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Education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 Scientific Disciplines
    • Education, Speci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교육학 관련 도서관 신착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입니다.

Journal & Article

교육학 관련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 정보입니다.

WebDB

교육학 관련 학술 DB 및 통계 DB 등을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교육학 관련 국내외 최신 뉴스 및 연구보고서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교육학 관련 국내외 컨퍼런스, 논문투고 일정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 단체 정보입니다.

OCW

교육학 관련 국내외 공개강의 및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Newsletter

지난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2 May
    • vol. 61 April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Feb 2023 vol. 59
고려대학교 도서관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News

MORE NEWS >
교육부도 ‘챗GPT 학습’ 나섰다…“생태계 변화 예고 신호탄”

교육부도 ‘챗GPT 학습’ 나섰다…“생태계 변화 예고 신호탄”

이투데이 13 Feb 2023

최근 화두로 떠오른 인공지능(AI) 챗봇인 ‘챗GPT’가 표절·대필 등으로 악용될 우려가 있지만 학습 지원 도구로 활용 가능성이 크다는 목소리 나오면서 교육부 직원들도 ‘열공 모드’에 들어갔다. 13일 오전 11시 45분,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서 챗GPT를 주제로 부내 직원 대상 디지털 게릴라 공개 토론회가 열렸다. 교육부 직원 50여명이 모이고, 온라인 생중계에도 80여명이 참여해 시연을 지켜봤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 1일에 이어 두 번째다. 챗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란 미국 OpenAI사가 개발한 프로토타입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을 말한다. 사용자의 질문에 대해 수준 높은 답을 내놓는 것을 넘어 미국 경영학석사·변호사시험 등 전문직 시험도 통과하는 등 교육계도 그 여파를 피해가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국내 유수의 기업들도 관심을 보이면서 챗GPT를 서비스하겠다고 하는 등 챗GPT의 국내 활용도 머지않은 것으로 보인다.

교대 인기 시들… 13곳 중 11곳 정시 ‘미달’

조선에듀 16 Feb 2023
교대 인기 시들… 13곳 중 11곳 정시 ‘미달’

교육대학교와 대학 초등교육학과의 인기가 예전보다 시들해진 것으로 보인다. 올해 대입 정시모집에서 대다수 교대와 대학 초등교육과의 경쟁률이 사실상 미달에 가까웠다. 수시모집 정원을 채우지 못해 정시로 충원에 나선 인원도 최근 5년 새 최다인 것으로 분석됐다. 16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3학년도 전국 10개 교대와 이화여대·제주대·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등 총 13곳의 정시모집 평균 경쟁률은 2.0대 1이었다. 정시 경쟁률은 최근 5년 사이 가장 낮았다. 한국교원대(5.0대 1), 이화여대(3.9대 1)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모두 경쟁률이 3대 1 미만으로 사실상 미달 수준이나 다름 없다. 경인교대(1.4대 1), 대구교대(1.7대 1), 서울교대·부산교대·진주교대(1.8대 1), 공주교대(1.9대 1) 등 6곳은 2대 1도 채 되지 않았다. 2019학년도에는 두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한 곳도 두 군데 있었으나, 1년 전과 비교해봐도 교대 경쟁률 하락세는 눈에 띈다. 13개 교대·초등교육과의 2022학년도 평균 정시 경쟁률은 2.4대 1이었다. 경쟁률이 가장 높은 곳은 7대 1을 넘었고, 경쟁률이 2대 1 미만인 교대는 한 곳뿐이었다. 수시모집으로 정원을 채우지 못해 정시모집으로 이월된 인원 역시 올해인 2023학년도 총 502명으로, 역시 최근 5년 중 최다다. 지난해인 2022학년도(465명)보다도 8.0% 늘었다. 정시에 붙고도 교대를 포기하고 다른 대학을 선택한 학생들이 늘어나면서 정시 추가합격 인원은 지난해 기준 305명으로, 1년 전보다 14.7%나 늘어나기도 했다.

