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 E-book Thesis 고려대학교 석/박사 학위논문 일반대학원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일반대학원 > 교과교육학과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일반대학원 > 컴퓨터교육학과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 가정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교육방법전공 교육대학원 > 교육사철학전공 교육대학원 > 교육정보전공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및고등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기업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영재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영재및특수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일어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컴퓨터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평생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한국어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한문교육전공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국내/외 학위논문 DB 안내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Critical Literacy를 통한 중학교 영어 교과서 분석 Feb 2025 백소윤 (2025)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Impact of Multicultural Extensive Reading on Multicultural Students’ Reading Proficiency, Reading Attitud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Ethnic Identity Feb 2025 Hara Kuh (2025)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담화표지 like의 공손성(politeness)에 관한 고찰 :코퍼스를 통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Aug 2024 박소현 (2024)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생성문법 규칙에 대한 민감도 차이 연구 Aug 2024 최윤영 (2024)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유머에 초점을 둔 영미 동시의 영어 영역별 분류 Aug 2024 오은지 (2024)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Representing Minorities in Australian Detective Fiction :Kerry Greenwood’s Phryne Fisher Mystery Collection Aug 2024 Minjung Suh (2024)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The Three Little Pigs와 대안적 텍스트를 활용한 크리티컬 리터러시 교육 및 동화책 창작 수업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정의적 측면과 창의적 사고력을 중심으로 Feb 2024 신민주 (2024)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코퍼스 기반 자기주도적 어휘 학습이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읽기 영역 성적에 미치는 영향 Feb 2024 권동욱 (2024)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ChatGPT의 영어 글쓰기 교육 및 평가 활용도 모색 Feb 2024 장주영 (2024)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The Effect of Extensive Reading-linked Program on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and Speaking Anxiety Feb 2024 Dabin Na (2024)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단어 강세 실현과 발음 교육에 대한 인식 Feb 2024 김예원 (2024)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영시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연구 :중학생의 어휘학습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Feb 2024 강현아 (2024)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영자신문 읽기·쓰기 활동의 효과 2023 허윤선 (2023)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공감능력 함양을 위한 영미문학읽기 :J.Palacio의 Wonder를 중심으로 2023 유가은 (2023)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Corpus-based Analysis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pistemic Adverbs Probably, Evidently and Possibly 2023 한유진 (2023)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고등학생들의 영작문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 :논설문의 일관성을 중심으로 2023 박지영 (2023)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The Study of Figurative Language Understan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on Korean EFL learners in 7-9th Grade 2023 So Shin Choi (2023)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번역기를 사용한 영어 글쓰기 과정에서 프리에디팅(Pre-editing)의 효과 2023 송지예 (2023)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 Comparative Analysis of Listening Test Input and Rubric Between TOEIC Bridge and TOEFL Junior Standard 2022 KimSeWon (2022)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내용 분석: 본문 텍스트에 나타난 성차별 중심으로 2022 김수연 (2022)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양성평등 의식 함양 교육 :앤서니 브라운의 영어 그림책을 중심으로 2022 고선희 (2022)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크리티컬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비판적 작품 분석 :, , <크루엘라>를 중심으로 2022 김하경 (2022)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그래픽 노블을 활용한 만화 창작 활동의 영어 어휘 습득 효과 연구 2022 이주영 (2022)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그래픽 조직자 기반 요약하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독해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2022 주연 (2022)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판타지 문학과 세계시민교육 :Mary Norton의 『바로우어즈』 시리즈를 중심으로 2022 김민정 (2022)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영어수업의 장애·비장애 학생 반응 비교 :장애를 주제로 한 영어동화책을 중심으로 2022 정가영 (2022)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독자 반응 이론을 활용한 그래픽 노블 읽기가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2021 유혜린 (2021)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시계태엽 오렌지』에 나타난 공적 폭력 2021 조지은 (2021)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메타픽션 장치를 활용한 포스트모던 그림책 활용이 영어말하기에 미치는 영향 2021 한주연 (2021)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디즈니 작품의 시대적 변용과 한국 청소년의 인식 연구 : 및 속 여성 캐릭터의 변화양상을 중심으로 2021 김연경 (2021)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