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Education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 Scientific Disciplines
    • Education, Speci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교육학 관련 도서관 신착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입니다.

Journal & Article

교육학 관련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 정보입니다.

WebDB

교육학 관련 학술 DB 및 통계 DB 등을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교육학 관련 국내외 최신 뉴스 및 연구보고서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교육학 관련 국내외 컨퍼런스, 논문투고 일정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 단체 정보입니다.

OCW

교육학 관련 국내외 공개강의 및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Newsletter

지난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Jul 2022 vol. 52
고려대학교 도서관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News

MORE NEWS >
박순애 부총리 “교육개혁 추진…희망찬 미래 그리는 교육에 힘 다하겠다”

박순애 부총리 “교육개혁 추진…희망찬 미래 그리는 교육에 힘 다하겠다”

이투데이 04 Jul 2022

박순애 신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적극적인 교육개혁으로 미래 교육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박 부총리는 4일 “윤석열 정부의 첫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으로서 막중한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낀다”라고 말했다. 이어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교육공동체의 의견을 잘 반영하여 교육개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라며 “국민에게 희망찬 미래를 그려주는 교육을 위해 온 힘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이 박 후보자의 임명을 재가했다고 밝혔다. 교육부 장관이 인사청문회 없이 임명된 건 14년 만이다. 박 부총리는 연세대 행정학과를 졸업,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2004년부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로 활동했다. 박 부총리는 윤석열 정부 첫 교육부 장관이 되기까지 음주운전 선고유예, 제자 논문 가로채기, 교수 재직 시 조교 갑질 논란 등 각종 의혹에 우여곡절을 겪었다. 박 부총리는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을 열고 공식 업무를 시작할 예정이다.

정성국 교총 회장 “교원이 소신·열정 갖고 가르칠 환경 만들겠다”

한국교육신문 07 Jul 2022
정성국 교총 회장 “교원이 소신·열정 갖고 가르칠 환경 만들겠다”

정성국 제38대 한국교총 회장은 7일 취임식에서 “교원이 소신과 열정으로 가르칠 환경을 반드시 만들겠다”고 밝혔다. ‘교육 변화’와 ‘새로운 교총’을 실현해 최초의 초등 평교사 회장을 선택한 현장 교원의 바람에 부응하겠다는 포부다. 정 회장은 취임사에서 “정성국의 능력, 인품, 공약보다는 변화를 갈망하는 시대의 요구가 모여 선택됐고, 오늘까지 학교 현장을 지켜 온 정성국은 다를 것이라는 기대가 지지로 이어졌음을 잘 알고 있다”며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교육 변화와 교체를 이끄는 새로운 교총을 만드는 데 온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또한 “선생님은 잘 가르치고 싶고, 아이들을 사랑으로 대하고 싶으며, 스승으로서 잘못을 타일러 제자들을 바른길로 인도하고 싶다. 이런 소망과 바람이 진정 불가능한 것이냐”며 “이제 교총이 바꿔 나가겠다”고 역설했다. 그는 교원의 소신과 열정을 흔드는 고충 해소에 진력할 것임을 천명했다. 특히, 악성 민원, 교육활동을 저해하는 행정업무, 교육기관의 정체성을 어지럽히는 방과후학교와 돌봄교실 등을 시급한 과제로 지목했다. 학급당 학생 수 20명 이하 실현, 교원행정업무 전격 폐지, 방과후학교 및 돌봄교실 지자체 이관, 문제행동 학생 치유‧교육을 위한 생활지도법 마련, 현행 교원평가 폐지 및 성과급 폐지 후 본봉 산입, 공무원연금 특수성 보장 등 현장 염원 과제를 반드시 관철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특히 정규 교원 확충을 통한 학급당 학생 수 20명 이하 감축을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갈 아이들을 위한 교육의 다양화, 개별화에 꼭 필요한 과제로 꼽았다. 정 회장은 교원이 소신 있게 가르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우리 학생들을 위한 일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이를 통해 “한 명의 학생도 귀하게 여기는 교육적 책무를 다 하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저소득‧취약 계층과 다문화가정 자녀, 정서‧학습장애 학생 등에 대한 교육 지원활동을 적극 이어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Link between air pollution and child brain development strengthened

ScienceDaily 14 Jul 2022

Air pollution is not just a problem for lungs. Increasingly, research suggests air pollution can influence childhood behavioral problems and even IQ. A new study led by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has added evidence showing that both prenatal and postnatal exposure to air pollution can harm kids. The study, published in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found that children whose mothers experienced higher nitrogen dioxide (NO2) exposure during pregnancy, particularly in the first and second trimester, were more likely to have behavioral problems. Researchers also reported that higher exposures to small-particle air pollution (PM2.5) when children were 2 to 4 years old was associated with poorer child behavioral functioning and cognitive performance. "Even in cities like Seattle or San Francisco, which have a lot of traffic but where the pollution levels are still relatively low, we found that children with higher prenatal NO2 exposure had more behavioral problems, especially with NO2exposure in the first and second trimester," said Yu Ni, lead author and a postdoctoral scholar in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 Occupational Health Sciences.