교육전문대학원 도입 ‘반대’ 81.5%

한국교육신문 14 Feb 2023

졸업 시 정교사 1급 자격을 부여하는 교육전문대학원(이하 교전원) 도입에 대한 교원·학생·학부모 등의 반대가 8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득구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는 14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사진)을 열고 ‘교육부의 교전원 도입 정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를 발표했다. 강 의원과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는 지난달 26일부터 9일까지 전국의 교수, 현직·예비 교원, 학부모, 대학 진학 희망자, 일반 대학생 및 졸업생 등 3만19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교육부가 추진하는 교육전문대학원 도입’ 정책에 대해 응답자의 81.5% 가 ‘동의하지 않는다’ 고 답했다. ‘찬성’ 응답은 14.2% 에 그쳤다. 교전원 도입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대답한 2만6010 명 중 40.1%는 ‘교전원 도입이 교원의 전문성이나 역량 확보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 보기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이는 교육부가 교전원 도입을 추진하기 위한 명분으로 내세운 ‘교원의 전문성과 역량 확보’와 배치된다. 교전원 졸업자들에게 임용시험을 면제해주는 것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82.6%(2만6369명)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또한 교전원 졸업자들에게 1급 정교사 자격증을 발급해주는 것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79%(2만5205 명)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What Does It Mean to Have a ‘National’ Teacher Shortage?

EdSurge 15 Feb 2023
What Does It Mean to Have a ‘National’ Teacher Shortage?

There’s been a lot of ink spilled over what’s been framed as a national shortage of teachers, including fears of a coronavirus-related mass exodus from classrooms that never quite materialized. Fewer words have been spent on defining what, precisely, is meant when people say the education system is facing a drought of teachers from coast to coast. That’s what researchers at Kansas State University set out to quantify when they began crunching the numbers on teacher vacancies for all 50 states. A problem that became apparent early on was that there simply was no central source for the information they were seeking — even at the state level. Researchers painstakingly pieced together data from a swath of government sources and news reports, cataloging more recent data from the 2021-22 school year for some states but having to reach as far back as 2014-15 for others. For 13 states, their search yielded no data about teacher vacancies.

2026년 유보통합 추진…학부모들 "영유아 권익 우선"

한국교육방송공사(EBS) 16 Feb 2023

오는 2026년 전면 시행을 목표로 추진 중인 유보통합, 아직 구체적인 밑그림이 나오지 않았는데도 찬반 논란이 뜨겁습니다. 지난 주말 교사들이 정책 철회를 요구하며 집회를 벌인 데 이어, 오늘은 학부모 단체들이 반드시 추진해야 한다며 기자회견을 열었는데요.학부모들은 지난 30년 동안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쪼개지면서, 아이들의 교육격차가 커졌다고 지적했습니다. 다가오는 저출생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꼭 필요한 정책이라면서, 교육부 중심의 유보통합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인터뷰: 김영명 대표 / 아이들이 행복한 세상 "향후 유보통합 정책의 수립과 이행 과정에서 정치권과 정부가 우리 아이들의 권리를 얼마나 합당하게 보장하는지 두 눈을 부릅뜨고 지켜보며 감시와 견제의 역할을 할 것입니다." 바람직한 유보통합을 위한 주요 과제도 제안했습니다. 우선 지역별로 들쭉날쭉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수급 관리를 교육당국이 책임지고 균형있게 조정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교사들의 자격과 처우도 제대로 보장하는 한편, 의무교육의 사각지대에 빠져 있는 장애 영유아들의 무상의무교육도 선제적으로 지원하라고 촉구했습니다.

Journal

MORE JOURNALS >

Young Children’s mealtimes and eating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 scoping review of 30 years of research from 1990 to 2020

Educational Research Review
v.38 Feb 2023 e100503

Strategies for developing digital competencies in teachers: Towards a multidimensional Synthesis of Qualitative Data (SQD) survey instrument

Computers & Education
v.193 Feb 2023 e104674

Why do students exhibit different attention-related behavior during instruction? Investigating effects of individual and context-dependent determinants

Learning and Instruction
v.83 Feb 2023 e101694

Report

MORE REPORTS >

The school counselor staffing landscape: Policies and practice

Brookings Institution
Feb 2023

서울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위한 안착 방안 연구: 일반고 지원을 중심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Feb 2023

시·도평생교육진흥원 미래 운영 모델 개발 연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Feb 2023

Book

MORE BOOKS >

교육, AI로 그리다 : 선생님이 묻고 선생님이 답하다

이세진 외 1인
박영story
2022

지체장애 학생 교육

김영한 외 7인
학지사
2022

교육철학 및 교육사 탐구

유재봉 외 2인
학지사
2022

메타버스, 학교에서 활용하기

이진명 외 2인
박영story
2022

Conference

MORE CFPS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제 40회 학술대회 안내

place 온라인
date Feb 25, 2023
submission Feb 20, 2023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search in Education

place Vienna, Austria / Oline
date Mar 03-05, 2023
submission Feb 20, 2023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