Challenges and Coping Strategie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Elementary Teachers During Pandemic

SSRN
Jun 2022

Book

MORE BOOKS >

교육사 및 교육철학

고경화 외 2명
동문사
2022

평생교육경영론 : 공익적 평생교육기관을 위한 경영의 실제

오혁진
학지사
2021

The future of smart : how our education system needs to change to help all young people thrive

Ulcca Joshi Hansen
Capucia
2021

Educational psychology and transformational classrooms

Helenrose Fives, Nicole Barnes
Routledge
2022

Conference

MORE CFPS >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춘계학술대회 안내

place 인천 겐트대학교
date Jun 25, 2022
submission Jun 3, 2022

[ISET] 2022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ducational Technology

place Hong Kong/Online
date Jul 19-22, 2022
submission Mar 28, 2022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