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Education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Home
  • Book & E-book
    • Book
    • E-book
    • Thesis
  • Journal & Article
    •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 Scientific Disciplines
    • Education, Special
    • KCI Journal
    • Lists & Tools
  • WebDB
  • News & Report
    • News
    • Report
  • Call for Papers
    • Call for Papers
    • Society & Institutions
  • OCW
  • Newsletter
  • Contact
    • Contact
    • About
    • Sitemap

Home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합니다. 이 곳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각각의 해당 메뉴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Book & E-book

교육학 관련 도서관 신착도서, eBook, 학위논문 및 국내외 신간 도서정보입니다.

Journal & Article

교육학 관련 주요 등재 저널 및 논문 정보입니다.

WebDB

교육학 관련 학술 DB 및 통계 DB 등을 제공합니다.

News & Report

교육학 관련 국내외 최신 뉴스 및 연구보고서를 제공합니다.

Call for Papers

교육학 관련 국내외 컨퍼런스, 논문투고 일정 및 주요 학회, 연구소, 기관, 단체 정보입니다.

OCW

교육학 관련 국내외 공개강의 및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Newsletter

지난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뉴스레터를 볼 수 있습니다.

Contact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Newsletter 지난호

  • 2023
    • vol. 60 March
    • vol. 59 February
    • vol. 58 January
  • 2022
    • vol. 57 December
    • vol. 56 November
    • vol. 55 October
    • vol. 54 September
    • vol. 53 August
    • vol. 52 July
    • vol. 51 June
    • vol. 50 May
    • vol. 49 April
    • vol. 48 March
    • vol. 47 February
    • vol. 46 January
  • 2021
    • vol. 45 December
    • vol. 44 November
    • vol. 43 October
    • vol. 42 September
    • vol. 41 August
    • vol. 40 July
    • vol. 39 June
    • vol. 38 May
    • vol. 37 April
    • vol. 36 March
    • vol. 35 February
    • vol. 34 January
  • 2020
    • vol. 33 December
    • vol. 32 November
    • vol. 31 October
    • vol. 30 September
    • vol. 29 August
    • vol. 28 July
    • vol. 27 June
    • vol. 26 May
    • vol. 25 April
    • vol. 24 March
    • vol. 23 February
    • vol. 22 January
  • 2019
    • vol. 21 December
    • vol. 20 November
    • vol. 19 October
    • vol. 18 September
    • vol. 17 August
    • vol. 16 July
    • vol. 15 June
    • vol. 14 May
    • vol. 13 April
    • vol. 12 March
    • vol. 11 February
    • vol. 10 January
  • 2018
    • vol. 9 December
    • vol. 8 November
    • vol. 7 October
    • vol. 6 September
    • vol. 5 August
    • vol. 4 July
    • vol. 3 June
    • vol. 2 May
    • vol. 1 April

SICS 뉴스레터 구독 신청

구독을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메일 주소로 매월 뉴스레터가 발송됩니다.


E-mail 주소 :

NEWSLETTER :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Sep 2022 vol. 54
고려대학교 도서관 교육학 학술정보큐레이션서비스

News

MORE NEWS >
유·초·특수교사 900명 감축…“교육 질 저하”

유·초·특수교사 900명 감축…“교육 질 저하”

한국교육신문 14 Sep 2022

교육부가 14일 2023학년도 유·초·특수 신규교사 임용시험 모집인원을 확정 공고한 결과 2022학년도 때보다 총 899명을 덜 뽑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유치원 157명, 초등 197명, 특수 545명의 인원이 줄었다.한국교총(회장 정성국)은 비판 성명을 내고 “수 만 개에 달하는 과밀학급 해소와 학급당 학생수 20명 이하 감축에 정면 배치되는 처사”라고 밝혔다. 이어 “학생 맞춤형 교육과 건강 보호,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교원을 대폭 증원하고 신규교사 선발을 대폭 늘려야 한다”고 촉구했다.교총은 특수교사 모집이 전년 대비 61% 축소로 가장 큰 감소폭을 보인 것에 대해 비판 수위를 높였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교육권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더 소외되기 쉬운 부분이라 정부가 보다 관심을 갖고 지원해야 하는데, 오히려 뒤로 갔다는 이유에서다.교총은 “특수교육계에 따르면 법정 정원 대비 배치율은 83%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지난해 894명보다 무려 545명이나 줄인 349명만 모집하는 것은 특수교육 포기에 가까운 조치”라며 “이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학습권 침해다. 특수교육 교사의 교권침해는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고 했다.교육부가 발표한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2018~2022)’과도 배치된다는 지적이다. 당시 교육부는 2022년까지 법정 정원 대비 특수교사 배치율을 90% 이상으로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남침’ 등 7800여 국민 의견 반영…교육부, 새 교육과정 개발한다