‘AI융합교육’ 2주년 성과 발표회 열려…미래교육 기반 구축

한국대학신문 07 Jul 2022
‘AI융합교육’ 2주년 성과 발표회 열려…미래교육 기반 구축

인공지능(AI)융합교육이 미래교육의 구심점으로 자리잡고 있다. AI융합교육 전공 첫 졸업생이 배출되면서 AI융합교육과정 내실화에도 힘이 실릴 전망이다. 이화여대(총장 김은미)가 운영하는 ‘AI융합교육연구·지원 센터(센터장 정제영)’는 지난 6일 서울 프레지던트호텔 모짤트홀에서 ‘AI융합교육으로 새로운 미래를 디자인하자’라는 주제로 AI융합교육 2주년 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 교육부가 주최하고, AI융합교육연구·지원센터가 주관하는 이번 성과발표회는 17개 시·도교육청과 AI융합교육 전공을 운영하고 있는 전국 46개 교육대학원의 교수진 및 재학하고 있는 현장 교사 등이 참여해 2차 연도 추진 사업의 성과를 공유했다. 이날 행사는 실시간 온라인 발표회로 진행되면서 신진수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과 과장의 인사말을 영상으로 전달했다. 신진수 교육과정정책과장은 “디지털 대전환을 맞이해 학교 현장을 선도할 AI 융합교육 전공 교사들이 성공적으로 양성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제영 센터장은 “전국의 AI융합교육 전공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하는 센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중요한 책무성을 느끼고 있다”며 “올해 1기로 졸업하는 1000명의 선생님들이 미래교육의 리더 역할을 수행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학교 현장의 AI융합교육 우수 실천 사례와 AI융합교육 전공에 재학 중인 교사들의 인터뷰도 소개됐다. 이어 조헌국 단국대 교수, 김우열 대구교대 교수가 AI융합교육전공의 교육과정 우수사례와 AI융합교육 수업지도안 공모전에서 수상한 3개 팀의 현장 교사들이 ‘인공지능을 통한 실생활 문제 해결’, ‘알파세대와 함께하는 미래교육’, ‘데이터 수집 가공 분석으로 하는 AI 코디’ 등 교육 현장의 실천 사례도 발표됐다. 지난 2년 간 전국 2000명의 교사들이 AI융합교육을 연구한 결실과 이를 지원한 센터의 성과도 소개돼 눈길을 끌었다. 정제영 센터장은 2차 연도 사업을 통해 △AI융합교육 전공 교육과정 내실화 지원 △AI융합교육 교육과정 성과 공유 및 확산 △교원 및 국민 대상 AI융합교육 역량 제고 △AI융합교육 정책 지원 △교육부·교육청·교육대학원 간 협력 네트워크 운영 등 5개 추진과제(29개 세부 과제)를 모두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어 교육부와 교육청, AI융합교육 전공을 운영하고 있는 전국 46개 교육대학원 세 주체의 협력 중요성도 강조했다. 또 “AI융합교육이 새로운 미래교육을 만드는데 조금이라도 역할을 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Does Our Academic System Unnecessarily Pit People Against Each Other?

EdSurge 12 Jul 2022
Does Our Academic System Unnecessarily Pit People Against Each Other?

Journal

MORE JOURNALS >

Seeking academic help: The case of lower secondary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ir teachers

Learning and Instruction
v.80 Aug 2022 101624

Teacher beliefs, classroom process quality, and student engagement in the smart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A multilevel analysis

Computers & Education
v.183 Jul 2022 104501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교과-소프트웨어융합 수업설계 원리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v.38(2) Jun 2022 pp.369-407

Report

MORE REPORTS >

교육 공공성, 아동의 생활권에서 실현되고 있는가?

한국교육개발원
Jul 2022

The state of the field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ECD
Jul 2022

Online Distance Learning Amidst the Pandemic COVID-19

SSRN
Jul 2022

Book

MORE BOOKS >

4.0시대 교육정책 어젠다 : 자유·공정·다양성

김경회
박영story
2022

(예비 및 현직 교사를 위한) 교육평가의 이해

박일수
창지사
2022

Personalized learning in gifted education :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at maximizes students' potential

Todd Kettler, Cheryl Taliaferro
Routledge
2022

The teacher's guide to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 supporting and engaging pupils with challenging or disruptive behaviour in the classroom

Amelia Bowler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22

Conference

MORE CFPS >

<교육과정연구> 40권 3호 논문 모집 안내

place
date
submission Jul 31, 2022

[AP-EduTeach] 2022 4th Asia-Pacific Conference on Education, Teaching & Technology

place Singapore
date Jul 25-26, 2022
submission N/A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