이투데이 19 Sep 2022
‘남침’ 등 7800여 국민 의견 반영…교육부, 새 교육과정 개발한다

교육부가 ‘6·25 전쟁 남침’, ‘자유민주주의’ 등 7800여 건의 국민의견을 반영한 새 교육과정에 착수한다. 교육부는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13일까지 교육부 ‘국민참여소통채널’을 통해 ‘2022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시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 결과 총 7860건의 의견을 받았다고 18일 밝혔다. 일반국민(학부모 포함) 4751건, 학생 461건, 교원 2648건 등이다. 새 교육과정은 2024년 초 1·2학년을 시작으로 2025년 중·고교 신입생에게 우선 도입된다. 전 학년 적용은 초등학교 2026년, 중·고교 2027년이다. 의견 수렴이 진행된 15일 동안 ‘뜨거운 감자’는 사회 교과였다. 구체적으로는 ‘총론’에 대해 1523건의 의견이 접수됐다. 교과별로는 △사회 1361건 △도덕 1078건 △국어 886건 △역사 715건 순이었다. 특히, 역사 교과의 경우 교육과정 개정 시마다 사회적 갈등이 재현되고 의견수렴에서도 국민 우려를 확인한 만큼, 균형 잡힌 역사교육을 위해 보다 면밀히 수정·보완해달라는 각별한 요구를 정책연구진에게 전달했다는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앞서 8월 30일 교육부가 공개한 2022 개정 교육과정 한국사 시안에서 6·25 전쟁 ‘남침’, ‘자유민주주의’ 등 표현이 빠져 논란이 된 바 있다. 이에 초등 사회과 역사영역의 경우 ‘광복에 8·15 명시’, ‘자유민주주의에서 자유를 빼지 말라’와 같이 현대사 관련 용어 수정 의견과 함께 6·25 전쟁 원인·과정, 대한민국 정부 수립 등 내용을 포함해 달라는 요구가 있었다. 고교 한국사의 경우, ‘역사적인 6·25 남침 수록’, ‘자유 표현을 삭제한 것에 대한 수정’ 등 공개 시안의 편향성을 지적하며 수정·보완을 요구하는 의견이 많았다. 다만 연구진의 시안에 찬성하거나 역사교육의 이념화를 반대하는 의견 또한 제시됐다.

How Monolingual Teachers Can Support English Language Acquisition for Multilingual Learners

EdSurge 19 Sep 2022

“What do you want your teacher to know about you?” Esther considered the question, sitting in a small room with Ms. Odette, the interpreter who was working with her to complete her learning profile—a tool that helped us learn about new students and tailor instruction to meet their needs. Ms. Odette guided Esther as she wrote her answers in English.

전면등교와 함께 증가한 ‘학교폭력’…피해 학생 5만 명

조선에듀 06 Sep 2022
전면등교와 함께 증가한 ‘학교폭력’…피해 학생 5만 명

올해부터 전면등교가 시행되면서 학교폭력을 당한 피해자 비율은 상승했다. 피해 학생들은 주로 언어폭력과 신체폭력 등에 시달린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부는 6일 이 같은 내용의 ‘2022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월부터 5월까지 전국의 초·중·고생 387만 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응답자의 5만4000명(1.7%)은 학교폭력을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수업이 많았던 전년(1.1%)보다 0.6% 늘어났고, 코로나19 발생 이전이던 지난 2019년(1.6%)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정부가 올해부터 내세운 전면등교 방침에 따라 등교일수가 늘어나자 학교폭력 발생 비중도 덩달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피해 유형별(복수응답)로 보면, 언어폭력이 41.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체폭력(14.6%), 집단따돌림(13.3%), 사이버폭력(9.8%) 등의 순이었다. 집단따돌림과 사이버폭력은 1년 새 각각 11.2%, 0.2% 줄었지만, 신체폭력 비율은 오히려 2.2% 늘어났다. 다만 학교급마다 피해 유형은 달랐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신체폭력이, 고등학교는 집단따돌림이 높은 것으로 집계된 것. 학교폭력이 늘어나면서 이를 목격한 학생도 많아졌다. 폭력을 목격했다는 응답자 비율은 3.8%(12만2000명)로 지난해 1차 조사와 비교해 1.5% 증가했다.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chieve better outcomes in inclusive academic settings

ScienceDaily 15 Sep 2022

"We are currently in a time when the experience of 'community' is being stressed in multiple ways in our society," said Hardy Murphy, study co-author and a clinical professor in the School of Education at IUPUI. "Changing and elevating our expectations of w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capable of lies at the hear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ontributing to and benefitting from being a part of our community experience, beyond K-12 education.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ir school communities with their general education peers is an important place to begin this transform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as much a moral and ethical question as it is an educational one." The study, conducted by IU's Center on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one of seven research centers at the Indiana Institute on Disability and Community, was recently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Led by Sandi Cole, lead author on the study and director of the Indiana Institute on Disability and Community, researchers used statewide student and school demographic and outcome data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and low-inclusion educational settings and the academic outcom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igh inclusion was defined as 80% or more educational time spent in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Low inclusion was defined as less than 80% of educational time spent in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Journal

MORE JOURNALS >

게더타운(Gather.town)을 활용한 유학생 대상 한국어 발표 수업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2(17) Sep 2022 pp.541-558

Unintended consequences of spatial presence on learning in virtual reality

Computers & Education
v.186 Sep 2022 104532

“Learning is not the most important thing; it's to make them into human beings”: Teacher identity in vocational schools in Israel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117 Sep 2022 103794

Report

MORE REPORTS >

Z세대 서울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와 학교환경과의 관계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SEPI)
Aug 2022

Facilitat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Oral Communication

SSRN
Sep 2022

원격수업 경험을 통한 국가 교육과정 개선 및 지원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Aug 2022

Book

MORE BOOKS >

평생교육방법론

이기원 외 5인
양성원
2022

(유아교사를 위한) 학교폭력 예방과 학생의 이해

조남두, 강경자
동문사
2022

Twice-exceptional gifted children : understanding, teaching, and counseling gifted students / 2nd ed

Beverly A. Trail
Routledge
2022

Developing expertise for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 practical ideas for professional learning and development

Helen King
Routledge
2022

Conference

MORE CFPS >

[한국사회과교육학회·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추계공동학술대회 안내

place 대구대학교 / 온라인
date Sep 24, 2022
submission N/A

[IAU] 2021 16th General Conference

place Dublin, Ireland
date Oct 25-28, 2022
submission N/A
학술연구정보서비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큐레이션부 | E-MAIL libres@korea.ac.kr
Copyright © Korea Universi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